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산업>정책
기사사진
환경부, 올해 수소버스 10대 중 3대 인천 배치...충전시설 구축 등 이행방안 논의

정부가 올해 전국에 보급할 예정인 수소버스의 30%가량이 인천에 배당된다. 환경부와 인천시는 오는 29일 인천광역시 의회에서 지역 버스기사들과 간담회를 갖고, 이 같은 수소버스 전환 이행방안 마련을 논의한다고 28일 밝혔다. 인천시는 올해 환경부의 수소버스 보급 목표인 1720대 중 광역지자체 가운데 최대 물량인 505대(29.4%)를 보급할 계획이다. 시는 액화수소플랜트와 수소충전소 구축에 적극적으로 나서는 등 수소버스 생태계 선도도시를 겨낭하고 있다. 간담회에서는 인천광역시 수소버스 보급계획 및 수소버스 충전 기반시설(인프라) 현황 등을 공유할 예정이다. 또 안정적인 수소버스 운영에 필요한 사항에 대해 운수업체들의 의견을 청취하고 협력방안 등을 논의하게 된다. 이창흠 환경부 기후탄소정책실장은 "인천광역시에서 수소버스 전환 정책을 선도하고 있다"며 "정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수소버스 정비와 충전시설이 뒷받침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수소버스 제작사-수소충전소 구축·설비사, 수소버스 운수사 간 긴밀한 협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박덕수 인천시 행정부시장은 "환경친화적 수소버스의 안정적 운영과 기반시설 구축을 통해 시민들이 편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2024-03-28 13:52:06 김연세 기자
기사사진
금감원, 회계심사·감리 운영계획 발표…"연내 160개 상장사 재무제표 심사"

금융감독원이 올해 회계심사·감리업무 기본방향을 발표했다. 금감원은 28일 회계정보의 투명성과 신뢰성을 제고하고 신뢰받는 자본시장 확립을 위해 연간 회계심사·감리업무 기본방향과 실시계획을 마련했다고 밝혔다. 이 기본방향에 따라 올해 상장법인 등 160개 회사에 대한 재무제표 심사·감리 및 회계법인 14개 회사에 대한 감사인 감리를 실시할 예정이다. 금감원은 올해 회계 심사·감리 업무 기본방향으로 ▲감리 업무의 투명성 강화를 통한 대외 신뢰 제고 ▲중대사건 역량 집중을 통한 회계 질서 확립 ▲회계업계 규율 확립을 통한 감사품질 제고 등으로 정했다. 먼저 감리 업무의 투명성을 강화해 대외적 신뢰를 높이는 데 주력한다. 모든 심사·감리과정의 절차들이 명확한 근거를 가지고 투명하고 일관성 있게 이루어지도록 할 방침이다. 이를 위해 관련 매뉴얼을 정비하고 구두를 통한 자료제출 요청은 엄격히 제한하고, 변호사 등 조력자 활동 범위에 대한 이견 등은 문서화한다. 심의기능 강화를 위해 과징금 20억원 이상 등의 중요사건에 대해서는 사전 심의 회의를 신설하고, 부서내 심사 전담자 및 의무 심사기간(1주일) 운영할 계획이다. 이 외에도 방어권 보장 차원에서 감리 착수이후 회사가 재무제표 정정 등 위반을 인정하고 협조하는 경우 인센티브 부여방안을 마련할 예정이다.요청할 경우 대면해 절차 및 조치사유 등을 안내한다. 이어 금감원은 중대사건 역량 집중을 통한 회계질서 확립에도 나선다. 고의적 회계부정 가능성이 높은 기업과 시장영향력 큰 기업 선정 비중을 확대하고 자료수집을 위한 현장감리를 적극 실시할 방침이다. 또한 '테마심사' 회사 수를 확대해 위험요소 및 특이사항 등 핵심사항 위주로 점검하고 신속히 종결한다는 계획이다. 올해 테마심사 주제로는 ▲매출채권 손실충당금 ▲CB 콜옵션 ▲장기공사수익 ▲우발부채 공시 등이 있다. 아울러 내부 심사·감리 진행 상황을 시스템을 통해 관리하고, 디지털 감리를 위한 소프트웨어 및 분석시스템 마련한다. 회계업계 규율 확립을 위한 감사품질 제고를 위해서는 상장법인 감사인에 대해 인사·자금·회계 등의 실질적 통합관리 등 등록 요건 유지 여부를 중점 점검할 계획이다. 부적격 회계법인에 대한 엄정 조치 등을 통해 시장 선순환을 유도하고, 시장 영향력이 큰 빅4(삼일·삼정·안진·한영)에 대해서는 자료요구·분석을 위한 사전 감리기간을 별도 부여하는 등 감리프로세스 개선하기로 했다. 품질관리 수준 평가 결과 등을 감안해 미흡한 회계법인에 대한 감리 주기는 단축한다. 감사환경 변화 등을 고려하여 품질관리 수준 평가지표 개선을 추진하고, 회계법인의 디지털 감사 기술 도입도 지원한다. 한편, 14개 회계법인에 대한 감사인 감리도 실시한다. 3년 기준 감리주기가 도래한 9곳을 선정한 후, 시장영향력과 품질관리수준 평가결과 등을 고려해 5곳을 추가 선정할 방침이다. 품질관리 수준 평가 결과 미흡 회계법인에 대해선 기존 3년에서 2년으로 감리 주기를 단축한다.또한 대표이사에 대한 견제 장치와 같은 지배구조 운영의 실효성 등 회계법인의 취약한 부분에 대해 중점적인 점검을 할 예정이다. 미국의 상장회사 회계감독위원회(PCAOB)와 공조해 국내 회계법인에 대한 공동검사도 진행한다. /허정윤기자 zelkova@metroseoul.co.kr

