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미술사학회, 7일 '디지털 헤리티지' 주제 추계학술대회 개최
한국미술사학회(회장 강희정)는 오는 7일 서울 용산구 국립중앙박물관 소강당에서 '한국미술의 확장: 디지털 헤리티지' 라는 제목의 2024년 추계학술대회를 개최한다고 2일 밝혔다. 이번 학술대회는 한국미술을 활용한 실감 영상과 미디어 파사드, 인터랙티브 미디어아트 등의 제작이 증가하는 현실에 맞춰 디지털 헤리티지를 기반으로 한 '한국미술과 첨단 디지털 기술의 융합'에 대한 학술적 평가와 전망을 모색하기 위해 기획되었다. 특히 한류로 인해 한국 문화와 예술에 대한 세계적 관심이 집중되고 있는 현시점에서 디지털 헤리티지의 제작과 보급이 한국문화의 정체성을 널리 알리고, 우리 문화유산의 미래가치를 높이는 혁신적 매체로서 어떻게 기능할 수 있는지를 다각도로 논의할 예정이다. 총 3부로 진행되며 ▲ 제1부에서는 '디지털 헤리티지의 과거와 현재'에 대한 2편의 주제 발표와 토론, ▲ 제2부는 '디지털 헤리티지의 확장성, 체험과 소통'을 주제로 하는 3편의 발표와 토론, ▲ 제3부는 '한국 디지털 헤리티지의 활용, 그리고 세계화'를 다루는 3편의 발표와 토론이 이뤄진다. 1부는 '디지털 시대의 미술사: 디지털 헤리티지 연구의 현황과 성과(김은경, 고려대학교)', '국가유산과 미디어아트 접목을 통한 국가유산의 가치 전달(이지연, 국가유산진흥원)' , 2부 '박물관 경험의 확장과 재구성: 디지털 헤리티지의 가치와 과제(장은정, 국립중앙박물관)','디지털 헤리티지의 구축과 활용: 박물관과 미술관의 사례를 통해 본 문화 확산의 가능성(조상인, 서울경제미술연구소)', '디지털 테크놀로지를 통한 회화의 확장 가능성(우정아, 포항공과대학교)' 등의 주제발표가 있을 예정이다, 3부에는 '아키텍츄얼 미디어와 한국미술의 확장(이호준, 캡티비전코리아)', '디지털 헤리티지와 미술사적 상상력: 금강산관동팔경도를 중심으로(김울림, 국립익산박물관)','K-아트로서의 디지털 민화의 가능성(정병모, 前 경주대학교)'편의 발표가 이뤄진다. 한국미술사학회는 이번 학술대회를 통해 전통적인 미술사 방법론에만 머물지 않고, 디지털 문화유산을 통해 대중과 적극 교감하며 수용자의 입장을 포괄하는 새로운 융합 연구의 가능성을 모색할 예정이다. 본 학술대회는 한국연구재단과 POSCO의 후원으로 개최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