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전문은행, O2O 시장 파이 키운다
인터넷전문은행, O2O 시장 파이 키운다 [메트로신문 정문경 기자]K뱅크와 카카오뱅크가 인터넷전문은행으로 예비인가를 받은 가운데, 이들 은행이 향후 온·오프라인 연계(O2O) 사업의 규모를 대폭 확장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인터넷전문은행은 은행과 고객 간 기존 관계의 틀을 완전히 바꿔놓는 전환점이 될 것으로 보인다. 기전 지점 중심의 은행시스템의 혁신은 물론, 신용등급에 대한 관점 자체가 대폭 바뀐다. 특히 인터넷전문은행은 다양한 O2O 상품과 연계할 수 있는 추가 솔루션이 도입되는 만큼, 향후 O2O 시장의 성장이 가속화될 전망이다. ◆현금 이자에 디지털 이자도 추가제공 K뱅크는 전국 GS 편의점과 우리은행, 1만4000여 개의 통신 대리점 등에 스마트 ATM을 놓고 출금과 이체뿐 아니라 계좌개설, 비대면 인증, 소액대출 등 다양한 도구로 활용할 계획이다. 특히 은행과 통신서비스, 멤버십 혜택 등을 결합한 신개념 솔루션을 내놓는다. 은행 이자는 향후 현금이 아닌 음악, VOD 등 다양한 형태로 제공받을 수 있다. 이와 함께 부동산 사이트에서 전·월세 상품을 검색한 사용자가 대출이 필요할 때 곧바로 K뱅크 대출 신청을 할 수 있는 솔루션을 도입, O2O 시장의 영역 확장을 추진 중이다. 카카오뱅크도 O2O 기반 서비스와 결합한 금융 상품을 내놓고 고객 모시기에 나선다. 카카오톡은 국내 스마트폰 사용자의 97%가 하루 평균 55회를 실행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카카오뱅크가 카카오톡을 활용한 마케팅을 통해 효과적으로 신규 고객을 확보할 계획이다. 또한, 카카오뱅크는 '카카오 유니버설 포인트'를 개발해 주요 콘텐츠나 게임 아이템 등을 바로 구입할 수 있는 솔루션을 도입할 예정이다. 은행 이자를 자연스럽게 O2O 시장에서 이용할 수 있는 연계 시스템이 만들어지는 것이다. ◆O2O 이력 고려한 '신용평가' 시스템 도입 K뱅크는 기존 신용평가 정보 외에도 통신비 납부이력과 O2O 결제정보 등을 빅데이타로 분석해 대출이 가능한 고객을 확장할 예정이다. KT의 경우 중금리 대출심사에 적용할 수 있는 3000만 명의 고객 이용정보와 자회사 BC카드의 2600만 고객 결제정보를 보유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금융이력이 없는 가정주부, 대학생, 일시적 신용경색이 있는 서민들까지 고객이 될 수 있다. 카카오뱅크는 고객들의 모바일·온라인 활동 데이터를 기존 금융권 신용평가 데이터와 접목해 차별화된 신용평가시스템인 '카카오스코어'를 활용, 중금리 대출을 용이하게 할 계획이다. 특히 카카오뱅크는 중금리 대출 사업을 통한 이자이익 창출은 물론 카카오 플랫폼 내 금융 서비스 탑재를 통한 트래픽 이탈 최소화, 컨소시엄 참여 업체들과의 협업을 통한 가맹점수 확대 등의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 은경완 LIG 애널리스트는 "인터넷전문은행은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새로운 신용평가기법을 도입해 니치마켓으로 평가받고 있는 중금리 대출 시장을 집중 공략할 것"이라며 "간편결제·송금, IT 기반의 자산관리 서비스 등 기존 은행과 차별화된 금융 서비스 제공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