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별 없는 백신 무료 접종·코로나 병상 확보 의료기관 지원·재택근무 확대··· 감염병 맞서는 세계도시
코로나19 감염 예방을 위해 마스크를 쓴 사람들이 27일 도쿄의 한 거리를 걷고 있다./ 뉴시스·AP 전세계 코로나19 누적 확진자수가 1억명을 돌파하고 사망자가 210만명을 넘어서는 등 팬데믹 사태가 좀처럼 진정될 기세를 보이지 않고 있다. 미국 존스홉킨스대 시스템과학엔지니어링센터(CSSE)는 27일 오후 12시 22분 기준 세계 코로나19 누적 확진자수를 1억24만3101명, 사망자수를 215만6580명으로 집계했다. 이날 서울연구원 세계도시동향에 따르면 캐나다는 차별 없는 백신 무료 접종, 일본은 코로나19 치료 의료기관 지원, 인도는 공공기관 재택근무 확대 정책으로 감염병에 맞서고 있다. 캐나다는 지난달 9일 화이자-바이오엔테크 백신 승인 후 같은달 14일 첫 접종을 시작했다. 작년 12월 24일 기준 캐나다가 확보한 백신 양은 총 4억1400만회분이다. 이는 인구수 대비 가장 많은 양이다. 백신 무료접종 대상은 외국인 노동자와 유학생 등을 포함한 캐나다에 거주한 모든 이들이다. 연방정부가 발표한 백신접종 우선순위를 보면 1순위는 노인복지시설 거주 주민과 직원, 80세 이상 고령자부터 70세까지 노인, 의료종사자, 원주민 거주지역의 성인이다. 2순위는 노숙자 쉼터, 감옥과 같은 교정시설, 이주 노동자 공동생활공간 거주자와 직원, 필수 사업체 종사자다. 고한나 통신원은 "캐나다는 신분에 상관없이 누구나 무료로 코로나19 백신을 맞을 수 있도록 사회 취약계층을 배려했다"면서 "또한 코로나19 백신에 대한 투명한 정보 제공으로 신뢰를 얻고 있다"고 분석했다. 백신 접종과 관련해 캐나다 연방정부는 ▲나라에서 승인한 코로나19 백신 리스트 ▲백신 확보 협정에 관한 정보 ▲백신 접종 우선순위 지침 ▲백신 안정성과 효과에 관한 모니터링 계획을 공개했다. 캐나다 연방정부는 백신 재료, 알레르기, 항체를 만드는 과정, 투여 방법, 부작용에 관한 정보와 백신의 안전성 및 개발 과정에 대한 구체적이고 과학적인 정보를 국민들에게 제공했다. 뿐만 아니라 아스트라제네카, 존슨앤존슨, 메디카고를 포함해 7개 백신 기업과 체결한 계약 내용, 백신 유통과 관리에 필요한 물품 계약 내용, 백신 확보·개발을 위한 전세계 국가와의 협력 내용과 규정, 백신 부작용에 관한 평가·감시 시스템 활용 방안도 전부 공개했다. 한편 일본 오사카시는 코로나19 환자들이 제때 치료를 받지 못해 사망하는 안타까운 일이 없도록 확진자 병상을 마련한 병원에 협력금을 지원하기로 했다. 의료기관이 확보한 1개 병상당 1000만엔(약 1억원)을 협력금으로 지급하는 대신 올해 3월 31일까지 병상을 운용하고 코로나19 확진자를 돌보는 것을 조건으로 내걸었다. 권용수 통신원은 "의료체계를 지키는 게 시민의 생명을 지키는 길"이라며 "오사카시의 의료기관 지원책은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평가했다. 인도 델리 NCT 정부는 코로나19 관리 일선에 있지 않은 공공부문 직원들에게 재택근무 지침을 내렸다. 지난달부터 정부 기관, 지방자치단체, 공공기관 등에서 코로나19 관련 비필수 업무에 종사하는 직원의 50%만 출근토록 하고 민간회사에는 시차출퇴근제나 재택근무를 시행하도록 권고했다. 단 의료기관, 경찰서, 교도소, 소방, 응급 서비스, 전기, 수도, 위생, 재난관리 분야처럼 공공서비스가 보장돼야 하는 부문에 종사하는 직원과 정부기관·자치단체·공공기관 고위 간부, 임원은 재택근무 대상에서 제외했다. 박효택 통신원은 "델리 NCT 정부는 마스크 착용과 사회적 거리두기 준수 여부도 엄격하게 단속한다"며 "사무실이나 공공장소, 운전 중에도 마스크를 필수적으로 착용해야 하며, 공공장소에서 침을 뱉는 행위는 벌금형에 처해질 수 있다"고 전했다. /김현정기자 hjk1@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