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엔 환율, 880원대 안착…800원대 엔저 '끝물?'
이달 초 100엔당 850원대에 머물렀던 원·엔 환율이 빠르게 상승해 880원대에 안착했다.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금리 인하 시기를 앞당길 수 있다는 전망과 함께 양적완화를 선호하는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 미국 대선에서 승리할 것이라는 전망이 엔화 가치를 끌어 올렸다. 23일 서울외환시장에 따르면 원·엔 환율은 전일보다 0.9원(0.1%) 내린 100엔당 885.6원에 오후 거래(오후 3시 30분 종가)를 마쳤다. 환율은 전일보다 소폭 하락했지만, 지난 밤 야간 거래(오전 2시 종가)된 883.4원보다는 소폭 올라 880원대 중반을 유지했다. 지난 11일 100엔당 852.7원(오후 3시 30분 종가)이었던 원·엔 환율은 18일에는 884.4원까지 오르며 880원대에 진입한 이후 완만한 상승을 이어가고 있다. 앞서 원·엔 환율은 계속된 엔화 가치 하락에 지난달 말 16년 만에 최저 수준을 기록하며 100엔당 850원대까지 하락했다. 이후 원·엔 환율은 이달 중순까지 100엔당 850원대에 머물렀지만, 미국의 인플레이션(물가상승) 완화에 연준이 금리 인하를 앞당길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오면서 지난 12일부터 상승세다. 지난 11일(현지시간) 미 노동부는 6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전월 대비 0.1%포인트(p) 하락한 3.0%를 기록했다고 발표했다. 이는 시장 예측치를 소폭 하회한 수준으로, CPI는 시장 예측을 뒤엎고 3개월 연속 하락했다. 시장에서는 9월 금리 인하를 기정사실화 하고 있다. 22일(현지시간)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의 9월 금리 인하 전망치는 94.1%로, 지난 6월 말 전망치인 64.1%에서 크게 올랐다.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의 당선 가능성도 엔화 가치 상승을 부추겼다. 트럼프는 미국의 수출 촉진 및 제조업 부양을 주요 공약으로 내세웠고, 수출 증대를 위해 달러가 약세로 전환해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다. 지난 16일에는 계속된 엔저를 겨냥해 "우리는 심각한 통화 문제를 안고 있다"라며 "강달러와 엔화·위안화 약세는 미국에 매우 불리한 현상"이라고 언급했다. 시장에서는 트럼프가 당선되면 양적 완화를 동반한 달러 가치의 하락이 발생할 것이라는 관측이 우세하다. 앞서 트럼프는 지난 임기 도중인 2020년에도 코로나19에 따른 경기 침체의 극복을 위해 기준금리를 0%대로 낮추고 국채를 대규모 매입하는 '무제한 양적 완화'를 추진한 바 있다. 지난 21일(현지시간) 지지율이 떨어졌던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대선 후보직에서 물러나면서 엔화 가치 상승세는 주춤하는 모습이지만, 전문가들은 엔화 가치가 장기적으로는 추가 상승할 것으로 관측했다. 신윤정 교보증권 선임연구원은 "트럼프 전 대통령이 낮은 엔화 가치에 문제를 제기했고, 일본 재무성이 엔화 추세 전환을 위해 5조엔 이상의 자금을 투입함이 알려지는 등 직·간접적인 외환시장 개입이 엔화 움직임에 주된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최근의 엔화 강세를 한시적인 이슈로 여길 수도 있지만, 중장기적으로도 엔저에 대한 정부 스탠스 전환, 내수 회복 기대, 달러 약세 등으로 절상 추세는 이어질 것으로 판단된다"고 말했다. 박상현 iM하이투자증권 전문위원은 "연준의 금리인하 기대감, 일본의 긴축 기조 강화 기대감으로 엔화 강세 흐름이 일부 가시화되고 있다"며 "과도했던 투기적 엔화 약세 포지션이 빠르게 청산될 여지가 있고, 이는 엔화 추가 강세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