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기사사진
LG전자, AI TV로 프리미엄 시장 정조준…"올레드·QNED ‘투트랙’

"1500달러 이상 프리미엄 시장에서 매출 1위를 목표로 하겠다" LG전자는 11일 서울 마곡동 LG사이언스파크에서 '2025 LG 올레드(유기발광다이오드)·QNED TV 신제품 브리핑'을 열었다. LG전자는 주력 제품인 올레드 TV와 QNED TV 두 제품의 인공지능(AI) 기능을 대폭 개선하는 한편, 동시 판매하는 전략으로 프리미엄 시장 장악에 박차를 가하겠다고 강조했다. ◆LG전자, 프리미엄 TV 시장 2위…올레드 TV는 1위 프리미엄 시장은 삼성과 LG전자가 선두를 다투고 있지만 최근 중국 가전 기업들이 초대형 LCD TV를 통해 시장에 침투한 상황이다. 영국 시장조사기관 옴디아에 따르면 지난해 4분기 2500달러 이상 프리미엄 TV 시장에서 삼성전자는 50.5%, LG전자는 30.6%의 점유율을 기록했다. 중국 TV 주요 브랜드인 TCL은 1%, 하이센스는 0.5% 를 차지하고 있다. 이에 LG전자는 주력 제품인 올레드 TV와 QNED TV 두 제품을 동시 판매하며 시장 선점에 나선다는 전략이다. 실제 LG전자는 지난해 출하량 기준 52.4%의 점유율로 글로벌 올레드 TV 시장에서 12년 연속 1위를 기록했다 ◆주력 올레드 TV 기술력 강화 "독자 개발 웹 OS 탑재" 이번 브리핑에서 LG전자는 AI 기능이 대폭 강화된 올레드 TV와 QNED TV를 강점으로 내세웠다. 업계 유일 OLED 전용 화질과 함께 음질 AI 프로세서 '알파11'를 추가했다. 이는 마이크로소프트(MS) 코파일럿, 챗GPT4, 구글 제미나이 등 생성형 AI를 탑재한 결과물이다.알파11은 TV 화면을 픽셀 단위로 세분화해 화질을 업스케일링하고 밝기를 조정한다. 특히 LG전자는 독자적으로 개발한 SOC인 A11과 웹OS를 차별화된 경쟁력으로 꼽았다. 영상 재생과 동시에 화질과 음성을 개선하는 AI 업스케일링 기능을 구현하려면 고성능 SoC가 필수적이다. 이를 통해 신제품은 ▲보이스 ID ▲사용자 맞춤 화질 선택 ▲셀프 수리 기능 등이 가능하다 '보이스 ID'은 목소리로 사용자를 구분해 계정을 전환하고 개인이 선호하는 콘텐츠를 제공한다. 또 사용자가 화질을 직접 선택할 수 있수도 있다. 사용자가 색감등 항목별로 선호하는 이미지를 선택하면 AI가 화질을 맞춤 설정한다. 이와 함께 'AI 챗봇'을 활용한 셀프 수리도 신제품의 핵심 AI 기능이다. AI 챗봇에 "화면이 어두워졌는데 도와줘"라고 말하면 화면이 어두워진 원인들을 제시한다. ◆中 기업 하드웨어 기술 인정…소프트웨어는 '아직' LG전자는 또 프리미엄 시장에도 침투한 중국 기업과 관련해서도 언급했다. 백선필 LG전자 상무는 이날 기자간담회에서 "TCL 등 중국 TV는 패널과 같은 하드웨어는 많이 따라왔지만 TV를 제어하는 SoC을 비롯해 운영체제(OS), 서비스 면에서 LG TV와 격차가 여전히 크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두뇌역할을 하는 핵심 기술인 '소프트웨어' 기술은 아직 월등하다고 밝혔다. 백 상무는 " 중국 제품의 경우 무료채널은 한국에서 영어만 지원되지만, LG TV는 150개국 언어를 제공하는 등 지역에 맞춤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 밖에도 백 상무는 미국 정부의 관세 정책과 관련 대응책도 마련 중이라고 밝혔다. 그는 "관세를 덜 부과 받는 국가에서 생산하는 방법 밖에 없다"며 "현재 인프라에서 어떻게 하면 관세를 덜 부과 받을 지 고민 중"이라고 말했다. 이어 "미국에 공장을 지으려면 주변에 SOC, 패널 등 공장이 있어야 해서 당장 만들긴 힘들다" 고 말했다. 한편, 이번에 출시할 77인치 올레드 TV의 국내 출하가는 640만~900만원, 75인치 QNED TV는 319만~469만원이다.