2024-03-28 13:17:21 허정윤 기자
기사사진
중기부, 대기업등과 협업 스타트업 64곳 모집

'민관협력 오픈이노베이션 프로그램' 진행 29일부터 접수 사업화·기술개발자금 지원…문제해결형·자율제한형 구분 중소벤처기업부가 대기업 등과 협업할 스타트업 64곳 안팎을 찾는다. 28일 중기부에 따르면 '민관협력 오픈이노베이션(OI) 지원사업'의 문제해결형(Top-Down)과 자율제안형(Bottom-Up) 프로그램에 참여할 스타트업을 29일부터 모집한다. 민관협력 오픈이노베이션 지원사업은 중기부가 대·중견·공공기관과 스타트업 간 상생협력의 개방형 파트너십을 유도하고 협업체계를 구축·지원하는 사업이다. 선정 기업에게는 과제 해결을 위한 아이디어 구체화 및 협업 과정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최대 1억원의 사업화 자금과 기술개발자금(최대 1억2000만원 이내) 등을 후속 지원한다. 문제해결형 프로그램에는 협업과제를 낼 수요 대기업(공공기관)으로 GS건설, K-Water, SK에너지, 롯데중앙연구소, 섹타나인, 풀무원 엑소, 한국마사회, 현대제철, 풀무원 엑소, LG이노텍, 안전보건공단, 현대건설, 무림P&P, 롯데건설, 현대코퍼레이션이 참여한다. 이들 기업은 2단계의 평가(서류, 발표) 및 고도화 상담(멘토링)을 거쳐 총 48여개 스타트업을 선발할 예정이다. 민간에서 운영하는 스타트업 육성 프로그램과 연계해 스타트업과 대·중견·공기업의 협업을 지원하는 '자율제안형 프로그램'에는 CJ ENM, DB손해보험, KB국민카드, K-Water, SK텔레콤, 롯데벤처스, 풀무원, 한국전력공사, 한솔PNS, 현대건설, 호반그룹, SK에코플랜트, 두산에너빌리티, 우정바이오, 포스코가 참여해 16개 스타트업을 선정한다. 지원사업 관련 자세한 내용은 K-Startup 포털이나 중기부 누리집 내 사업공고문에서 확인할 수 있다.

