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 커진 제3인터넷은행 경쟁…신한 이어 하나금융도 도전장
제3, 4의 인터넷전문은행 인가를 놓고 네이버 불참으로 식었던 열기가 되살아 났다. 신한금융그룹에 이어 하나금융그룹까지 대형 금융그룹이 잇따라 도전장을 던지면서다.
하나금융은 SK텔레콤, 키움증권과 컨소시엄을 구성하고 인터넷은행 설립에 도전한다고 19일 밝혔다. 최대주주는 키움증권이 될 예정이다.
하나금융 관계자는 "급변하는 디지털시대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더 나아가 혁신의 주체가 되기 위해서는 인공지능(AI), 빅데이터 등 뉴(New) 정보통신기술(ICT) 기반의 인터넷은행 설립이 필요하다는 공감대가 있었다"며 "구체적인 예비인가 신청 준비에 착수했다"고 설명했다.
하나금융은 국내에서 최초로 스마트폰뱅킹 서비스를 실시한 곳이다. 글로벌 모바일 메신저 라인과 합작한 디지털뱅크인 '라인뱅크'과 대화형 인공지능 금융비서 '하이(HAI)뱅킹' 등을 비롯해 현재 누적 회원수 약 1500만명의 통합멤버쉽 플랫폼 '하나멤버스', SK텔레콤과 합작한 모바일 생활금융 플랫폼 '핀크(Finnq)' 등을 선보였다.
SK텔레콤은 새로운 ICT 기술과 금융 서비스 융합을 통해 기존에 손님들이 겪었던 금융 생활의 불편함을 해소하고, 고객 편익을 극대화한다는 방침이다.
키움증권은 기존 증권업계의 패러다임을 오프라인에서 온라인으로 바꾼 대표적인 핀테크 기업 성공사례다. 한국 온라인 증권사 1위, 증권 비대면 가입자수 1위 등 14년째 대한민국 주식시장에서 압도적인 점유율 1위를 유지하고 있다.
김정태 하나금융 회장은 "급변하는 디지털 시대의 승자는 변화의 수용자가 아닌 변화의 주도자"라며 "혁신 성장과 포용 성장을 주도하며 이종업종 간의 융합기술과 시너지를 통해 손님 혜택을 극대화 하겠다"고 말했다.
앞서 신한금융 역시 토스와 손잡고 인터넷은행 도전을 공식화했다.
협업을 통해 신한금융이 보유한 금융부문의 노하우와 안정성, 자금력에 토스가 가진 혁신성, 창의성을 더해 '혁신적·포용적' 모델의 새로운 인터넷은행을 만든다는 계획이다.
신한금융 관계자는 "국내 최고의 금융그룹인 신한금융과 국내 대표 핀테크 기업인 토스와의 협업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며 "특히 신한금융이 조용병 회장 취임 이후 지속적으로 추진해온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Digital Transformation)의 축적된 역량을 바탕으로 금융 산업의 혁신성장에 대한 추진의지를 보여주는 사업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신한금융과 토스는 예비인가를 위한 추진단을 발족해 컨소시엄 구성 및 참여사의 지분율, 자본금 규모 등에 대해 논의할 계획이다.
신한금융 관계자는 "앞선 인터넷전문은행이 국내 금융시장을 변화하는 계기를 마련했다고 생각한다"며 "신한금융은 토스뿐만 아니라 다양한 파트너사와의 협업을 통해 국내 금융의 혁신적인 변화를 일으키고, 새로운 인터넷전문은행에서 그간 하지 못했던 창의적인 금융서비스를 추진하겠다"고 설명했다.
기존 인터넷은행들도 신규 플레이어의 참여를 환영하는 분위기다.
한 인터넷은행 관계자는 "경쟁력있는 신규 인터넷은행의 출범으로 선의의 경쟁을 통해 서로 혁신의 방향으로 갈 수 있길 바란다"며 "인터넷은행 산업의 발전을 위해 공동 노력할 수 있는다는 측면에서도 긍정적"이라고 말했다.
신한금융과 하나금융이 도전장을 내밀면서 인터넷은행 시장에서의 5대 금융지주 간 경쟁도 볼 만해 졌다. KB금융지주는 KB국민은행이 카카오뱅크 지분을 10% 가지고 있으며, 우리금융지주는 케이뱅크의 주요 주주다. NH농협금융지주 역시 NH투자증권이 케이뱅크 지분 10%를 가지고 있으며, NH농협은행을 주축으로 신규 인터넷은행 설립에도 관심이 있는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