2025-03-11 16:48:16 구남영 기자
기사사진
中企 옴부즈만, 전북도와 규제혁신 추진 '맞손'

업무협약 맺고 중앙·지방 규제혁신 협업 崔 "일자리 창출·기업 활력 제고등 지원" 중소기업 옴부즈만과 전북특별자치도가 지속가능한 중소기업 규제혁신을 추진하기 위해 손을 잡았다. 중기 옴부즈만은 11일 오후 전북도청에서 전북자치도와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옴부즈만과 지방정부간 중앙·지방 규제혁신 협업을 위해 마련했다. 두 기관은 전북자치도의 글로벌 생명경제 도시 조성과 지역경제 활성화를 공동 목표로 규제혁신 협력체계를 구축하고, 규제 정보·사례의 공유, 규제 공동조사·발굴, 홍보활동 등을 위해 노력해 나갈 계획이다. 최승재 옴부즈만은 "업무협약은 지자체 차원에서 직접 해결하기 어려운 규제·애로를 옴부즈만이 맞춤형 규제컨설팅을 통해 지원하는 데에 방점을 두고 있다"면서 "일자리 창출, 기업 활력 제고를 통해 기업하기 좋은 지역으로 발돋움하도록 전방위적으로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옴부즈만과 전북자치도는 이날 중앙·지방 규제혁신 합동간담회도 개최했다. 간담회에서는 전북자치도 내 계획관리지역 숙박시설의 도로 경계로부터 이격거리 완화, 새만금지역 공유수면 내 부지사용료 이중부과 개선, 외국인관광 도시민박업 등록요건 완화 등 주요 과제 10건을 논의했다. 김종훈 전북자치도 경제부지사는 "앞으로 옴부즈만과 협업체계를 통해 도내 기업 및 소상공인의 성장과 혁신을 가로막는 규제·애로를 지속적으로 개선해 지역경제를 활성화하겠다"고 말했다.

2025-03-11 16:26:38 김승호 기자
기사사진
벤처協, 'AI 혁신 세미나' 개최…회원사 AX 지원나서

AI 기술 현주소 조명, 글로벌 산업 동향 발표 등 진행 벤처기업협회 AX브릿지위원회가 '2025 AI 혁신 세미나'를 열고 회원사들의 인공지능(AI) 전환 지원에 나섰다. 11일 벤처협회에 따르면 AX브릿지위원회는 지난해 7월 벤처기업의 AI 전환을 지원하기 위해 출범, 현재 운영위원 20여명이 벤처기업의 AI 경쟁력 확보에 힘쓰고 있다. 이번 세미나는 AI 기술이 급변하는 시대에 AI 기술의 현주소를 파악하고, 불확실성 속에서 답을 찾아가는 여정에 함께하기 위해 마련했다. 발표는 글로벌 AI 산업 트렌드 및 제도 분석, AI 혁신 사례 발표 등으로 진행됐다. 첫 번째 세션에서는 김동환 포티투마루 대표가 'CES 2025를 통해 본 글로벌 AI 산업 동향'을 주제로 발표하며 AI 기술 트렌드와 벤처 기업의 생존 전략을 제시했다. 이어서 리걸AI 기업 BHSN의 임정근 대표이사는 가장 먼저 AI에 대한 규제를 시작한 EU, 글로벌 AI 패권을 장악을 시도하는 미국의 AI 주요 정책 동향, 한국 AI 산업 성장을 위한 과제 등을 설명했다. AI 혁신 사례 발표 세션에서 유승재 페르소나AI 대표는 'GEN AICC 기반 인터넷 없이 동작하는 AI 혁신'을 주제로 엣지 AI로의 변화를 심도 있게 다뤘다. 이기욱 휴로틱스 대표는 AI 기술이 웨어러블 로봇에 활용되는 사례를 발표했다. 유수연 네이션에이 대표는 차세대 3D 콘텐츠 창작 서비스를 소개하며 AI를 통한 3D 콘텐츠 제작 혁신을 제시했다. AX브릿지위원회 위원장을 맡고 있는 이주완 메가존클라우드 의장은 "AX 사례 발굴·전파, 인공지능 관련 법·규제 개선, 참여 위원 모집을 통한 위원회 외연 확대 등 적극적인 활동을 통해 AI 산업 육성과 전 산업 분야의 AI 전환을 주도하고, 벤처기업의 경쟁력 강화에 힘쓸 계획"이라고 밝혔다.

