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럭으로 역사 이어가는 대우차, 전기차 시대 부활할 수 있을까
대우자동차가 기로에 섰다. 글로벌 시장에서는 여전히 높은 인지도를 유지하는 상황에서, 브랜드 사용권을 두고 존폐 여부는 물론 화려한 부활 가능성까지도 제기된다. 6일 업계에 따르면 타타대우는 내년 말 공개를 목표로 1.5톤 전기 트럭을 개발 중이다. 타타대우는 글로벌 시장에서 대우자동차 브랜드를 쓰고 있는 유일한 업체다. 대우자동차였던 GM이 일찌감치 대우 브랜드를 지웠고, 대우 브랜드를 소유하고 있던 대우인터내셔널도 포스코인터내셔널로 이름을 바꾼지 여러해가 지났다. 문제는 타타대우가 1.5톤 트럭에는 대우 브랜드를 사용할 수 없다는 것. 타타대우가 확보한 브랜드 사용권은 2.5톤 이상 준중형 트럭 이상에 한한다. 1.5톤 트럭 이하 상용차와 승용차에 대한 브랜드 사용권은 GM, 옛 대우자동차가 보유하고 있다고 알려져있다. 포스코인터에 소유권이 있지만, GM 한국사업장이 아직 사용권을 포기하지 않고 있어서다. 포스코인터가 2015년 사우디아라비아 등에서 대우자동차 브랜드를 활용해 자동차 사업에 진출하려다가 GM의 문제제기에 결국 포기한 바 있다. GM과 포스코인터는 구체적인 계약 내용과 현황에 대해서는 확인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다만 브랜드 사용권이 수익과도 직결된 문제인 만큼, GM이 여전히 사용권을 포기하지 않았을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이다. 한 업계 관계자는 "양사가 모두 대우 브랜드를 활용할 계획이 없어서 옛 계약을 법적으로 따져보지는 않는 상태일 것"이라면서 "다만 GM이 굳이 사용권을 포기할 이유는 없어보인다"고 추정했다. GM이 대우차 브랜드를 유지해온 이유는 사후 관리 때문이라는 설명이다. 최근까지도 국내에서 대우 상용차인 다마스와 라보를 생산해왔고, 해외에서도 대우차 자회사였던 우즈베키스탄 '우즈오토' 등을 통해 마티즈(M300)와 라세티 등을 만들어 판매해왔다. 대우차 브랜드를 타사에서 사용하면 소비자들에 착오를 일으키고 서비스 품질도 떨어질 수 있다는 우려다. 한 업계 관계자는 "GM이 대우차 브랜드에 욕심이 없어도 사후 서비스에 대한 책임에서는 자유로울 수 없다"며 "대우차가 만들던 모델을 최근까지도 생산했던 만큼, 앞으로도 약 10년 가량은 사용권을 포기하기 어려울 것"이라고 예상했다. 또다른 관계자도 "포스코인터가 대우차 브랜드 소유권을 가지고 있긴 하지만 이와 관련해 복잡한 상황을 만들고 싶지는 않은 분위기다"며 "대우차 브랜드를 사용하려면 GM과 논의해야할 것으로 본다"고 봤다. 타타대우는 대우차 브랜드를 최대한 활용하려는 입장이다. 타타모터스 기리쉬 와그 사장은 최근 타타대우에서 열린 기자간담회를 통해 해외 시장에서의 대우브랜드 입지와 역사성을 강조하며 브랜드를 유지하겠다고 다시 한 번 확인했다. 1.5톤 트럭부터는 대우브랜드 사용이 어려워진 만큼, 대응책을 마련하기 위해 논의를 지속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대우차 브랜드를 유지하는 게 최선이지만, 불발될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대안도 찾고 있다는 것. 일단 타타대우가 최근 '쎈(XEN)'이라는 이름으로 라인업을 성공적으로 재정비하면서 의미 있는 카드는 확보한 상태다. 만약 타타대우가 대우차 브랜드 사용권을 확대할 수 있게 된다면 사업 영역을 승용차로 넓힐 가능성도 있다. 모기업인 타타모터스가 최근 '가성비' 높은 모델로 유럽 등 글로벌 시장에서 입지를 넓히는 상황, 대우차 브랜드를 상용차와 같이 프리미엄 브랜드로 활용해 새로운 시도를 이어갈 수 있어서다. 최근 타타가 만든 SUV 사파리가 국내 도로에서 관측되기도 했다. 일단 타타모터스는 내수 공급도 쉽지 않아 국내로 승용차를 도입할 계획은 없다는 입장이다. 다만 최근 대우전자 브랜드를 확보한 남미 라탐도 자동차 사업에 진출해있는 만큼, 대우차 브랜드를 활용하려는 논의는 꾸준히 이어질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