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경제>창업/취업
기사사진
미생 오과장이 현실···직장인 주 평균 67.2시간 근무해

직장인이 4명 중 1명은 인기드라마 tnN '미생'의 오상식 과장처럼 일중독에 빠진 것으로 드러났다. 21일 온라인 취업포털 사람인이 직장인 1023명을 대상으로 '워커홀릭 여부'에 대해서 조사한 결과, 24.6%가 '나는 일중독, 워커홀릭'이라고 답했다. 스스로 워커홀릭이라고 생각될 때를 묻는 질문에는 '퇴근 후에도 업무를 걱정할 때'(67.9%, 복수응답)가 가장 많았다. 계속해서 '당연하게 야근할 때'(56.7%), '휴일에도 업무를 할 때'(51.6%), '아파도 참고 출근할 때'(44.4%), '일 때문에 휴가를 포기할 때'(33.7%), '언제 어디서나 일할 준비를 할 때'(33.3%), '스스로 일거리를 만들어낼 때'(28.2%), '일이 없으면 불안, 초조함을 느낄 때'(27.8%), '점심시간에도 서류 등을 검토할 때'(27.8%) 등이 있었다. 워커홀릭이 된 주요 원인에 대해서는 절반이 넘는 51.2%가 '업무가 많은 환경 등으로 어쩔 수 없이'를 선택했다. 다음은 '업무에 대한 책임감이 강해서'(34.1%), '업무 성과가 자존감을 채워줘서'(9.1%) 순으로 '일하는 것이 즐거워서'는 5.6%에 그쳤다. 이들의 근무 시간은 주당 평균 67.2시간으로, 현행 법정근로시간(주당 40시간)보다 무려 27.2시간이나 많이 일하고 있었다. 자신의 삶에서 일이 차지하는 비중에 대해 평균 75.6%라고 답했다. 또 자신이 없으면 회사가 돌아가지 않을 것이라 생각하는 비율이 23.4%로 일반 직장인(12.2%)의 2배 수준이었다. 일중독이 미친 영향으로는 '삶이 무미건조해졌다'(65.5%, 복수응답), '건강이 나빠졌다'(60.3%), '인맥이 줄어들었다'(45.2%), '가족과의 관계가 소홀해졌다'(42.9%) 등의 순으로 부정적인 영향이 상위를 차지했다.

2014-11-21 09:20:08 이국명 기자
2014 수능 세계지리 정답 인정, 수험생 9073명 한 등급 오른다

출제 오류로 판정된 2014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세계지리 8번 문항이 모두 정답 처리되면서 당시 오답 처리됐던 수험생 1만8884명 중 절반에 가까운 9073명의 등급이 한 등급 오르게 됐다. 또 표준점수는 1만2명이 3점, 8882명이 2점 각각 상승했으며 백분위는 21명을 제외한 1만8863명이 1~12점 상향 조정됐다. 교육부와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은 20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이같은 내용의 수능 세계지리 오류 관련 피해 학생 구제 방안을 발표했다. 이는 당시 오답 처리됐던 수험생의 등급과 표준점수, 백분위의 산정 기준을 변경된 원점수에 따라 재산정하지 않고 지난해 기존 성적 산정 때와 동일하게 적용 처리한 결과다. 대학은 피해 학생의 신청 여부와 상관없이 변경된 세계지리 성적을 바탕으로 작년 대학입학전형 결과를 다시 산정, 추가 합격 여부를 결정하게 된다. 수시 모집의 경우 수능 최저학력기준을 충족했는지, 정시 모집은 재산정한 성적이 미등록 충원의 합격선을 넘었는지가 추가 합격의 기준이 된다. 구제되는 학생은 내년 3월 정원 외로 해당 대학의 신입생 또는 편입생으로 들어갈 수 있다. 김성훈 평가원장은 "수능 세계지리 오류 발생과 관련해 책임이 있는 관계자에 대해 규정에 따라 조치를 취하겠다"며 수험생과 학부모에게 사과했다. 평가원은 기존에 적용했던 등급, 표준점수, 백분위의 기준을 유지하되 오답 처리된 수험생 1만8884명의 원점수만 3점 올리는 방식으로 성적을 재산정하기로 했다. 당초 모두 정답 처리한 상황에서 세계지리에 응시한 전체 수험생의 점수를 다시 산정하려 했다가 2008년 출제 오류로 성적을 재산정했던 '물리Ⅱ' 때 방식을 취했다. 전체 수험생의 성적을 재산정했을 경우 평균이 올라감에 따라 오답 처리된 수험생 중 일부의 성적이 낮아지는 점을 고려해 이같이 결정했다고 교육부와 평가원 측은 설명했다. 교육부는 지난해 대학에 지원했다가 떨어진 학생 중 이번에 성적이 변경된 학생 전체를 대상으로 2014학년도 대입전형 결과를 재산정하기로 했다. 해당 문항이 틀려 본래 가고자 했던 대학보다 성적이 낮은 대학으로 하향 지원한 수험생들은 관련 사실을 입증할 만한 자료가 없어 이번 구제 대상에서 제외된다. 학생이 별도로 신청하지 않아도 대학이 대상 학생 전체의 전형을 다시 진행한다. 수시의 경우 다른 기준을 모두 충족했으나 수능 최저학력 기준에 미치지 못해 탈락했다가 이번에 변경된 세계지리 성적으로 최저 학력 기준을 충족하면 합격 처리가 된다. 정시는 재산정한 수능 성적이 정시 미등록 충원의 합격선을 넘으면 추가 합격이 된다. 추가 합격 여부는 올해 정시모집 원서 접수(12월 19일) 이전인 12월 17일부터 해당 학생들에 안내된다.

2014-11-20 16:21:40 조현정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