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기사사진
추경호 "성장률 0.1~0.2%p 올리는 데 돈 쓸 상황 아니다"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22일 추가경정예산 편성 요구에 또다시 선을 그었다. 추 부총리는 이날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전체회의에 참석해 "단기적 부양을 위해 재정을 쉽게 동원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밝혔다. 그는 "0.1%포인트(p), 0.2%p 성장률을 더 높이기 위해 방만하게 빚을 내서까지 재정으로 대응할 상황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그는 재정의 적극적 역할을 주문하는 정태호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질의에 이같이 답변했다. 추 부총리는 "재정상황이 녹록지 않다"고 했다. 또 "대통령께서 동일한 선상에서 생각하고 계시고, 같은 방향성의 메시지를 내고 있다"며 추경 편성 가능성을 일축했다. 이어 "민간이 세계시장에 진출하고 일자리를 만들어 낼 수 있도록 여건을 만드는 것이 급선무"라고 말했다. 올해 성장률과 관련해 그는 "하반기에는 상반기보다 2배 정도의 성장률을 보일 것이라는 게 모든 기관의 대체적인 추세 전망"이라고 했다. 또 불황형 흑자라는 지적에 동의하지 않는다며 "불황형이라면 물량이 줄어야 하는데 최근에는 물량이 상승세다. 앞으로 우리 무역수지에 긍정적인 신호를 보내주고 있다"고 말했다. "일정 부분 소폭의 적자가 나더라도 9월부터는 무역수지가 흑자로 돌아서고, 수출도 반등세가 본격화하기 시작할 것"이라고 추 부총리는 내다봤다. 중국 부동산시장 리스크에 대해서는 "중국은 세계경제에서 20%에 가까운 비중을 차지하고 있고 우리 수출액에서도 상당히 비중이 크다"며 정부가 예의주시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다만 부동산 문제는 "우리의 중국에 대한 노출 정도가 굉장히 미미하기에 직접적인 영향은 제한적"이라고 진단했다. 가계부채 대책과 관련한 이수진 더불어민주당 의원 질의에 그는 "가계부채가 너무 많이 올라 적정 수준으로 지속해서 관리해야 한다는 것이 중요한 정책 목표"라고 했다. 김상훈 국민의힘 의원은 불법시위를 주도한 노조에 국가보조금 지급을 중단해야 한다며 질의에 나섰다. 이에 추 부총리는 공감을 표하고, 관련 규정 정비를 검토하고 있다고 했다. 당초 '불법시위를 주최했거나 주도한 단체'는 예산 집행 지침상 보조금사업 선정 제외대상이었다. 그러나 국가인권위 권고에 따라 2018년 지침상 제외대상에서 '불법시위를 주최 또는 주도한 단체'가 삭제된 바 있다. 추 부총리는 "관련 집행 지침을 개정할지, 법률적 형태로 입법을 통해 해결할지 현재 검토 중"이라고 답했다.

2023-08-22 15:42:52 김연세 기자
기사사진
전국 9개도 시(市)지역 고용률 역대 최고 61.9%

지난 상반기 전국 9개 도에 위치한 시 지역 고용률이 역대 최고를 나타냈다. 산업별로 시와 군은 보건복지업이, 구에서는 정보통신업에서 취업자 수 증가가 두드러졌다. 통계청이 22일 발표한 '상반기 지역별 고용조사 시군구 주요 고용지표'에 따르면 시 지역 중 고용률은 제주 서귀포(72.0%)와 충남 당진(71.0%), 경북 영천(67.6%) 등이 상위에 올랐다. 한편 실업률은 경북 구미(4.6%)를 비롯해 경남 거제(4.3%), 경기 부천(4.0%) 등지에서 높게 나타났다. 상반기 9개 도의 시 지역 취업자는 1385만 명으로 1년 전보다 24만 명 증가했다. 시 고용률은 61.9%로 전년 같은 기간보다 0.8%포인트(p) 올라 지난 2013년 관련 통계가 시작된 이래 역대 최고를 기록했다. 9개 도의 군 지역 취업자는 210만5000명으로 전년동기 대비 1만1000명 증가했다. 고용률도 68.7%로 0.3%p 올라 역시 역대 최대치를 경신했다. 경북 청송(82.1%), 전남 신안(78.6%), 전북 장수(77.8%) 등에서 높게 나타났다. 7개 특·광역시 구 지역의 취업자 수는 1143만2000명으로 20만7000명 증가했다. 고용률은 58.3%로 1.0%p 상승해 2021년 이후 최고 수준이었다. 인천 옹진군(73.6%), 부산 강서구(67.1%), 서울 영등포구(65.2%) 등의 순이다. 임경은 통계청 고용통계과장은 "2023년 상반기 고용상황을 산업별로 보면 시 지역은 보건복지업, 전문·과학 등이, 군 지역은 보건복지업, 공공행정 등이 취업자 증가를 주도했다"고 밝혔다. 또 특·광역시 구 지역은 정보통신업과 금융보험업 등의 고용이 많이 늘었다고 했다. 실업률은 시 지역에서 전년보다 감소했으며, 군과 구 지역은 동일했다. 모두 역대 최저 수준이다. 시 지역 실업자는 38만5000명으로 전년동기대비 6000명 감소했다. 실업률은 2.7%로 0.1%p 하락했다. 다만 경북 구미시(4.6%), 경남 거제시(4.3%), 경기 부천시(4.0%) 등에서 높게 나타났다. 군 지역 실업자는 2만7000명, 실업률은 1.2%로 전년과 같았다. 충북 증평군(3.9%), 전북 완주군(2.5%), 충남 예산군(2.4%) 등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구 지역의 실업자는 전년보다 3000명 늘어난 42만7000명으로 나타났고, 실업률은 3.6%로 동일했다. 부산 금정구(5.3%), 인천 계양구(5.0%), 서울 동작구(4.6%) 등이 평균을 웃돌았다.

