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신문 3월11일자 한줄뉴스
정치사회 ▲정부는 10일 핵·장거리 미사일 도발에 대응한 국제사회의 대북제재 국면에서 북한이 단거리 탄도미사일을 발사한 데 대해 유엔 안보리 산하 대북제재위에 조사를 요청하는 서한을 보내는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정부가 사내하도급 근로자를 정규직으로 전환하는 기업에 지원금을 준다. 비정규직 근로자가 겪는 불합리한 차별 개선에도 적극 나선다. 갈수록 커지는 정규직과 비정규직의 격차를 해소하기 위해서다. 국제 ▲미얀마의 정치지도자 아웅산 수치가 차기 정부를 이끌 대통령 후보로 자신의 오른팔이자 운전기사인 틴 쩌(70)를 지명해 수렴청정 논란이 일고 있다. ▲독일 증권거래소(도이체 뵈르제)가 미국 주식옵션거래소인 ISE를 나스닥 거래소에 매각하기로 했다. 산업 ▲조환익 한전 사장이 전기료 인하 요구에 대해 한국의 전기료가 OECD에서 제일 낮다며 거부의사를 밝혔다. 그러나 외국과의 소득, 물가 수준 비교를 거치지 않았고 한전의 지난해 영업이익이 13조원을 넘겼기에 이러한 주장이 설득력을 얻을 지는 미지수다. ▲11일 갤럭시S7 출시를 앞두고 10일 '갤럭시 S7 미디어데이' 행사가 열렸다. 고동진 삼성전자 사장은 갤럭시 S7에 대해 혁신을 장인정신으로 만들어낸 모델이라고 설명했다. 가격은 세부 모델과 내장 용량에 따라 83만6000원부터 96만8000원까지 책정됐다. ▲대법원이 공정거래위원회가 '일감 몰아주기'를 이유로 SK그룹 계열사들에 부과한 시정명령과 과징금 347억원을 취소시켰다. 대법원의 판결에 따라 공정위가 발표할 예정인 대기업의 일감 몰아주기 조사 결과에도 변화가 있을 전망이다. ▲정성립 대우조선해양 사장이 올 1·4분기 흑자 전환을 자신했다. 대우조선해양은 지난해 5조5000억원에 달하는 적자를 기록했다. 정 사장은 불확실성을 해소했고 선박 사업이 올해 매출 60억 달러를 달성할 전망이라고 밝혔다. 금융·부동산 ▲시중 은행들이 장기고객 확보를 위해 '젊은 고객 유치전'에 나섰다. 은행권에서는 금융 서비스를 비롯해 문화·예술 등 비금융 서비스까지 제공하며 젊은 고객 잡기에 한창이다. ▲국내 금융사들이 '그린본드' 발행에 나서고 있다. 최근 현대캐피탈은 국내 민간 기업 중 최초로 5억달러 규모의 그린본드를 발행했다. 업계에서는 그린본드 발행을 통해 친환경 기업에 대한 자금 지원 등의 긍정적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우미건설은 올해 재건축·뉴스테이 등 사업 다각화에 나선다. 이를 위해 우미건설은 공공·민간 공동택지개발사업, 민간참여 공공주택사업 등을 적극적으로 수주하고 있다. 유통&라이프 ▲이세돌 9단과 알파고 대전 소식에 온오프라인 유통채널에서 바둑관련 용품 매출이 급증했다. 오프라인은 물론, 온라인몰에서의 매출 증가도 두드러졌다. 옥션에 따르면 지난 2일부터 8일까지 일주간 바둑 관련 용품 매출을 분석한결과 전주대비 50% 가량 증가했다. 최근 한달간 바둑 용품 매출도 전년동기대비 42%나 늘었다. ▲CJ그룹이 올 한해 정규직 신입사원 4500명과 시간선텍제 인턴십 5000명 등 9500여개의 청년 일자리를 창출한다. 대졸 신입사원 채용규모는 지난해 2440명보다 10% 이상 증가한 2700명을 뽑는다. 상반기 공채는 오는 14일부터 시작한다. 서류접수는 22일까지 CJ그룹 채용 홈페이지를 통해 가능하다. ▲서울시가 올해 노후 하수관로 정비·확충에 3069억원을 투입한다. 노후 하수관로 정비에 1918억원, 침수방지 사업에 1151억원을 투자한다. 시는 중앙 정부의 노후 하수관로 사업 예산 조기 배정이 절실한 상황이라고 밝혔다. ▲K리그 클래식이 다가오는 주말을 시작으로 8개월 동안의 대장정에 들어간다. 올해는 전북 현대, 수원 삼성, FC서울, 포항 스틸러스, 성남FC, 제주 유나이티드, 울산 현대, 인천 유나이티드, 전남 드래곤즈, 광주FC, 상주 상무, 수원FC 등 총 12개 팀이 격돌한다. 공식 개막전은 지난 시즌 정규리그 우승팀인 전북과 대한축구협회(FA)컵 챔피언인 서울의 경기로 12일 오후 2시 전주월드컵경기장에서 열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