2025-03-11 16:10:55 김승호 기자
기사사진
중기중앙회, 더불어민주당에 中企협동조합 '협의요청권' 도입등 요청

민주당 산자위·기재위 소속 의원들과 간담회…'주 52시간제' 현실에 맞게 金 회장 "협의요청권, 22대 국회서 통과 기대…중처법 문제도 개선안 마련" 소기업·소상공인 특화 T커머스 채널 신설, '기업승계특별법' 제정 목소리 중소기업중앙회가 더불어민주당측에 중소기업협동조합들의 협상력을 높이기위해 협의요청권을 도입해 달라고 요청했다. 또 '주 단위' 연장근로는 현실에 맞지 않아 '주 52시간제'도 개선해달라고 전했다. 중기중앙회는 11일 오후 서울 여의도 본회에서 더불어민주당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기획재정위 소속 의원들과 간담회를 열고 ▲중소기업 상생금융지수도입 ▲소기업·소상공인 특화 T커머스 채널 신설 ▲중소기업 기업승계특별법 제정 ▲납품대금 연동제 적용대상 주요경비까지 확대 등에 대해 논의했다. 간담회에는 민주당에선 박홍근 의원(더불어민주당 전국직능대표자회의 공동의장), 김교흥 의원(산자중기위 책임의원), 이언주 의원(최고위원), 김원이 의원(산자중기위 간사) 등 6명이 참석했다. 중기중앙회에선 김기문 회장을 비롯해 권혁홍·배조웅 수석부회장, 심승일·노상철·한병준 부회장 등 14명이 자리했다. 김 회장은 "중소기업협동조합 협의요청권 도입은 김원이 국회 산자중기위 간사님께서 대표 발의한 만큼 22대 국회에서 꼭 통과되기를 기대한다"며 "중소기업 현장에서 가장 많이 애로를 겪고 있는 주 52시간제와 중대재해처벌법 문제는 심도 있게 검토해 개선방안을 찾아주길 바란다"고 강조했다. 중소기업계에선 대·중소기업간 거래상 지위 차이와 취약한 협상력 때문에 납품단가 등에서 대등한 협의가 어렵고, 특히 거래상 지위 고착은 개별 기업 차원에선 해결할 수 없어 중소기업협동조합법을 개정해 협의요청권을 도입해야한다고 주장해왔다. 일본의 경우 협동조합은 '단체협약'을 활용해 거래상대방과 가격, 물량 등 거래조건을 협상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호주도 '경쟁 및 소비자위원회(ACCC)'를 통해 단체교섭을 허용하고 있다. 근로기준법 및 시행규칙을 개정해야하는 주 52시간제의 경우 '주 단위' 연장근로가 중소기업들의 경쟁력을 약화시키는 요인이 되고 있다는 지적이다. 특히 수출·제조기업의 경우 수위탁거래가 많아 근로시간을 스스로 결정하기 어렵고, 납기가 곧 기업경쟁력 및 수주와 직결돼 주 단위 연장근로는 현실에 맞지 않는다는 목소리가 곳곳에서 나오고 있다. 화장품을 수출하고 있는 한 중소기업 관계자는 "재료를 받는 기간과 제품을 생산해 납품하는 기간이 모두 지연돼 납기가 늘어나면서 홍콩 거래처로부터 항의를 받고 있다"고 애로를 전했다. 이에 따라 중소기업계는 노사 합의시 연장근로 관리단위를 '주·월·분기·반기·년'으로 확대해야한다는 입장이다. 또 '업무량 폭증' 등 인가요건을 명확화하고 불인정 사유를 삭제하는 등 특별연장근로 인가요건도 완화해야한다고 덧붙였다. 박홍근 의원은 "더불어민주당은 경제현안을 챙기기 위해 310개에 달하는 직능단체를 의원별로 전담하기로 했다"면서 "중기중앙회 전담 의원으로 지정된 만큼 앞으로 더불어민주당과 중소기업 현장의 가교 역할을 하겠다"고 전했다. 김교흥 의원은 "기업환경이 IMF때보다 더 힘들다는 탄식이 여기저기서 터져나오고 있다. 중소기업을 살리고 키우는 것이 막혀있는 한국경제의 물꼬를 터주는 것"이라면서 "근로자들의 안전과 기업들의 경영 '두 마리 토끼'를 잡을 수 있는 방법을 찾아내겠다"고 밝혔다.

