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수첩]관세전쟁에 시급한 '공급망 디테일' 재편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다시 고율 관세 카드를 꺼내 들었다. 4일(현지 시간) 미국 외에서 제작, 수입되는 영화에 100%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예고한 데 이어, 5일에는 백악관에서 의약품 제조 확대를 위한 행정명령에 서명하며 "2주 내 품목별 의약품 관세를 발표하겠다"고 밝혔다. 그동안 수차례 거론돼 온 반도체 관세 부과도 이제 현실화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미국 상무부는 지난달 중순 무역확장법 232조에 따라, 수입산 반도체가 국가안보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는 공식 조사에 착수했다. 7일(현지 시간)까지 이해관계자 의견 수렴을 마친 후, 관세 부과 여부를 본격 검토할 것이라는 관측에 무게가 실린다. 표적은 분명 중국이지만, 충격은 중국에만 머물지 않는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반도체 패키징 일부를 중국 쑤저우·우시 생산라인에서 각각 진행하고 있고, 삼성전기는 전자기판(PCB)과 MLCC의 일부를 중국에서 생산하거나 현지 부품사를 통해 조달해왔다.이런 구조에서는 '중국산 부품 하나'만 포함돼도 미국 수출길에 제동이 걸릴 수 있다. 한국 기업은 이중 부담에 직면해 있다. 관세가 현실화되면 조달 비용이 오르고, 제품 단가가 상승해 가격 경쟁력이 떨어진다. 동시에 시장 자체가 위축될 수 있다는 우려도 크다. 시장조사업체 테크인사이츠는 반도체에 10%의 관세만 적용돼도 내년 글로벌 시장 규모가 9000억달러에서 8440억달러로 줄어들 것으로 전망했다. 하지만 중국에 30~40%, 그 외 지역에 20~40% 관세가 붙을 경우 전 세계 반도체 시장이 내년 6990억달러까지 위축될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중소기업일수록 타격은 더 크다. 대기업은 현지 공장 설립이나 공급망 재편이 가능하지만, 중소 부품·소재업체는 수출이 막히면 생존 자체가 어렵다. 공급망 내에서 살아남는 기업과 그렇지 못한 기업 간 격차는 더 벌어질 수밖에 없다. 결국 중요한 건 '속도'다. 미국 중심의 공급망 재편 흐름은 이미 시작됐고, 관세는 그 움직임을 더욱 가속화할 수 있다. 중국 의존도가 높은 공정부터 점진적으로 줄이고, 미국이나 동남아 등 대체 생산 거점을 조속히 확보하는 전략이 필요하다. 대기업뿐 아니라 중소 협력업체들도 단기 납품보다 장기적 공급 안정성과 원산지 투명성을 먼저 설계해야 한다. 지금은 기술력이 아닌, 공급망 설계의 디테일이 기업 생존을 좌우하는 시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