2024-03-28 12:01:52 김승호 기자
기사사진
김주현 금융위원장, 폴란드서 'K-금융' 세일즈

김주현 금융위원장이 폴란드에 방문해 K-금융 수출을 위한 발판을 마련했다. 금융위원회는 28일 김주현 금융위원장이 폴란드를 방문해 새로운 협력관계를 구축했다고 밝혔다. 김 위원장은 야첵 야스트로제브스키(Jacek Jastrzebski) 폴란드 금융감독청장과 회담을 갖고 폴란드 진출을 추진하는 은행들의 인허가 심사를 위해 자료공유 등을 요청했다. 폴란드는 1989년 수교이후 국내 기업들의 유럽 내 생산기지로 불리고 있다. 국내 기업들은 지난 2023년 7월 정상회담 이후 방산?원전?인프라, 우크라이나 재건 등 대규모 협력 사업을 위한 진출을 준비하고 있다. 이날 김 위원장과 Jacek 금융감독청장은 중소기업 및 창업·벤처기업 지원에도 협력을 강화하기로 했다. 김 위원장은 또 폴란드에 진출한 방산·배터리·자동차부품 등 현지 진출기업들과 만나 금융애로를 청취하고 지원방안을 논의했다. 현재 기업들은 해당분야의 정책적인 금융지원방안과 금융회사가 주도하는 다양한 자금조달이 필요한 상태다. 특히 폴란드에 국내은행이 없어 중소기업의 경우 현지 은행과 거래시 신용도·금리등이 유리하지 않은 상황이다. 김 위원장은 "수출기업에 대한 금융지원은 금융당국의 핵심정책 중 하나"라며 "정책금유익관과 시중은행이 협력해 금융지원하도록 하고, 국내은행도 신속히 진출할 수 있도록 긴밀히 협력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이 밖에도 김 위원장은 폴란드 방문이후 오스트리아로 이동해 유엔산업개발기구(UNIDO)와 국내 금융사 및 핀테크 기업의 개도국 진출 등을 지원하기 위한 업무협약(MOU)를 체결했다. 이번 업무협약으로 금융당국은 국내 금융회사와 핀테크 기업의 개도국 진출을 지원하고, UNICO는 개도국 유망 중소기업을 한국에 소개, 지속가능성장과 관련한 공공·민간 공동 투자기회를 발굴한다. 금융위 관계자는 "교역·투자 등 실물경제에 비해 교류가 적었던 금융 분야에서도 폴란드와 새로이 협력관계를 구축했다"며 "이러한 협력관계가 방산·원전 등 양국간 대규모 협력 프로젝트의 원활한 추진, 현지 진출 기업의 활발한 영업·수출 및 국내 은행의 폴란드 현지 진출 등을 지원하는데 크게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나유리기자 yul115@metroseoul.co.kr

