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문화
기사사진
롯데시네마, '시간대별 차등 요금제' 도입…주중↓-주말↑

CGV에 이어 롯데시네마도 영화 관람료 체계를 변경한다. 롯데시네마는 "27일부터 새로운 요금 체계를 도입한다"며 "영화 관람객의 선택의 폭을 넓혀 영화 관람 환경을 개선하고 이를 통해 영화 관람의 저변을 확대하기 위함"이라고 밝혔다. 롯데시네마의 새로운 영화 관람 요금 체계의 주된 내용은 기존에 시행해온 '시간대별 차등 요금제'의 세분화다. 서울 주요 롯데시네마 기준으로 △조조(오전 10시30분 이전) △일반(오전 10시30분 이후)이라는 기존 2개의 시간대에서 4개의 시간대로 개편한다. 개편된 시간대는 △조조(오전 10시 이전) △일반(오전 10시~오후 1시) △프라임(오후 1시~오후 11시) △심야(오후 11시 이후)로 구성된다. 이를 바탕으로 주중 '일반'과 '심야' 타임은 기존 대비 2000원 인하된 7000원으로, 주말 및 공휴일 '조조'와 '프라임' 타임은 기존 대비 1000원 인상된 7000원과 1만1000원, '심야' 타임은 1000원 인하된 9000원으로 변경된다. 그 외의 시간대는 기존의 가격과 동일하다. 롯데시네마 측은 "주중 시간대 및 주말 '심야' 시간대에 대한 요금 인하를 통해 특정 시간대에 집중되는 관객을 분산시킬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단 롯데시네마는 CGV처럼 '좌석별 차등 요금제'를 적용하지 않는다. 대신 상대적으로 선호되지 않는 A열에 한해 1000원의 추가적인 좌석 할인 혜택을 제공한다. 또한 신규 요금 체계 도입과는 별도로 기존에 진행해온 장애인, 시니어, 군인 등 문화적 소외계층에 대한 영화 관람 혜택은 지속적으로 유지한다. '행복한 예비 엄마 세상 만들기 행사'와 조부모·한부모·다문화 가정 등을 대상으로 하는 '나눔 시사회' 같은 사회공헌활동도 지속적으로 확대 시행할 예정이다. 롯데시네마는"세분화된 차등 요금제를 도입함으로써 고객이 상황에 맞게 보다 합리적으로 관람 시간을 선택할 수 있을 것"이라며 "주중 요금 인하가 주말로 편중되던 관객의 평일 관람으로 이어져 보다 쾌적하고 편안한 관람 환경이 조성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전했다. 또한 "앞으로도 상영관 리뉴얼과 신규 장비 도입, 영화관 청결관리확대 등 영화관 관람 환경 개선을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2016-04-21 12:55:56 장병호 기자
기사사진
주말, 북촌에서 전통문화체험 하자!

주말, 북촌에서 전통문화체험 하자! 23일 오전 10시~오후 4시, 전통공예체험행사 개최 서울시는 23일 오전 10시~오후 4시 종로구 북촌문화센터에서 '4월의 전통문화체험' 행사를 개최한다고 21일 밝혔다. 북촌문화센터는 매월 넷째주 토요일 또는 고유절기에 맞춰 전통문화체험행사를 정례적으로 해오고 있다. 이번 행사는 ▲전통섬유그림 가방 만들기 ▲한지 꽃신 만들기 ▲생활자수 손수건 만들기 ▲풀짚 오리 계란꾸러미 만들기 등의 체험으로 구성됐다. 시민과 국내외 방문객에게 특별한 경험과 즐거움을 선사할 것으로 보인다. 전통섬유그림은 우리의 전통복식과 현대의상을 접목하여 실생활에서도 착용이 가능하도록 섬유에 별도의 본 없이 원터치로 그림을 그린 후에 손바느질로 완성하는 것을 말한다. 이광희 강사가 진행을 맡는다. 한지 꽃신 만들기는 최연정 강사가 지도한다. 아름다운 색과 질감을 지닌 한지로 소도구를 만들어 보는 기회가 될 것이다. 장혜경 강사가 진행하는 생활자수 체험에서는 다가오는 여름에 대비해 나만의 자수가 새겨진 손수건을 만들어 본다. 이밖에 풀짚으로 계란꾸러미를 만들어보는 풀짚공예 시간도 마련됐다. 한편 북촌문화센터에서는 전통공예·문화 분야의 17명의 강사가 일반 시민과 주민을 대상으로 30여개의 다양한 강좌를 운영하고 있다. 자세한 사항은 북촌한옥마을 홈페이지(http://bukchon.seoul.go.kr)를 참고하면 된다. 정유승 서울시 주택건축국장은 "북촌주민과 방문객이 함께 참여하고 즐길 수 있는 전통문화행사를 통해 북촌의 장소적 가치와 전통문화에 대한 시민의 관심을 높일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IMG::20160421000064.jpg::C::480::북촌문화센터 한지꽃신./서울시}!]

2016-04-21 11:17:00 신원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