2023-08-22 15:38:19 김연세 기자
기사사진
이창용 한은 총재, '한미 금리 격차보다 美금리 방향성이 더 중요"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2%대로 안정화되는 시점을 내년 하반기로 내다봤다. 기준금리 결정과 관련해선 한·미간 금리격차보다 향후 미국 기준금리의 방향성에 영향을 받을 것이라고 시사했다.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22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전체회의에 참석해 물가 안정 시점을 묻는 이수진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질의에 이 같이 답했다. 통계청에 따르면 7월 소비자물가지수는 1년 전과 비교해 2.3% 상승했다. 다만 한국은행은 지난 5월 6월과 7월 물가상승률이 2%대로 떨어진 뒤 다시 올라 연말에는 3% 안팎이 될 것으로 전망했다. 국제 유가 등 외부 불확실성에 따라 물가상승률이 출렁인 뒤 내년 하반기가 돼야 2% 대에서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는 설명이다. 이 총재는 "유가가 오르면서 물가상승률은 8~9월 3%대를 넘을 가능성이 있다"며 "이후 천천히 둔화돼 내년 하반기 2% 중반대로 떨어질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주 열리는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 통화결정회의와 관련해서는 "미국 잭슨홀 미팅과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결과, 중국의 경제회복속도, 가계부채 등을 고려해서 기준금리를 결정하겠다"고 발언했다. 금융통화위원회는 지난 1월 기준금리를 3.25에서 3.50%로 인상한 뒤 2·4·5·7월 기준금리를 유지했다. 현재 은행의 가계대출은 주택담보대출을 중심으로 증가하고 있다. 7월말 가계대출 잔액은 1068조1000억원으로 이 중 주택담보대출은 820조8000억원에 달한다. 늘어나는 가계대출을 막기위해선 금리인상이 답이지만, 금리인상을 할 경우 경기 회복을 실감하지 못한 기업들의 부채 압력은 더욱 심화될 수 있다. 경기회복상황과 가계부채 증가속도 등을 고려해 금리를 결정하겠다는 설명이 다. 이날 이 총재는 미국 기준금리와 격차가 발생해 원·달러 환율이 상승(원화가치 하락)하고, 외국인 자금유출 압력이 커지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에 대해선 "단순 금리 격차보다 미국 연준의 향후 금리 방향이 더 중요하다"고 답했다. 현재 미국의 기준금리는 5.25~5.50%로 한·미간 금리격차는 2%포인트(p)다. 역대 최초로 1.75%p까지 벌어진 시점에도 원달러환율은 안정세를 유지했고, 외국인의 자금흐름도 양호했다. 미국 연준이 향후 금리를 내릴 것이란 전망이 우세했기 때문이다. 단순한 한미 금리 격차가 얼마나 벌어질 것인가 보다는 미국의 금리가 향후 어떤 방향성을 띄고 움직이는지가 우리 금융시장에 더 크게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평가다. 이 총재는 한은의 경기 예측 능력이 떨어진다는 지적에 대해서는 "경기, 금리 예측은 모든 게 조건부"라며 "다른 기관에 비해 덜 조정했느냐, 아니냐를 가지고 판단해야 하고 모든 예상치는 변하게 되어 있다"고 말했다.

