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량 요소수 재고 7개월↑ 전망… 요소수 판매량은 감소 추세
차량 요소수 재고가 7개월분 이상 확보될 것으로 나타났다. 요소수 판매량은 감소 추세를 보이며, 요소수 수급 불안 가능성이 현저히 낮아진 것으로 보인다. 정부는 기획재정부 홍두선 차관보 주재로 22일 오전 정부 서울청사에서 '경제안보 핵심품목 전담반(TF) 총괄반 회의'를 개최, 차량용 요소, 흑연 및 갈륨·게르마늄 등 최근 공급망 리스크 품목 동향을 점검하고 대응 방안을 논의했다. 회의에는 산업부와 외교·환경·농식품·국토부와 조달·관세청, 국조실이 참석했다. 차량용 요소의 경우, 기업들의 대체물량 확보와 조달청 공공비축분 증가, 공동구매 성과에 힘입어 21일 현재 국내 재고 및 반입 예정 물량은 6.6개월분이다. 중국의 요소 통관 보류 직후인 지난달 30일 3개월치에서 2배 이상 확보한 상태다. 여기에 조달청 22일 추가로 국내 요소수 제조사와 6000톤(1개월분)의 공공비축을 추가하는 계약을 체결함에 따라, 국내 요소수 제조사가 조만간 제3국 대체 공급선과의 계약 체결시 전체 물량은 총 7개월분을 넘어설 전망이다. 주유소 요소수 수급 상황도 원활하다. 조달청은 지난 19일부터 중소 요소수 제조업체들에게 차량용 요소 공급 비축 물량 1930톤을 방출하고 있다. 요소수 판매 정보를 공개하는 오피넷에 따르면, 3443개 주유소 중 3353개(97.4%)에서 요소수가 정상 판매 중이고, 주유소 및 대형마트 요소수 판매량은 전주 대비 감소세다. 정부는 오피넷에 공개된 주유소별 요소수 품절 여부와 주입기 보유 여부 등을 검증하고 현행화해 소비자들이 편리하게 요소수를 구매하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흑연과 갈륨·게르마늄 수급도 문제가 없다는 것이 정부 설명이다. 산업부 관계자는 "중국의 허가제 도입 이후 국내 기업에 대한 수출허가가 발급되고 있고, 인산이암모늄도 충분한 국내 재고와 중국외 중동 및 동남아 등에서 업체간 공동구매 추진으로 현재까지 국내 생산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인 것으로 확인된다"고 밝혔다. /세종=한용수기자 hys@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