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경제>창업/취업
[정시특집]서울대 경영 528점·연대 자유 527점·고대 정경 527점

입시업체 정시모집 합격선 전망 2015학년도 대학입시 정시모집에서 서울대 경영학과에 합격하려면 수학능력시험 표준점수가 528점을 넘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로학원하늘교육·대성학원·진학사·유웨이중앙교육 등 입시업체들은 지난 2일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이 발표한 수능 성적 결과를 토대로 이같은 예상 합격선을 8일 내놓았다. 우선 종로학원하늘교육과 진학사는 서울대 경영대학에 지원가능한 점수를 나란히 530점으로 예측했다. 대성학원은 2점 낮은 528점이 돼야 할 것으로 내다봤다. 유웨이중앙교육이 제시한 지원가능 점수는 529점이다. 또 종로학원하늘교육은 서울대 사회과학계열에 지원하려면 529점 이상이 돼야 할 것으로 봤다. 인문계열과 국어교육은 각각 528점으로 지원가능 점수를 추정했다. 대성학원은 서울대 사회과학계열과 국어교육과에 합격하려면 각각 527점과 526점 이상을 기록해야 한다고 전망했다. 진학사는 서울대 사회과학계열 지원가능 점수로 529점을 제시했다. 자연계의 경우 서울대 의예과의 지원가능 점수로 526점이 필요하다는 예측이 나왔다. 진학사는 529점, 유웨이중앙교육은 528점, 대성학원은 527점, 종로학원하늘교육은 526점을 각각 예상했다. 이들 업체는 서울대 화학생물공학부, 생명공학부의 지원가능 점수를 516∼524점으로 예상했다. ◆연·고대 인기학과 합격선 520점 후반 연·고대 인기학과 합격선도 520점대 후반은 돼야 할 것으로 예측됐다. 종로학원하늘교육은 연세대 경영 529점, 자유전공 527점, 영어영문 525점, 의예 525점, 치의예 524점으로 전망했다. 고려대의 추정 합격점수는 자유전공학부 526점, 정경대학 527점, 경영대학 528점, 의과대학 521점, 화공생명공학부 514점 등이다. 진학사는 고려대 의과대학을 527점으로 예상했다. 연세대의 경우 지원가능 점수로 경영 529점, 의예 528점을 전망했다. 대성학원은 고려대 경영대학 526점, 의과대학 524점, 연세대 의예과 526점 등으로 추정했다. ◆성균관대 의예 525점·중앙대 의대 524점 서강대의 경우 경영학부 523점, 인문계 521점, 화공생명공학계 510점으로 합격 기준점을 제시했다. 성균관대에서 글로벌경영 등 인기학과에 지원하려면 525∼526점은 기록해야 할 것으로 내다봤다. 대성학원은 서울지역 의대 지원가능 점수로 성균관대 의예 525점, 이화여대 523점을 각각 제시했다. 중앙대, 한양대, 경희대 의과대학에 합격하려면 524점을 넘어야 할 것으로 추정했다. 유웨이중앙교육은 경희대 의예과는 524점, 한의예과는 521점이 각각 필요할 것으로 분석했다.