2025-03-11 16:00:19 김승호 기자
기사사진
‘머스크’ 향한 도발…기아VS테슬라 신경전 치열

기아 노르웨이 대리점에서 EV3 홍보에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를 도발하는 마케팅을 선보였다. 글로벌시장에서 기아 EV3 판매량은 늘어나고 있는 반면 테슬라 판매량은 감소하는 상황에서 신경전을 펼친 것으로 보인다. 11일 업계에 따르면 기아 노르웨이 공식 대리점(대리점)은 기아의 소형 전기차 'EV3' 홍보를 목적으로 일론 머스크를 저격했다. 대리점은 EV3 좌측 후미등쪽에 'I BOUGHT THIS AFTER ELON WENT CRAZY(일론 머스크가 미친 뒤 구매하는 차)'라고 쓰여진 차량 광고를 선보였다. 대리점은 해당 광고를 이달 초부터 노르웨이 주요 신문 및 소셜미디어(SNS) 계정에 게재했다. 이를 본 머스크는 자신의 X(구 트위터) 계정을 통해 'They really did that?(그들이 정말 그래요?)라고 적으면서 신경전을 펼쳤다. 지난 몇 달 동안 논란이 되고 있는 머스크의 발언, 비즈니스 결정, 정치적 견해 등을 본 테슬라 소유주들 사이에서는 머스크를 비판하는 대리점의 홍보가 인기를 끌고 있다. 머스크가 발끈 한 이유는 최근 부진한 테슬라 판매량 때문으로 보인다. 실제 지난 1월 중국을 제외한 세계 각국에 차량 등록된 전기차를 분석한 결과, 폭스바겐그룹이 테슬라를 제치고 판매량 1위에 올랐다. 폭스바겐 그룹은 전년 대비 68.5% 증가한 8만2000대 판매량을 기록한 반면 2위를 기록한 테슬라는 전년 동기 대비 14.7% 감소한 5만7000대를 판매했다. 특히 유럽에서는 전년 동기 대비 45.9%, 북미에서는 2.1%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현대자동차그룹은 3위를 차지하면서 전년 동기 대비 8.4% 성장한 약 3만7000대의 전기차를 판매했다. 또한 테슬라의 올해 1월 유럽 31개국의 전기차 신규등록 대수는 9945대로, 전년 동기(1만8161대)와 대비 45.2% 급감했다. 같은 기간 기아는 26.2% 증가한 7944대를 판매했고 그중 EV3는 5005대가 팔리며 월간 기준 최다 판매를 기록했다. 기아 EV3는 소형 전기차 라인에서 최고 수준의 가격·상품 경쟁력을 갖췄다. 유럽 인증 기준 1회 충전 시 605㎞의 주행 가능 거리와 3만 유로(약 4496만 원)대 판매 가격으로 큰 인기를 끌고 있다. 반면 테슬라 모델Y의 경우 가장 저렴한 후륜구동 제품 시작가는 4만4990유로(약 6525만원), 1회 충전 시 609km 주행가능하다. 송호성 기아 사장은 서 '2025 기아 EV 데이'에서 "전기차 캐즘 등으로 시장의 불확실성이 높지만 전동화를 향한 확고한 신념으로 시장 트렌드를 바꾸겠다"고 강조했다. 기아 관계자는 "이번 일론 머스크 도발 홍보는 본사 마케팅이 아닌 기아 노르웨이 대리점의 자체 마케팅으로 본사와는 아무런 연관이 없다"고 말했다. /이승용기자 lsy2665@metroseoul.co.kr