2024-03-28 12:00:19 나유리 기자
기사사진
공정위, '광고비 강제 징수' 등 갑질 가맹본부 신고사건 신속조사 착수

한식·치킨·커피 등 국민생활과 밀접한 가맹분야 가맹본부의 각종 불공정행위 신고사건에 대한 집중 조사가 추진된다. 공정거래위원회는 28일 전국 소재 각 지방사무소에 신고된 사건 중 다수 신고가 제기된 법 위반 유형 중심으로 총 32건을 신속조사 대상 사건으로 선정했다고 밝혔다. 조사 대상 업종으로는 국민들의 일상생활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한식·치킨·피자·커피·생활용품 도매·미용·편의점업종 등이 포함됐다. 지방사무소는 4월부터 각 신고 건에 대해 필요한 경우 현장조사를 실시하는 등 집중적으로 조사를 진행할 예정이다. 조사에서는 ▲가맹희망자에 정보공개서 미제공 후 가맹계약 체결 행위 ▲예상매출액 범위 관련 허위·과장 정보 제공 행위 ▲가맹금 예치·반환 의무 위반행위 ▲필수품목 과도 지정 및 구매 강제 행위 ▲사전동의 없는 판촉행사 실시 및 비용 전가 행위 등을 중심으로 법위반 여부를 면밀히 살피기로 했다. 법위반이 확인된 업체에 대해서는 7월까지 안건상정 등 필요한 조치를 신속히 마무리할 계획이다. 공정위는 이날 김밥·분식 전문점인 '여우愛(애)' 가맹본부 퍼스트에이엔티에 대해 허위·과장 정보를 제공한 행위 등에 대해 시정명령과 함께 과징금 2억5000만원 부과를 결정했다. 퍼스트에이엔티는 실제로는 직영점 1곳의 단 2개월간 매출 자료를 토대로 원가율과 순이익률에 관한 수치를 산출했음에도, 창업 안내서에 '직영점/가맹점에서 검증된 원가율 30%', '매장에서 검증된 순수익 34%' 등이라고 표기하고 가맹희망자에게 이를 제공한 혐의 등을 받는다. 한편, 가맹본부와 가맹점이 지속 증가하며, 법 위반행위 신고접수 건수도 증가 추세다. 가맹본부는 2020년 5602개에서 2022년 1만1844개로, 가맹점은 2019년 25만8889개에서 2021년 33만5298개로 늘었다. 가맹사업법 위반행위 신고접수 건은 2020년 115건에서 2023년 153건으로, 가맹사업거래분쟁조정협의회 조정실적은 같은 기간 499건에서 575건으로 증가했다. 공정위 관계자는 "가맹사업 특성상 가맹점주는 가맹점 창업부터 운영 전반에 걸쳐 가맹본부에 사실상 전적으로 의지할 수밖에 없다"며 "가맹희망자나 가맹점주에게 정보를 제대로 제공하지 않거나 부당하게 부담을 가중시키는 행태는 상대적 약자인 가맹점주 피해로 연결되고, 결국 건전한 가맹시장 발전에 장애 요소가 된다"고 말했다. /세종=한용수기자 hys@metroseoul.co.kr

2024-03-28 12:00:17 한용수 기자
기사사진
공직자 5명 중 3명 재산 10억원 이상...尹대통령 74억, 서울시장 59억, 경기지사 33억