2023-08-22 15:35:15 나유리 기자
기사사진
'1000만시대' 28년 풍미한 서울...인구 150만명 감소

해방 이후 급증을 거듭하던 서울 인구가 지난 30년간 150만 명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내림세는 2010년 이후 더 가파르다. 22일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서울 인구는 지난달 말 기준 941만 명으로 1년 전보다 8만 명 줄었다. 서울지역 주민등록거주민 수는 지난 1988년 처음으로 1000만 명을 넘어섰다. 이후 1990년대 들어 1100만 선까지 돌파하는 듯 보였다. 그러나 1992년 기록한 1090만 명대에서 확산을 멈춤과 동시에 정점을 찍었다. 1992년 말 기준으로 1093만 명이다. 당시 올해 7월(941만 명)과 비교해 152만 명가량 많았다. 2005년에는 1016만 명까지 줄었다. 이후 1010만~1020만 범위에서 증감을 반복했고, 2010년 10월에 1032만 명까지 반등했다. 그때만 해도 올해보다 70만 명 많았다. 그리고 더이상의 회복은 없었다. 28년간 지속된 1000만 시대는 2016년 4월(1000만2979명)을 끝으로 막을 내렸다. 그로부터 1년 후인 2017년 4월엔 992만 명까지 내려갔다. 서울 거주민 수는 2019년 4월에 976만, 2021년 4월 958만, 올해 4월 942만 명 등으로 매우 빠르게 줄고 있다. 인구가 1980년대 중반 수준이다. 통계청 인구추계는 서울 인구가 6년 뒤인 오는 2029년 899만 명으로 내려앉을 것으로 추산했다. 이어 2039년에 858만 명, 2049년에 799만 명까지 감소한다고 예측했다. 1992년 정점 대비 감소 폭(152만 명)은 대전(144만 명)과 광주(142만 명) 인구를 능가한다. 이처럼 수도 서울이 우리나라 전체인구의 감소를 견인하고 있다. 최근 10년 안팎으로 경기도 등으로의 인구이동이 영향을 크게 미쳤지만 서울은 여타 16개 시·도와 마찬가지로 저출산 및 고령화가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달 서울지역 출생아 수는 3325명을 기록했다. 5년 전 (2018년 7월·5082명) 및 10년 전(2013년 7월·7150명)과 비교해 내림세가 확연하다. 15년 전엔 7823명이었다. 지역 내 65세 이상 고령층은 170만 명에 달했다. 거주민 941만 명의 18%가 넘는다. 이는 아동복지법이 규정하고 있는 '아동'(18세 미만) 수인 110만 명, 청소년기본법에서 규정하고 있는 '청소년'(9세 이상 24세 이하) 수인 137만 명보다 훨씬 많다. 서울 고령층 비중은 15년 전 8.5%(1019만 명 중 87만 명)에 불과했다.

2023-08-22 14:56:12 김연세 기자
기사사진
경기 불확실성에 소비자 심리 악화…"그래도 집값 더 오를 것"

경기 불확실성이 커지며 경제 전반에 대한 소비자들의 인식이 6개월만에 악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부동산 거래가 회복 될 것이란 기대감에 주택가격은 더 오를 것으로 전망했다. 한국은행이 22일 발표한 '소비자동향조사 결과'에 따르면 8월 소비자심리지수(CCSI)는 103.1로 전달(103.2)과 비교해 0.1포인트(p) 내렸다. 석 달 연속 100을 웃돌았지만, 지난 2월(-0.5p) 이후 6개월 만에 하락했다. CCSI는 소비자동향지수(CSI)를 구성하는 15개 지수 가운데 현재생활형편·생활형편전망·가계수입전망·소비지출전망·현재경기판단·향후경기전망 6개 지수를 이용해 산출한 지표다. 100보다 높으면 장기평균(2003∼2022년)과 비교해 소비 심리가 낙관적, 100을 밑돌면 비관적이라는 의미다. CCSI를 구성하는 6개 지수 중 생활형편전망과 가계수입전망은 1p 오른 95와 100을 각각 기록했다. 현재생활형편(91)과 소비지출전망(113)은 전월과 같았다. 경기에 대한 판단은 크게 악화했다. 현재경기판단 지수는 72로 -3p 하락했다. 향후경기전망은 80으로 -4p 내렸다. 황희진 통계조사팀장은 "상저하고 기대심리에 의해 경기 관련 지수가 오르고 있었는데, 최근 체감 물가가 높아지고 중국발 리스크, 반도체 경기 회복 지연 등 영향으로 소비자심리지수가 하락했다"며 "향후 물가 흐름, 대내외 경기 요인에 불확실성이 커서 앞으로의 흐름은 지켜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다만 소비자들은 경기는 악화할 것으로 전망하면서도 주택가격은 상승할 것으로 내다봤다. 주택가격전망지수는 107로 전달과 비교해 5p 올랐다. 황 팀장은 "전국 주택거래량이 증가하고 매매가격도 상승 반전하는 등 주택시장의 회복 기대감이 커졌다"며 "지역 편차는 있고, 금리가 높은 수준이기 때문에 상승흐름이 계속될지는 지켜봐야 한다"고 말했다. 향후 1년간 소비자물가를 예측하는 기대인플레이션율은 3.3%로 전월과 동일했다. 기대인플레이션율은 올해 2월 4%까지 상승한 뒤 하락하고 있다. 물가상승을 기대하는 요인으로는 공공요금이 66.2%로 가장 높았고, 농축수산물 41.5%, 석유류제품 34.8% 순이었다. 황 팀장은 "집중호우, 폭염 등 기상악화로 농산물가격이 오르고 석유류가격도 상승하면서 소비자 체감 물가는 여전히 높은 상황"이라며 "외식 가공식품 체감물가도 높은 수준이 지속됐고, 하반기 공공요금 인상도 예고 돼 있어 전월 수준에 머물렀다"고 말했다.

2023-08-22 14:09:12 나유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