2014-12-08 17:29:32 이국명 기자
기사사진
[정시특집]국민대 기업융합법학과, 일하며 공부한다

국민대학교 기업융합법학과가 2015학년도 정시모집 '다'군 취업자전형과 특성화고졸재직자전형을 실시한다. 원서접수기간은 19~23일이다. 국민대 입학안내 홈페이지(admission.kookmin.ac.kr)와 유웨이어플라이(www.uwayapply.com)를 통해 원서를 제출하면 된다. 두 전형 모두 수능없이 서류평가(학교생활기록부, 자기소개서) 반영비율 40% 와 면접(전공적합성, 인성 등 총체적으로 평가) 반영비율 60%를 일괄합산해 선발한다. 정시 '다' 취업자전형의 모집인원은 3명이다. 지원자격은 국내 고등학교 졸업자로서 현재 통산 3년 이상의 직장경력 또는 자영업체 운영경력이 있고 근무(영업)중인 자다. 전형은 수능없이 서류평가와 면접을 통해 선발된다. 정시 '다'군 특성화고졸재직자전형은 수시모집 미충원 인원 이월해 선발한다. 특성화고 졸업 재직자전형은 학생들이 졸업 후 곧바로 대학에 진학하는 대신 산업체에 먼저 취업하고 필요한 경력을 갖춰야만 지원할 수 있는 방식이다. 특성화고교(전문계고교)와 마이스터고 졸업 후, 3년 이상의 재직 기간이 필요하다. 만약 2개 이상 산업체에서 재직한 경우, 기간을 합산해 3년 이상이면 된다. 원서접수 시 반드시 재직신분을 유지해야 한다. 최종 모집인원은 18일 국민대 입학안내 홈페이지를 통해 공지할 예정이다. 국민대 기업융합법학과는 학업과 직장생활을 병행할 수 있도록 주중 야간, 토요일 수업과 사이버 강의를 개설한 것이 장점이다. 주간 법학부(136학점)와 비교해 낮은 졸업이수학점(120학점)으로 쉽게 법학사 자격을 취득할 수 있다. 현재 법학을 전문계고졸 재직자 대상으로 모집하는 것은 국민대가 유일하다. 입학 후 맞춤형 취원지원프로그램(면접캠프), 국제교류 프로그램등 다채로운 프로그램을 운영중이다. 다양한 장학제도도 마련돼 있다. 문의:02)910-4500 [!{IMG::20141208000197.jpg::C::320::}!]

2014-12-08 17:28:54 이국명 기자
기사사진
[정시특집']덕성여대, 가·나군서 인문·자연 수능 100%

덕성여자대학교(www.duksung.ac.kr) 2015학년도 정시모집은 '가'군과 '나'군에서 수능100%전형과 예체능(실기)전형 두 가지로 간소화해 진행된다. 특히 올해 정시모집부터는 실내디자인학과, 시각디자인학과, 텍스타일디자인학과가 실기고사를 실시하는 게 특징이다. 모집인원은 '가'군에서 일반학생 255명, '나'군에서 일반학생 417명 등 모두 672명이다. 수능100%전형은 인문과학대학, 사회과학대학, 자연과학대학, 정보미디어대학 전 학과와 의상디자인학과에서 실시한다. 모든 전형에서 수능은 백분위 점수를 활용한다. 각 계열마다 반영하는 수능반영 영역은 인문계열은 필수 반영영역으로 국어A/B와 영어를 각 40%씩 반영하고 수학A/B 또는 사탐/과탐 가운데 1개를 택해 20%를 반영한다. 자연계열은 필수 반영영역으로 수학A/B와 영어를 각각 40%씩 반영하고 국어A/B 또는 사탐/과탐 가운데 1개를 택해 20%를 본다. 예체능(실기)전형 학과는 수능 필수지정 영역 없이 국어A/B, 영어, 수학A/B, 사탐/과탐 등 4개 영역 중 성적이 가장 높은 영역 2개를 택해 각각 50%씩 반영한다. 특히 인문계열 지원자가 국어B를 선택하거나 자연계열 지원자가 수학B를 선택했을 경우 취득한 국어B와 수학B 점수의 10%를 가산점으로 부여한다. 예체능(실기)전형은 생활체육학과, 동양화과, 서양화과, 실내디자인학과, 시각디자인학과, 텍스타일디자인학과에서 진행한다. 예체능(실기)전형 모집단위 중 생활체육학과와 서양화과는 수능과 실기고사에 더해 학생부 교과성적을 각각 30%와 20% 반영한다. 동양화과, 실내디자인학과, 시각디자인학과, 텍스타일디자인학과는 학생부 교과성적 반영 없이 수능성적과 실기고사만으로 합격자를 가린다. 동양화과는 실기 60%와 수능 40%를 반영하며 실내디자인학과, 시각디자인학과, 텍스타일디자인학과는 수능 60%와 실기 40%를 본다. 덕성여대 정시모집 원서접수 기간은 19~24일이다. 원서접수는 100% 인터넷으로만 진행되며 최초 합격자는 2015년 1월 29일 발표할 예정이다. 문의:02)901-8189,8190 [!{IMG::20141208000192.jpg::C::320::}!]