국내 고위공직자 1975명이 신고한 1인당 평균 재산은 지난해 말 기준 19억101만 원으로 집계됐다. 중앙 및 지방 공직자 5명 중 3명은 10억원 넘는 재산을 보유하고 있었다. 정부공직자윤리위원회는 28일 행정부 소속 정무직을 비롯해 고위직공무원, 국립대총장, 시도교육감, 광역·기초지방자치단체장 등의 재산공개 내역을 관보에 공개했다. 동일 대상자가 2022년 말 기준으로 신고한 재산과 비교해 1인당 4735만 원 줄었다. 이들 중 50.5%(997명)는 종전 신고 때보다 재산이 감소했고 49.5%(978명)는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20억 원 이상이 592명(10명 중 3명)으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10억~20억 원·570명(28.9%)이 그 뒤를 이어, 10명 가운데 6명 가까이는 재산이 10억 원 이상이었다. 5억~10억 원은 370명(18.7%), 1억~5억 원은 366명(18.5%), 1억 원 미만은 77명(3.9%)으로 집계됐다. 윤석열 대통령은 74억8112만 원을 신고했다. 토지·부동산 가격 하락 여파로 전년에 비해 2억1613만 원 줄었다. 윤 대통령 재산은 부동산 및 예금 등의 상당 부분이 김건희 여사 명의였다. 윤 대통령 명의는 예금 6억3228만 원(전 재산의 8.5%)이었다. 대통령실 참모진 중에서는 김태효 국가안보실 제1차장이 141억3682만 원을 신고했다. 비서관까지 포함하면 김동조 대통령실 국정기획비서관(329억 2750만 원)이 가장 많았다. 한덕수 국무총리는 83억1114만 원을 보유하고 있었다. 종전 신고액 대비 2억616만 원 감소했다. 이종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이 107억7635만 원으로, 내각 관료 가운데 재산이 가장 많았다. 1년 전보다는 40여억 원 감소했다. 광역단체장 중에서는 오세훈 서울시장이 59억7599만 원으로 가장 많았고, 박형준 부산시장이 56억599만 원으로 그 뒤를 이었다. 김동연 경기도지사는 재산 33억3674만 원어치를 보유했고, 김영환 충북도지사는 전년대비 대폭 감소한 마이너스 8061만 원을 신고했다. 재산공개 대상자 중 1위는 494억5177만 원을 보유한 최지영 기획재정부 차관보였다. 지난해 1위였던 조성명 강남구청장은 1년 전보다 43억4668만 원 줄어든 489억887만 원을 신고해 2위로 내려앉았다. 이들 중 322명은 +1000만~5000만 원 범위의 재산 증가를 기록했다. 반면 461명은 감소(-1억~5억 원)했다고 신고했다. 재산변동 감소 요인으로는 주택 공시가격 및 토지 개별공시지가 하락 등에 따른 재산 감소가 8062만 원이었다. 반면 종합주가지수 상승, 급여 저축, 상속에 의해 증가한 폭은 3326만 원이었다. 정부공직자윤리위는 공개된 모든 공직자의 재산변동 사항을 오는 6월까지 심사할 예정이다. 거짓으로 기재한 경우, 중대한 과실로 재산을 누락하거나 잘못 기재한 경우, 직무상 알게 된 비밀을 이용해 재산상 이익을 취득한 경우 등에 대해 경고·시정조치·과태료 처분을 내릴 수 있다. 해임·징계 요구 등의 조처도 가능하다. 특히 직무상 비밀을 이용한 부동산 취득 여부, 법인을 통한 부동산 명의 신탁 여부 등을 중점적으로 심사한다는 방침이다.

2024-03-28 11:12:50 김연세 기자
기사사진
중진공, 대구·경북 의료 中企 글로벌 진출 지원나서

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과 업무협약…우수 인력 육성등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이 대구경북지역 의료분야 중소기업들의 글로벌 진출을 지원한다. 중진공은 대구 동구 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케이메디허브)과 의료산업 중소벤처기업의 글로벌화를 뒷받침하기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28일 밝혔다. 협약 내용에는 ▲의료산업 창업활성화 및 혁신성장 기반구축 ▲의료산업 유망기업에 대한 밸류업 지원 ▲기업별 맞춤형 구인·구직 매칭, 연수 및 우수 인력 육성 등이 두루 포함돼 있다. 특히 두 기관은 국내 유망 바이오·의료기기 기업을 공동으로 발굴하고 두바이, 시카고, 워싱턴DC 등 의료산업 거점에 위치한 중진공 글로벌비즈니스센터(GBC)와 연계해 '한국형 메디콘'(의료산업 유니콘 기업) 기업 육성에 주력할 계획이다. 한편 강석진 이사장은 협약 관계자들과 케이메디허브 의료기기센터를 방문해 첨단의료복합기술과 인프라를 살펴보고, 의료기기 제조기업 등 중소벤처기업의 지원을 위한 연계 방안 등에 대해 논의하는 시간도 가졌다. 강 이사장은 "이번 업무협약으로 해외 각종 규제로 인해 글로벌 진출이 힘든 바이오·의료기기 유망 중소벤처기업의 한국형 메디콘 기업 육성체계를 마련했다"며 "케이메디허브와 사업 연계 등 유기적인 협력을 통해 지역 의료산업 중소벤처기업의 성공적인 도약을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2024-03-28 10:36:18 김승호 기자
기사사진
금값 또 역대 최고…한 돈 40만원 돌파