2025-03-11 15:58:47 이승용 기자
기사사진
법무법인 디엘지, 세무법인 설립…종합 세무 서비스 확장

국세청 23년 경력 추순호 대표 세무사…세무·법무 '원스톱 서비스' 법무법인 디엘지가 세무법인을 설립하고 종합 세무 서비스 분야로 업무 영역을 확장한다. 법무법인 디엘지는 세무법인 디엘지와 전략적 협력을 통해 기업과 개인 고객에게 법률과 세무를 아우르는 통합 전문 서비스를 제공한다고 11일 밝혔다. 세무법인 디엘지는 국세청 23년 경력의 추순호 대표 세무사를 중심으로, 국내 유수 회계법인 등에서 경력을 쌓은 세무사들이 포진해 있다. 특히, 추 대표 세무사는 국세청 조사국과 검찰청 특수부 파견 경험을 바탕으로 세무조사 및 조세불복 분야에서 차별화된 경쟁력을 보유하고 있다. 이외에도 세무법인과 블록체인 기업 등에서 경험을 쌓은 박솔 세무사 등 다양한 경력의 전문가들이 파트너로 참여하고 있다. 세무법인 디엘지는 세 가지 핵심 가치를 중심으로 서비스를 제공한다. ▲세무와 법무를 아우르는 원스톱 서비스 ▲업종별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세무 솔루션 ▲국내외 세무 전문가들의 협업 시스템을 통한 전문적 통합 서비스다. 주요 서비스 영역으로는 세무진단부터 세무조사 지원, 세무자문 및 컨설팅, 양도·상속·증여 컨설팅까지 아우른다. 특히 법무법인 디엘지가 강점을 가지고 있는 가상자산, 핀테크 분야의 세무 이슈에 대한 차별화된 전문 서비스도 제공한다. 추순호 대표세무사는 "급변하는 글로벌 세무 환경 속에서 기업과 개인 고객에게 최적화된 세무 솔루션을 제공하겠다"며 "특히 해외 진출 기업들의 국제 조세, 이전가격, 세무조사 대응 등에서 차별화된 전문성을 바탕으로 고객의 사업 목표 달성을 위한 전략적 파트너가 되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조원희 대표변호사는 "세무법인 디엘지의 설립으로 세무조사 대응, 조세불복 등 세무 분야에서의 전문적인 서비스가 가능하게 됐다"며 "M&A나 해외진출, 그리고 가상자산 및 핀테크 분야는 법률과 세무 이슈가 복합적으로 문제되는 경우가 많은데 법무법인과 세무법인의 시너지를 통해 복잡한 디지털 자산 규제 환경에서 법적 리스크와 세무 이슈를 동시에 해결하는 통합 솔루션을 제공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2025-03-11 15:51:41 김승호 기자
기사사진
KGM, 첫 HEV 모델 '토레스 하이브리드' 출시…3000만원 초반대 가격 책정

KG모빌리티(이하 KGM)가 급성장하고 있는 하이브리드 시장에 '토레스 하이브리드'로 도전장을 던졌다. 국내 하이브리드 시장은 2020년 이후 연평균 44%(CAGR)가 넘는 성장세를 기록하고 있다. 지난해는 전체 SUV 판매 중 34%가 하이브리드 모델일 정도로 시장은 다양한 변화를 요구하고 있다. KGM은 급변하는 시장(고객)의 요구에 대응하기 위해 '토레스 하이브리드(HEV)'를 출시했다고 11일 밝혔다. '토레스 하이브리드'는 KGM이 선보이는 첫 번째 하이브리드 모델로 이다. 정통 SUV 스타일의 '토레스 하이브리드'는 ▲경쟁 하이브리드 대비 가성비 있는 가격 경쟁력 ▲일상 도심 주행에서의 최적화된 전기 주행 모드 구현 ▲최고 수준의 연비 개선율 ▲정통 아웃도어 감성 및 안정적인 승차감 ▲AVNT 등 고객 편의사양 업그레이드 등의 상품성을 갖춰 새롭게 태어났다. 토레스 하이브리드는 '듀얼 테크 하이브리드 시스템'으로 직병렬 듀얼 모터가 장착된 차세대 하이브리드 시스템을 적용해 우수한 연비 효율을 달성했다. 토레스 가솔린 모델 대비 41% 향상된 복합 연비 15.7km/L(18인치휠 기준/도심 16.6km/L)를 달성해 동급 경쟁 모델의 30%(가솔린 모델 대비 연비 개선 효율) 수준보다 월등히 높다. 20인치휠을 장착한 '토레스 하이브리드'는 동급 하이브리드 모델 중 가장 뛰어난 15.2km/L의 복합 연비를 자랑한다. 토레스 하이브리드는 경쟁 모델 대비 가장 큰 용량의 1.83kWh 배터리를 탑재해 안정적인 전류 공급으로 시스템의 효율성을 극대화했다. 이에 더해 130kw의 대용량 모터를 적용해 전기차다운 다이내믹한 드라이빙이 가능하며, 12V LFP 저전압 배터리를 적용해 반영구적으로 사용 가능하다. 차량 판매 가격은 개소세(3.5%) 및 친환경차 세제혜택을 받으면 ▲T5 3140만원 ▲T7 3635만원이다. KGM 관계자는 "가솔린 모델 및 바이퓨얼, 전기차에 이어 하이브리드 모델까지 더해 고객의 라이프 스타일 등 니즈에 따라 선택 할 수 있는 파워트레인별 풀 라인업을 갖췄다"며 "KGM은 토레스 하이브리드 출시를 시작으로 다양한 차종의 하이브리드 모델을 선보이며 하이브리드 대중화에 앞장서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2025-03-11 15:43:01 양성운 기자
기사사진
정유업계, 블루수소 전환 속도…생존 위한 '탈탄소 전략'