2014-12-08 17:28:35 이국명 기자
기사사진
[정시특집] 서울여대, 수능 백분위 반영·교차 지원 허용

서울여자대학교(http://admission.swu.ac.kr)의 정시모집은 인문사회계열은 나군에서, 자연계열은 다군에서 선발한다. 예체능계열은 나·다군으로 분할 모집한다. 원서 접수는 19일부터 24일까지이며 모집 정원은 17일께 확인 가능하다. 정시모집은 계열에 따라 학생부 반영 여부, 수능반영영역 등의 전형 요소가 모두 다르므로 모집 요강을 꼼꼼히 확인하고 지원해야 한다. 교차 지원이 허용돼 인문계 학생은 자연계열 학과로, 자연계 학생은 인문사회계열 학과에 지원할 수 있다. 나군의 인문사회계열은 수능(90%)과 학생부(10%)로 선발하며 수능 성적은 백분위를 반영한다. 수능은 국어(A/B), 영어를 각각 35%씩, 수학(A/B), 탐구 중 상위 1개 영역을 30% 반영해 총 3과목이 적용된다. 탐구영역(직업탐구영역 제외)은 2개 과목의 백분위 평균을 자동 반영한다. 제2외국어/한문은 탐구영역의 1과목으로 대체 인정한다. 학생부는 교과 100%를 반영하며 국어, 영어, 사회교과 상위 등급 각 3과목(총 9과목)의 석차 등급을 점수화한다. 다군의 자연계열은 수능(100%) 백분위만으로 선발한다. 수능은 수학(A/B), 영어가 각각 35%, 국어(A/B), 탐구 중 상위 1개 영역이 30%로 총 3과목이 반영된다. 필수 과목 중 수학B를 선택한 경우에는 10%의 가중치가 적용된다. 탐구영역(직업탐구영역 제외)은 2개 과목의 백분위 평균을 자동 반영하며 제2외국어/한문은 탐구영역의 1과목으로 대체 인정한다. 나군에 속한 현대미술과, 공예학과는 수능 40%, 실기 60%가 적용된다. 수능은 국어(A/B), 영어, 수학(A/B), 탐구 중 상위 2개 영역(각 50%)의 백분위를 선택 반영한다. 수능에 반영되는 탐구영역은 2개 과목의 백분위 평균을 적용, 제2외국어/한문은 탐구영역의 1과목으로 대체 인정한다. 직업탐구영역은 1개 과목의 성적만 반영하며 직업탐구영역 반영시 제2외국어/한문은 인정하지 않는다. 문의:02)970-5051~4