대표적인 안전자산인 금가격이 한 돈에 40만원을 돌파하는 등 통화정책 완화 기대감과 맞물려 고공행진하고 있다. 일부 차익 실현으로 조정을 거치더라도 매크로 이벤트에 발맞춰 꾸준히 오르는 모양새다.28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전날 KRX 금 가격은 1㎏짜리 금 현물의 1g당 가격은 전 거래일 대비 0.78% 상승한 9만4990원에 거래를 마쳤다. 2014년 3월24일 KRX 금시장이 거래를 시작한 이래 가장 높은 가격으로 연일 최고가를 경신 중이다. 같은 날 한국금거래소에서는 금 한 돈(3.75g)을 살 때 가격이 40만1000원을 기록했다. 종전 한국금거래소에서 금 한 돈 최고 가격은 지난 21일 기준 40만원이었다.당시 역대 최고가는 3월 미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결과가 비둘기적(통화정책 완화 선호)으로 해석된 결과다. 금은 통화정책 완화 시기에 강세 사이클을 나타내는 경향이 있다.최근 금값은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가 상승 속도를 경계하는 일부 투자자들의 차익 실현으로 단기 조정 구간을 지나는 경로가 반복되고 있다. 시장에서는 29일 발표되는 미국 개인소비지출(PCE) 가격지수와 제롬 파월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 연설을 대기하고 있다. 심수빈 키움증권 연구원은 "지정학적 불안에 따른 안전자산 수요, 중앙은행의 금 매수세 등이 금 가격 상승으로 연결된 것으로 보인다"며 "지정학적 리스크 완화 가능성이 금 가격 상승폭을 제한할 수 있겠으나 주요국 중앙은행이 완화적인 통화정책 기조를 시사한 만큼 금에 대한 투자 수요는 이어질 것으로 예상한다"고 내다봤다.장희종 하이투자증권 연구원도 "월별 등락은 있어도 글로벌 중앙은행들의 금 매입은 지속되고 있다"며 "특히 중국은 국제준비자산에서 금 비중이 여전히 낮아 주요 금 순매입 플레이어로 역할을 이어갈 것으로 보이며, 금에 대한 우호적인 접근은 유효한 것으로 판단한다"고 말했다. 오한비 신한투자증권 연구원은 "금 가격의 추가 상승에 베팅하는 가장 직관적인 방법은 금 상장지수펀드(ETF)에 투자하는 것으로 금광주도 대안이 될 수 있다"며 "금 가격이 오른 것에 비해 금강주는 아직 모르지 못했는데 금광기업 실적은 판매가격 뿐만 아니라 채굴비용까지 고려해야 하기 때문"이라고 언급했다. 그러면서 "은도 생각해볼 수 있는 건 금 가격이 올라가는데 은 가격이 따라가지 않은 적은 없다"며 "금 대비 가격이 저렴해 따라잡기가 비교적 수월하다"고 덧붙였다.