SK이노베이션 등 국내 정유사들이 탄소중립 실현과 신성장 동력 확보라는 두 마리 토끼를 동시에 잡기 위해 '블루수소'에 주목하고 있다. 기존 정유 인프라와 기술력을 활용해 '친환경' 수소를 생산할 수 있다는 점에서 현실적인 '탈탄소 전략'으로 평가받고 있다. 11일 시장조사업체 마켓앤마켓에 따르면, 2030년 글로벌 수소 시장 규모는 약 4110억달러(약 550조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현재 전 세계 수소 생산의 약 90%는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많은 '그레이수소'다. 반면, '블루수소'는 천연가스에서 수소를 추출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를 포집·저장해 탄소 배출을 최소화한 친환경 수소다. 궁극적으로는 태양광이나 풍력 등 재생에너지로 물을 전기 분해해 생산하는 '그린수소'가 가장 친환경적이지만, 현재 기술 수준과 경제성을 고려할 때 블루수소가 현실적인 대안으로 평가된다. 이에 국내 정유업계는 수소 생산부터 유통, 충전 인프라 구축까지 밸류체인 전반으로 사업영역을 확장하며, 수소 경제 전환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SK이노베이션은 지난해 SK인천석유화학 공장에 액화수소플랜트를 건설하고, 정유 공정에서 발생하는 그레이수소(부생수소)를 활용해 연간 3만톤의 액화수소를 생산하고 있다. 최근 인천 공장의 이산화탄소 포집·활용·저장(CCUS) 효율을 89%까지 개선해 연간 블루수소 생산량을 3.5만 톤으로 늘렸으며, 생산원가를 kg당 2.8달러까지 낮췄다. 에너지경제연구원에 따르면, 2025년 기준 블루수소 생산원가는 kg당 2.5~3달러로, kg당 6.8달러 수준인 그린수소보다 경제성이 높다. HD현대오일뱅크는 '수소 드림(Dream) 2030 로드맵'에 따라 충남 서산시에 연간 약 20만 톤 규모의 수소 생산 설비를 운영하고 있다. '수소 드림 2030 로드맵'은 HD현대 계열사들이 오는 2030년까지 육·해상에서 수소의 생산·운송·저장·활용까지 밸류체인을 구축하는 HD현대그룹의 미래 성장 전략이다. GS칼텍스는 수소 생산 과정에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를 CCUS 사업에 활용하고 있다. 지난해 한국화학연구원과 이산화탄소 포집·활용(CCU) 사업 협력 및 전략적 제휴를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으며, 전라남도 및 여수시와도 CCU 메가 프로젝트 추진을 위한 협약을 맺었다. 이를 바탕으로 여수산단에서 기술 연구와 실증을 진행할 계획이다. 전문가들은 정유업계의 블루수소 전환이 단순한 친환경 투자가 아니라 기업의 생존과 직결된 문제라고 분석했다. 한 에너지 관련 연구원은 "전통적인 정유 사업만으로는 미래 성장 동력을 확보하기 어려운 게 사실"이라며 "지금은 블루수소를 중심으로 사업을 확장하고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그린수소까지 포트폴리오를 다각화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정부는 '2050 탄소중립 추진전략'을 통해 수소 등 무탄소 에너지원의 발전 비중을 2050년까지 13.8~21.5%로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지난해 1월에는 이산화탄소 포집·수송·저장 및 활용에 관한 법률(CCUS법)'을 제정해 2030년까지 소규모 실증기술, 2050년까지 대규모 실증기술 개발을 완료하겠다는 목표를 내세웠다.

