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진한 화학업계, 업황 탓 말고 '차별화' 전략 찾아야
부진한 화학업계, 업황 탓 말고 '차별화' 전략 찾아야 국내 화학업계가 부진한 4분기 영업이익률을 발표했다. 글로벌 저성장 기조와 저유가, 중국발 저가 석화제품 공세 등 장애물을 피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조건이 비슷한 해외업체들의 사정은 다르다. 결국 국내업체들의 안일한 경영전략이 실적부진의 원인이라는 지적이다. 4일 석유화학 정보제공업체 ICIS의 보고서에 따르면 2014년 LG화학, 롯데케미칼, SK종합화학, 한화케미칼 등 글로벌 톱100기업에 속하는 4개사 영업이익률 평균은 전년 대비 0.7%포인트 하락한 3.6%를 기록했다. 글로벌 톱100 기업중 1∼10위권 기업의 영업이익률 평균이 2013년 9.5%에서 지난해 10.5%로 상승한 것과 대조적이다. 국내 석화 기업의 영업부진을 단순히 '업황'탓으로 미룰 수 없다는 해석이 나온다. 국내 석화 시장 침체의 가장 큰 원인은 중국의 자급률 확대 정책이다. 지난해 국내 석유화학산업의 대중국 수출액은 220억7900만 달러로 전년보다 14억1300만 달러가 줄었다. 글로벌 금융위기 직후인 2009년부터 꾸준히 증가한 대중 수출 규모가 감소한 것이다. ICIS에 따르면 지난해 중국의 석유화학 자급률은 78.5%로 2012년 70.7%에서 2년만에 8%포인트 가량 증가했다. 중국 수출에 대한 과도한 의존이 실적악화로 돌아온 셈이다. 전문가들은 석화분야의 차별화가 시급하다고 조언한다. 키움증권 박중선 연구위원은 "국내 석화분야의 다변화"를 해결책으로 꼽았다. 박 연구위원은 "현재 국내 대규모 설비를 통한 단일 품목 대량 생산 시스템은 시장에서 유동적인 대처를 하는데 장애물이 된다"며 "일본의 '도레이케미칼', '미쓰비시케미칼'은 납사, 폴로늄 등 기존의 대량 생산하던 것을 중단하고 탄소섬유 등 슈퍼섬유 생산에 집중해 수익을 올리고 있다"고 말했다. 메리츠증권 황유식 연구위원은 "기존의 제품을 경량화하는 등 고부가가치화도 석화기업의 돌파구가 될 수 있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