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기 속 중책 맡은 젊은 인재들, 임원의 자격은
기업들이 내년 위기를 대비해 안정에 초점을 맞추는 상황에서도 정기 인사를 통해 미래를 이끌 신규 임원을 대거 발탁했다. 일찌감치 재능을 발휘한 고학력자를 중심으로 괄목할만한 성과를 낸 새로움 젊은 임원들이 이름을 올렸다. 미래 먹거리를 이끌 '젊은 리더', '미래 기술인력' '여성 인재'들에게 어려운 경영 환경 해법을 제시해줄 중책을 맡겼다. 14일 재계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올해에도 30대 상무를 3명 새로 승진시켰다. 지난해(4명)와 비슷한 규모다. 최연소 임원은 1985년생 37세인 DX부문 생산기술연구소 HW기술그룹 배범희 상무다. 지난해에도 당시 37세였던 1984년생 시스템LSI SOC(통합칩)설계팀 박성범 상무가 최연소 승진자로 이름을 올린 바 있다. 삼성전자는 이미 오래 전부터 30대 임원을 중용해왔다. 외부 영입을 제외하고도 공채 출신 중에서도 30대 상무 승진자를 꾸준히 배출했다. 2007년에 상무가 된 무선사업부장 노태문 사장이 대표적인 사례. 종합기술원장을 맡고 있는 김기남 회장 역시 1997년에 39세로 임원에 올랐다. 30대 임원의 공통점은 '박사' 출신이라는 점이다. 김기남 회장은 서울대학교와 카이스트를 거쳐 미국 UCLA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노태문 사장 역시 포항공과대학교 박사 출신. 지난해 임원이 된 박성범 상무도 미국 스탠포드 박사다. 배범희 상무 역시 카이스트에 입학해 박사까지 마친 전문가다. 특히 배범희 상무는 평범한 승진 단계를 빠르게 건너뛴 사례로 꼽힌다. 삼성전자에서 박사 출신이 부장 승진 대상자가 되기까지 걸리는 시간은 8년으로 알려져있다. 다른 30대 임원들도 대부분 10년차가 되어서야 임원 승진이 가능하다. 그러나 배 상무는 2015년에 처음 삼성전자에 입사해 이제 부장 승진 대상자일 연차에도 상무가 됐다. 지난해 38세, 1983년생으로 임원이 된 영상디스플레이 개발팀 소재민 상무도 비슷한 사례다. 소 상무 역시 2014년 석사 신분으로 입사, 2018년에 박사학위를 취득하고 입사 8년만에 상무가 됐다. 이같은 발탁 인사에는 성과가 크게 작용한다는 평가다. 배 상무는 세계 최초로 RF 신호 전송 기술 등 개발에 참여해 스마트폰 두께를 줄이는 10㎓급 필름형 초고속 RF 케이블을 상용화하는데 성공했다. 특허 출원도 성과를 측정할 수 있는 객관적인 지표로 평가된다. IEEE에 따르면 배 상무는 현재 시니어 멤버로, 10여년간 50개 이상 논문과 15개 이상 특허를 출원하는 성과를 거뒀다. 삼성전자가 자체적으로도 논문 DB를 운영하고 있는 만큼, 실제 성과는 그 이상일 것으로 추정된다. DS부문 첫 여성 사장 후보로 오른 반도체연구소 D램공정개발팀 이금주 부사장도 특허 출원에서 많은 성과를 냈다. 관련 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 특허 중 30여개에 연구자로 참여했다. 박사가 아닌 중앙대 화학과 석사 출신이기도 하다. 미래 먹거리와 관련성도 주요 평가 요인으로 꼽힌다. LG그룹에서 최연소로 '별'을 단 1983년생 LG전자 우정훈 수석전문위원은 미국 컬럼비아대에서 박사를 딴 인재로, LG 씽큐 앱을 중심으로 디지털 전환을 가속화했다는 평가를 받으며 발탁됐다. 지난해 유튜브 '엘지inTV' 채널에서 데이터 사이언스 분야 경력사원 채용과 관련한 영상에 직접 출연해 전문성을 소개하기도 했다. 지난해 승진한 삼성전자 소재민 상무도 사물 인식과 가상 현실 등과 관련한 연구 성과를 낸 영상 인식과 처리 분야 기술 전문가로, 전자 업계 주요 미래 사업인 메타버스 시대를 주도할 전망이다. 상대적으로 보수적인 반도체 분야에서도 30대 임원은 꾸준히 발탁되고 있다. 삼성전자 메모리사업부 Flash PA1팀 이병일 상무는 1983년생으로 올해 39세다. 지난해에도 메모리사업부 DRAM개발실 DRAM설계팀 김경륜 상무가 1983년생으로 38세에 임원이 됐다. 근속연수로는 10년이 넘긴 하지만, 반도체 업계가 기술 경쟁이 치열한 만큼 파격적인 발탁이라는 데에는 이견이 없다. SK하이닉스도 올해 최연소 임원 승진자가 1980년생인 박명재 연구위원, 글로벌 뉴스룸에 따르면 2014년에 입사해 내년으로 10년차가 된다. 일각에서는 기업들이 성과보다는 출신 학교 등 여러 조건을 바탕으로 조기 승진자를 일찌감치 내정하는 것이라는 추측도 내놓지만, 실제로는 그럴만한 근거나 방법이 없다는 게 재계 관계자 설명이다. 계약서에 명문화하는 게 불가능해 근무 평가를 무시할 수 없는데다가, 조직 특성상 원칙 없이 인사를 내면 부작용이 더 클 수 있기 때문에 오히려 더 신중하게 본다는 것. 한편 내년 경영 불확실성이 예고되는 상황, 여성을 중심으로 '문과 출신' 승진자도 두각을 나타냈다. 이영희 사장은 연세대 영어영문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노스웨스턴대학교에서 광고마케팅학을 전공한 삼성전자 첫 여성 사장이다. VD사업부 서비스 PM그룹장 안희영 상무와 중남미 총괄 손영아 상무, 경영지원실 안주원 상무 등 역시 어문이나 경영 전공의 여성 임원이다. /김재웅기자 juk@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