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난망 시범사업, 사업자 선정두고 SKT-KT, LGU+ '진검승부'
[메트로신문 정문경 기자]국가재난안전통신망(이하 재난망) 시범사업 사업자 선정을 두고 SK텔레콤과 KT, LG유플러스가 물러설 수 없는 승부를 벌이고 있다. SK텔레콤이 선전하면 1·2사업을 모두 수주할 수 있는 반면 KT와 LG유플러스가 각각 1·2사업을 수주하면서 SK텔레콤이 고배를 마실 수도 있다. SK텔레콤은 1사업(평창)에서 KT와, 2사업(강릉·정선)에서 LG유플러스와 경쟁한다. 30일 통신업계에 따르면 지난 25일 재난망 시범사업 제안서 접수를 마감한 결과, 1사업에 SK텔레콤 컨소시엄(SK텔레콤, 엔텔스, 텔코웨어, 사이버텔브릿지)과 KT 컨소시엄(KT, 위니텍, 아이티센, 한국전자기지국)이 제안서를 제출했다. 2사업에서는 SK텔레콤 컨소시엄(SK텔레콤, 사이버텔브릿지, 설악이앤씨)과 LG유플러스 컨소시엄(LG유플러스, 다산네트웍스, 디오텍)이 경쟁한다. 정보전략계획(ISP)를 담당했던 LG CNS와 리노스는 KT 컨소시엄, LG유플러스 컨소시엄 하도급 업체로 참여했다. 1사업에는 관제센터를 비롯해 LTE 교환기로 불리는 EPC, 관련 애플리케이션 등이 설치된다. 사업 예산은 약 338억원이다. 무선부분(RU) 기준으로 기지국 68개, 단말기는 648대(스마트폰형 310대, 무전기형 338대)가 공급된다. 전체 사업예산 80%가 투자되고 EPC 등 핵심 장비가 설치되기 때문에 2지역에 비해 중요성이 매우 높다. 2사업에는 82억1600만원이 투자된다. 기지국은 137개, 단말기는 총 1848대로 스마트폰형이 886대, 무전기형이 962대다. 기지국과 단말기 설치가 주 사업으로 1지역보다는 중요가 떨어진다. 하지만 정선과 강릉 두 곳에서 진행되기 때문에 단말기와 기지국 수는 1지역보다 많다. 재난망 시범사업에서는 중소기업 참여 비율이 50%를 넘어야 해당 분야 만점을 받는다. 이에 따라 이동통신사는 기술력을 갖춘 중견·중소기업으로 컨소시엄을 꾸렸다. SK텔레콤 컨소시엄에 참여하는 엔텔스는 LTE와 3G 등 코어 네트워크 장비, 컨설팅 서비스를 제공하고 텔코웨어는 종합 통신 솔루션 전문업체다. 사이버텔브릿지는 뛰어난 영상무전 기술을 갖춘 푸시투토크(PTT) 솔루션 업체로 SK텔레콤과 공군 시분할 롱텀에벌루션(LTE-TDD)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KT 진영 위니텍은 대구 소재 업체로 소방관제 솔루션을 전문으로 개발한다. 아이티센은 IT인프라 구축과 서비스를 전문으로 한다. 매출 2000억원이 넘는 중견기업이다. 한국전파기지국은 기지국 및 통신망 관리 전문업체다. LG유플러스는 다산네트웍스, 디오텍과 컨소시엄을 구성했다. 다산네트웍스는 중견 통신장비 제조업체, 디오텍은 단말기 검증 전문업체다. 한 이통사 관계자는 "시범사업에는 최대한 많은 단말기와 통신장비(기지국)을 제안할 것"이라며 "이 기간에 성능과 기능, 고객 선호도를 검증해서 본사업에 쓸 제품을 결정할 것"이라고 말했다 국민안전처는 10월 7일 1사업, 8일 2사업 제안설명회를 열고 우선협상대상자를 선정한다. 최종 계약과 사업 착수 시점은 10월 중순이다. 재난망 시범사업 기간은 210일로 내년 5월 초에 마무리될 전망이다. [!{IMG::20150930000162.jpg::C::480::LG유플러스 직원들이 LTE망의 원활한 운영을 위해 점검 중이다./LG유플러스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