2025-03-11 15:03:44 이혜민 기자
기사사진
금융사 10곳 중 9곳 “비금융업 칸막이 규제로 경쟁력 저하”

산업 간 경계가 모호해지는 시대에 비금융업 진출 규제 때문에 금융업 경쟁력 전반이 약화하고 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대한상공회의소는 최근 210개 금융회사를 대상으로 '금융회사의 비금융업 영위 현황과 개선 과제'를 조사한 결과를 11일 발표했다. 응답 회사의 88.1%는 해외 금융회사 및 빅테크 기업과의 경쟁에서 비금융업 진출을 막는 국내 칸막이 규제가 산업 경쟁에 불리하다고 답했다. 또한 71.5%는 비금융 업종도 함께 영위할 필요성을 느낀다고 했으나 실제로는 비금융업도 하는 회사(39.5%)보다 금융업만 하는 회사(60.5%)가 훨씬 많았다. 규제 개선을 위한 구체적 정책 과제(복수응답)로는 '금융회사의 부수업무 범위 확대'(55.2%)가 가장 많았고 이어'자회사가 영위할 수 있는 비금융업종 범위 확대'(53.3%)와 '비금융사 출자한도 완화'(41.9%),'혁신금융서비스 개선'(40.0%), '금융회사의 본질적 업무 위탁 허용'(31.4%) 등이 뒤를 이었다. 특히 금융사가 수행할 수 있는 부수업무를 제한적으로 열거하는 '포지티브 방식'에서 원칙적으로 허용하고 예외적으로 제한하는 '네거티브 방식'으로 전환해야 한다는 의견이 많았다. 정부 차원에서 한때 논의됐으나 추진 동력을 잃은 상태다. 혁신금융서비스 제도에 대한 불만도 제기됐다. 한 투자회사 관계자는 "IT 사업을 혁신금융서비스로 지정받은 다른 금융사와 협업하려 했으나 샌드박스 기간 중간에 참여할 수 없었다"며 "2년이 지나도 관련 법이 정비되지 않아 산업 자체가 도태될 위기"라고 말했다. 이어 "이러한 규제가 오히려 혁신 중소기업보다 대기업에 유리하게 작용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해외 금융사들은 규제 완화를 통해 비금융업을 적극 활용하고 있다. 미국 JP모건체이스의 자회사 체이스은행은 여행 플랫폼 'Chase Travel'을 출시해 신용카드 사업과 시너지를 창출하며 2023년 미국 5위 여행사로 성장했다. 모건스탠리는 지난 2019년 이후 4개의 헬스케어 기업을 인수하며 M&A 및 자문 사업을 확대했다. 일본 역시 지난 2016년 은행법 개정을 통해 핀테크 기업 출자 제한을 완화하고 은행들이 지역 특산품 유통업, 광고업, 인력소개업 등 다양한 비금융업을 영위할 수 있도록 허용했다. 지방은행들은 이를 통해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하고 있다. 반면 한국은 금융-비금융 간 칸막이가 여전히 높다. 금융지주회사는 비금융사 지분을 5% 이상 보유할 수 없고 은행·보험회사는 비금융사에 대한 출자를 15% 이내로 제한받고 있다. 이로 인해 금융사들이 신사업을 추진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강석구 대한상의 조사본부장은 "한국은 금융업의 비금융업 영위가 원칙적으로 제한되고 예외적으로만 허용되다 보니 글로벌 금융사와의 경쟁이 어려운 실정"이라며 "기술과 금융이 융합하는 시대에 맞춰 금융산업이 보다 자유롭게 성장할 수 있도록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승용기자 lsy2665@metroseoul.co.kr

2025-03-11 14:57:00 이승용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