2014-12-08 17:28:14 조현정 기자
[정시특집]'2015 대학입학' 정시모집 19일 스타트

12만7000여명 선발…정원의 34.8% 2015학년도 대입 정시모집 경쟁이 19일 본격 점화된다. 입시 전문가들은 올해 정시는 모집 인원이 소폭 줄어든 데다 '물수능' 논란까지 벌어져 그 어느 때보다 '눈치작전'이 극심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올해 정시모집에는 197개 대학에 참가해 총 모집인원의 34.8%인 12만7569명을 뽑을 예정이다. 지난해보다 55명 줄었으나 비중은 1.1%포인트 증가했다. 원서는 19∼24일에 대학별로 4일 이상 접수한다. 140개교가 인터넷으로만 원서를 받는다. 전형 기간은 가군이 내년 1월 2일부터, 나군은 내년 1월 12일부터, 다군은 내년 1월 21일부터 진행된다. 올해 정시에서는 수능 위주 전형의 모집인원이 전체 모집인원의 87.2%에 달하는 11만1211명이다. 지난해 9만1530명(71.3%)에서 대폭 늘었다. 나머지는 실기 위주(11.1%), 학부 종합(1.2%) 전형으로 선발한다. 군별 모집인원을 보면 가군이 139개 대학 5만299명, 나군은 136개 대학 4만9114명, 다군이 120개 대학 2만8156명이다. 정시에서는 모집군별로 대학 한 곳에만 지원해야 한다. 한 개 모집군에 2개교 이상 지원하면 입학이 무효 처리된다. 단 산업대나 카이스트, 3군 사관학교, 경찰대학 등 특별법에 따른 대학은 복수 지원을 할 수 있다. 수시 모집에서 합격한 수험생은 등록 의사와 관계없이 정시에 지원할 수 없다. ◆137개 전문대, 정시모집서 4만여명 선발 137개 전문대학이 2015학년도 정시모집에서 4만52명을 선발한다. 원서 접수는 1차로 15일간(19일∼2015년 1월 2일), 2차로 5일간(2015년 2월 10일∼2월 14일) 실시된다. 1차 접수는 137개 대학이 모두 실시하지만, 2차 모집을 하지 않는 대학이 절반 이상이므로 수험생들은 이를 반드시 확인해야 한다. 상세한 내용은 전문대학 온라인 입학정보센터(http://ipsi.kcce.or.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2014-12-08 17:27:51 이국명 기자
해외 한국인 유학생 3년 연속 감소…중국은 증가세

외국에서 공부하는 우리나라 유학생이 3년 연속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7일 교육부에 따르면 2014년도(이하 매년 4월1일 기준) 국외 한국인 유학생(대학·대학원 등 고등교육)은 모두 21만9543명으로 지난해 22만7126명보다 3.3%(7583명) 줄었다. 이로써 국외 유학생은 2010년 25만1887명에서 2011년 26만2465명까지 증가한 것을 정점으로 3년 연속 감소했다. 연도별 한국인 유학생 감소율은 2012년 8.9%(2만3252명), 2013년 5.1%(1만287명), 올해 3.3%로 집계됐다. 지난 3년간 감소율이 두드러진 지역은 호주, 뉴질랜드 등 오세아니아와 영국, 일본, 미국 등이다. 호주의 한국인 유학생은 2011년 3만3929명이나 됐지만 이듬해 1만7256명으로 절반 가까이 줄었다. 또 2013년 1만4180명에 이어 올해도 1만4139명으로 지속적인 감소 추세를 나타냈다. 뉴질랜드 역시 2011년 1만289명에서 올해 3556명으로 65.4%나 줄었다. 영국의 한국인 유학생도 2011년 1만7310명에서 올해 762명으로 감소율이 60% 가까이 됐다. 또 한국인 유학생이 가장 많은 국가인 미국은 2011년 7만2153명에서 올해 7만627명으로 2.1% 떨어졌다. 같은 기간 캐나다에서는 한국인 유학생이 1만5808명에서 9828명으로 줄었고 일본도 2만5692명에서 1만7283명으로 크게 감소했다. 반면 중국, 필리핀 등에서는 한국인 유학생이 늘어났다. 중국은 2011년 6만2957명에서 올해 6만3465명으로 8.1% 증가했다. 올해 한국인 유학생이 많은 국가는 미국, 중국, 영국, 호주, 일본, 캐나다, 뉴질랜드 등의 순인데 중국의 비중이 전체의 28.9%로 미국(32.2%)와 비슷한 수준까지 올라갔다. 한·중관계가 경제를 중심으로 격상되고 중국에서 어학을 배우려는 학생이 늘어났기 때문으로 보인다. 필리핀의 한국인 유학생도 2011년 3238명에서 올해 773명으로 배 이상 불었다.

2014-12-07 16:03:24 유주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