2024-03-28 09:14:05 최규춘 기자
기사사진
박서홍 농업경제대표, 취임 첫 행선지는 가락도매시장...수급상황 점검

농협경제지주 농업경제부문의 새로운 수장으로 선임된 박서홍 농업경제대표이사가 경제사업 본연의 역할인 구·판매사업 강화 기조에 발맞춰 취임 첫 행보로 27일 주요 경제사업장 현장을 찾았다. 박서홍 대표이사는 가락도매시장 내 농협 가락공판장을 시작으로 남서울농협 하나로마트, 안성농식품물류센터, 중부자재유통센터, 농협종묘센터, 마트사업중부지사를 차례로 방문, 사업장별 주요 현안을 점검하고 임직원들과 소통하는 시간을 가졌다. 농협 가락공판장에서 박 대표이사는 과일 경매현장을 돌아보며 최근 높은 가격대를 보이는 주요 농산물의 출하물량과 경락시세를 확인하는 등 전반적인 수급상황을 점검했다. 이어 남서울농협 하나로마트에서는 지난 25일부터 전국 하나로마트에서 진행 중인 농축산물 할인행사 '새로운 대한민국 농협 새봄맞이 초특가전!'의 진행상황 및 소비자 반응 등을 살펴보았다. 이날 오후에는 농산물, 시설자재, 생활물자의 물류거점 역할을 수행하는 안성농식품물류센터, 중부자재유통센터, 농협종묘센터, 마트사업중부지사(평택물류센터)를 차례로 방문, 직원들을 격려하고 애로사항을 청취하는 등 현장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였다. 한편 박 대표이사는 취임사에서 ▲농축협 경제사업 활성화를 위한 생산·유통 기반 구축 ▲영농자재 공급 경쟁력 강화 ▲산지-도매-소매 밸류체인 연계 ▲농식품 부가가치 창출 등을 강조하며'변화와 혁신을 통한 새로운 대한민국 농협을 구현하기 위해 농업경제가 앞장서겠다'는 의지를 표명했다. 박 대표이사는"농업인 실익제고와 농축협 경제사업 활성화를 최우선으로 여기고 구·판매사업 경쟁력을 높여 나가겠다"고 강조하며"최근 물가상승으로 인한 국민들의 부담을 덜어드릴 수 있도록 정부와 협력하여 농산물 가격안정에도 만전을 기할 것"이라고 말했다.

2024-03-27 17:15:55 차상근 기자
기사사진
aT, 농업기관 최초 중기부 ‘윈윈 아너스’ 선정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가 27일 서울 양재동 aT센터에서 농업기관 최초로 중소벤처기업부가 주관하는 '윈윈 아너스 프로젝트' 우수사례에 선정됐다. '윈윈 아너스 프로젝트'는 공공기관 또는 대기업이 중소기업과의 파트너십을 기반으로 함께 성장한 사례를 발굴하는 사업으로 지난해 3분기에 처음 시작됐다. 공사는 국산 쌀 냉동김밥 제조기업의 수출을 성공적으로 이끌어내 농업기관 최초로 2기 우수사례로 선정되는 쾌거를 이뤘다. 공사는 쌀 수요 감소와 고환율로 인한 수출 위기에 대응하고자 지난 2022년부터 쌀가공식품인 '냉동김밥'을 수출 유망품목으로 선정해 집중 육성해왔다. 냉동김밥에는 국산 김 또한 원료로 들어가기 때문에 농식품과 수산 식품의 동반성장 의미도 더해진다. 김밥은 외국인들에게 인기가 높은 우리나라 대표 길거리 음식임에도 불구하고, 원재료 보관관리 등을 이유로 수출이 불가능한 품목이었다. 이를 해결하고자 공사는 협력기업 '복을 만드는 사람들(대표 조은우)'과 함께 육류 수출제한과 짧은 유통기한 문제를 동시에 해결 가능한 '비건 김밥'을 개발하고 상품화했다. 나아가 원활한 해외시장 정착을 위해 현지 소비자 대상 활발한 마켓테스트와 인플루언서 연계 판촉 등 다양한 마케팅을 지원했다. 그 결과 냉동김밥은 미국, 아랍에미리트연합(UAE) 등 해외 주류 유통채널 입점이 성사되고 해외 SNS상에서도 냉동김밥 열풍이 일었다. 특히 미국 입점 유통업체 전 매장에서 품절 대란이 이는 등 지난 2023년 협력기업의 수출 실적은 2022년보다 2배 뛰었으며, 국가 전체 쌀가공식품 수출도 19.5% 증가한 2억2000만 달러를 기록했다. 김춘진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사장은 "공사는 우수한 제품과 아이디어를 가진 중소기업의 성장을 전폭 지원하고 있으며, 특히 이번 지원으로 국산 쌀 소비 확대와 K-푸드 수출 증대 등 여러 측면에서 의미 있는 성과를 거두었다"라며, "앞으로도 단순 시혜성 지원 수준을 넘어 중소기업과 긴밀한 파트너십을 기반으로 동반 성장하는 문화를 확산하는 데 앞장서겠다"라고 말했다.

2024-03-27 17:10:50 차상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