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전자, 외부 공급 'webOS 허브' 강화…올레드 이어 SW 경쟁력까지
LG전자 플랫폼 'webOS'가 다른 TV에서도 강력한 성능을 발휘하게 됐다. LG전자는 최근 webOS 허브를 새로 출시했다고 8일 밝혔다. webOS는 LG전자가 운영하는 OS로, webOS 허브는 외부 TV업체에 공급하는 소프트웨어다. 지난해부터 스마트 TV 독자 운영체제 webOS를 소프트웨어 패키지로 구성해 외부에 공급하고 있다. 스마트 TV 플랫폼으로 webOS를 선택한 브랜드는 지난해 20여 곳에서 올해 200개 이상으로 늘었다. SEIKI, RCA, EKO, STREAMSYSTEM, KONKA, AKAI, Hyundai, LLOYD, Aconatic, AIWA, JVC, WALTON, PREMIER 등 세계 각국의 브랜드가 webOS TV를 출시하고 있다. 새로운 webOS는 클라우드 게임과 OTT 등 인기 콘텐츠를 확대했다. 넷플릭스와 프라임비디오에 더해 파라마운트+와 푸보TV 등 서비스를 탑재했으며, 특히 클라우드 게임 서비스를 새로 탑재해 다양한 게임을 즐길 수 있도록 했다. 홈 커스터마이징도 지원한다. LG전자는 많은 브랜드가 자사 고유 이미지나 정체성에 부합하는 화면 구성을 원하는 점에 착안했다. 기존에는 미리 구성된 화면만을 사용해야 했는데, 이제는 업체 자체 로고를 추가하거나 배경색 등을 변경해 브랜드 고유 화면을 직접 구성할 수 있다. 외부 업체가 사용할 수 있는 OLED TV 전용 플랫폼도 있다. LG전자가 확보하고 있는 세계 최고 수준 올레드 TV 기술 및 노하우를 대거 탑재했다. 올레드 화질처리기술을 포함해 ▲VRR(변동재생률, Variable Refresh Rate) ▲게임 특성에 맞춰 화질과 음향을 설정하는 게이밍 보드 등 다양한 특화 기능을 지원한다. 시청 이력 기반 콘텐츠 추천, 인공지능 씽큐(ThinQ) 음성인식, 집 안 LG 가전을 제어하는 홈대시보드 등의 부가 기능은 물론이고 LG전자가 제공하는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를 받아볼 수도 있다. 그 밖에도 LG전자는 개발, 생산 등 하드웨어에 머무르던 TV 사업의 포트폴리오를 콘텐츠/서비스 분야로 확대하는 차원에서 webOS 플랫폼 사업에 속도를 내고 있다. 올레드 TV를 앞세운 하드웨어 뿐 아니라 webOS를 앞세운 소프트웨어 분야에서도 콘텐츠/서비스를 고도화하며 TV 시청경험을 차별화해 가겠다는 전략이다. 전 세계 1000 개 이상 콘텐츠 제공업체(CP)들과 협업하고 있으며, 플랫폼 구매 업체들이 필요로 하는 콘텐츠 및 방송 인증 및 다양한 솔루션을 패키지로 제공하고 있다. LG전자 박형세 HE사업본부장은 "압도적 사용 편의성이 장점인 webOS를 앞세워 스마트 TV 플랫폼 생태계 구축에 속도를 내고 보다 많은 고객들에게 차별화된 시청 경험을 전달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김재웅기자 juk@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