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기사사진
[오늘의 운세] 4월 30일 화요일 (음 3월 26일)

[쥐띠] 36년 지나간 세월에 아쉬움이 많이 남는다. 48년 동상 걸린 발을 얼음물에 담그는 격. 60년 바쁘기는 하지만 실속은 없다. 72년 검은색 옷을 입을 일이 생긴다. 84년 문서운이 있으니 거래가 순조롭게 이루어진다. [소띠] 37년 세 살배기에게도 배울 점이 있다. 49년 자식 자랑으로 입에 침이 마른다. 61년 나의 특기를 남도 알아주니 기쁘다. 73년 상대방이 못마땅해도 오늘은 너그럽게 넘어가자. 85년 성공의 기미가 보이니 적극적으로 행동. [호랑이띠] 38년 생각지 못한 일로 심신이 고달픈 하루. 50년 아랫사람에게 한 격려는 큰 성과로 돌아온다. 62년 사공이 많아서 배가 산으로 가는 격이니 의견통일이 먼저. 74년 내일을 바라보며 만족. 86년 남쪽에서 귀인을 만난다. [토끼띠] 39년 옆에 있는 가족에게 최선을 다해라. 51년 마음은 바빠도 행동은 옮겨지지 않는다. 63년 도장에 신경을 써야 한다. 75년 먼저 칭찬하고 용서하면 복을 받는다. 87년 기다린다고 기회는 오지 않으니 내가 먼저 다가가라. [용띠] 40년 멀리서 즐거운 소식이 온다. 52년 내가 놓은 덫에 내가 걸린다. 64년 물건은 새것이 좋고 사람은 옛사람이 좋은 법. 76년 주변이 시끄러우니 외출을 자제. 88년 2보 전진을 위해 1보 후퇴는 손해 보는 일이 아니다. [뱀띠] 41년 절이 싫으면 중이 떠나면 그만. 53년 결과만 중시하고 과정을 무시하면 안 된다. 65년 원하던 것을 손에 넣으니 기쁘기 그지없다. 77년 남의 떡이 커 보인다. 89년 가족의 소중함을 느끼고 가정에 충실해야 하는 날. [말띠] 42년 오늘 걸어야 내일 뛰지 않는다. 54년 명예손상이 우려되니 말조심. 66년 현상유지는 힘들지만 무너지는 것은 한순간. 78년 하늘도 맑고 푸르니 길을 떠난다. 90년 친구인가 싶었는데 원수도 이런 원수가 따로 없다. [양띠] 43년 자식으로 인해 곤경에 빠진다. 55년 언쟁에 끼어들면 본전 찾기 힘들다. 67년 강을 건넜어도 배를 보관해 두라. 79년 정확한 의사 표현이 관계를 좋게 한다. 91년 업무가 힘들다면 상사에게 의논하고 조언도 구하라. [원숭이띠] 44년 동분서주해봐야 이익이 없다. 56년 찬바람이 옷깃에 스며들기 전에 겨울을 준비하라. 68년 어차피 할 일이라면 즐거운 마음으로 시작. 80년 함께하려거든 상대방을 의심하지 마라. 92년 동료의 시기가 따를 수 있다. [닭띠] 45년 흐르는 것은 흘러가게 놔둬라. 57년 새로운 만남을 갖는 것이 좋다. 69년 새는 날아가면서 뒤를 돌아보지 않는다. 81년 잘 차려입은 거지가 더 대접을 잘 받는다. 93년 한발 물러서서 보면 가야 할 길이 보인다. [개띠] 46년 기회가 오면 적극적으로 잡아라. 58년 쉽게 얻은 행복은 빨리 사라진다. 70년 파란색과 숫자 1, 9가 행운을 가져다줄 것이다. 82년 지나친 자존감을 오히려 해를 끼친다. 94년 기쁨과 근심은 동전의 양면과 같다. [돼지띠] 47년 귀인이 나타나니 운이 활짝 열린다. 59년 작년에 뿌린 씨가 결실을 본다. 71년 최선의 해결책은 타협이니 합의하라. 83년 모난 돌이 정 맞으니 의견이 달라도 나서지 마라. 95년 삶의 중심은 자신이지만 양보하라.

2019-04-30 06:00:14 메트로신문 기자
기사사진
[김상회의 사주속으로] 차 한 잔처럼 유려한 사주

요즘 대한민국 사람들만큼이나 커피를 좋아하는 민족이 또 있을까 싶은 요즘이다. 한 집 건너 한 집 생기는 것이 커피집이니 말이다. 물론 미국인들이나 유럽 사람들이야말로 커피문화의 선두주자이긴 하지만 동양의 후발주자 치고 한국만큼 커피 음용과 소비가 높은 나라는 유례가 없을 성 싶다. 게다가 커피 한 잔 값은 웬만한 식사 한 끼 값보다 더 높은 것을 보자니 앞뒤가 안 맞는 것 같아 마음 한 켠이 씁쓸해지기도 한다. 그래서인가 커피 한 잔을 시켜 놓고 서너 시간을 자리 차지하며 노트북을 켜고 공부를 하는 사람들도 많으니 그럭저럭 자리 차지 값이라고 보아도 무방할 듯은 하다. 커피나 차의 시원은 여러 가지 설이 있으나 필자가 들은 얘기 중에는 중국의 고대 황제로 일컬어지는 신농씨(神農氏)의 얘기가 인상적이다. 농사의 신이자 한의학의 창시자로 불리는 신농은 건강을 위해 늘 물을 끓여 마셨다 한다. 중국은 깨끗한 물을 찾기가 어려워 차 문화가 발달한 것도 그 때문이라고 하는데 어느 날 그의 끓는 물에 우연히 차나무 잎 하나가 떨어진 것이다. 자연히 찻잎이 우러나와 물의 향과 빛도 좋음에 착안하여 그때부터 찻잎을 물에 우려먹는 문화가 시작되었다고 전해지는 것이다. 신농씨는 약의 신이라고도 알려져 있으니 차가 어디 기호음료에서 끝나겠는가. 육류를 먹고 나서 먹는 우롱차나 녹차는 일종의 소화제이며 해독의 역할도 한다고 하니 차의 효용은 의외로 값진 것이라 할 수 있다. 사주구조를 분석할 때도 차의 효용처럼 귀한 역할을 하는 오행이 있다. 예를 들어 사주학에 대해 아는 사람들은 사주 내에 백호살이나 괴강살이 있으면 일단은 두려워하고 본다. 그러나 일주의 천간을 기준으로 상관 오행이 있다면 백호나 괴강살을 약화시키는 힘으로 작용하는데 이를 일러 사주상의 흉운을 감하는 희신(喜神)으로 삼는 것이니 어려운 가운데 숨통이 트이게 하는 신살이 되는 것이다. 이는 마치 힘든 하루의 일과 중에서 잠시 마음과 몸의 피곤을 덜어주는 차 한 잔의 여유와 같은 것이다. 그러니 사주의 격과 구성이 좋은 경우야 말할 것도 없지만 혹여 걱정되는 신살이 있다면 무조건 낙담부터 할 일은 아니다.

2019-04-30 06:00:06 메트로신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