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업환경 녹녹치 않은 은행권, 외국인 1조원대 배 불리나
지난해 순익이 기대 이상일 것으로 예상되는 국내 시중은행들이 외국인 주주에게 고배당을 약속할 가능성이 커졌다. 이들 은행들은 금융위기 때 주주들에게 이익을 충분히 돌려주지 못했다는 이유로 고배당 정책을 펴왔다. 은행들의 이익 대비 배당액 비율은 상장사 평균을 두 배 가량 웃돌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부실이 생기면 국민 혈세로 메우거나 고객에게 전가하고, 고액연봉·주주 고배당 등과 같은 이익은 철저히 챙기는 금융권의 이중 잣대가 다시 도마에 오르고 있다. 또 일각에서는 금융권의 수익성에 대한 우려가 있는 만큼 지나친 배당은 무리라는 지적도 나온다. ◆외국인 몫 1조 넘길까 7일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신한·KB·하나·우리·기업 등 5대 은행지주와 은행의 예상 배당액은 1조7551억원 규모다. 여기에 하나금융이 지난해와 같은 주당 650원의 배당을 한다면 배당액은 총 1조9475억원으로 늘어난다. 이는 전년보다 12.76% 늘어난 수준이다. 예상대로라면 외국인에게 돌아갈 몫은 1조원을 넘어설 전망이다. 지난해 신한금융, KB금융, 하나금융, IBK기업은행, 우리은행, DGB금융, JB금융, BNK금융, 제주은행 등에서 챙긴 배당액은 8950억원(6일 현재 외국인 지분율 기준)에 달했다. 이들의 보유한 금융지주와 은행 지분은 6일 기준 최고 70%를 넘는다. 하나금융지주의 외국인 지분율은 70.85%로 가장 높다. 신한금융과 KB금융 지분 비중도 각각 68.02%, 63.73%에 달한다. 외국인이 은행주 투자를 늘린 것은 배당 확대 기류와 무관치 않다는 분석이 나온다. 일반적으로 외국인 투자자들이 배당주에 관심이 높은 가운데 은행권의 배당 확대 기류를 먼저 감지하고 투자를 늘렸다는 설명이다. 신한금융투자 김수현 연구원은 "기업은행은 보유 중인 KT&G 주식 매각을 통해 특별 배당을 포함, 배당을 증가시킬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우리은행도 배당기대감이 크다. 하나금융투자 한정태 연구원은 우리은행에 대해 "정부 지분 21.4%가 남아 있지만 정부의 경영간섭이 사라지고 이사회에서 의사 결정하는 체제로 지배구조가 안착됐으며, 이제는 이전보다 더 이익 안정성과 주주가치 경영이 강조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배당에 대한 기대감이 더욱 커질 것"이라고 말했다. 미래에셋대우 강혜승 연구원은 신한지주에 대해 "작년 4분기 순이익은 전년 같은 기간보다 19% 늘어난 4810억원으로 시장 기대를 웃돈 것으로 추정한다"며 높은 배당성향을 유지할 것으로 분석했다. ◆자본확충 고민속 영업환경 우려 금융권이 속속 배당을 확대하는 배경으로는 밑거름 이지만, 정부의 주주친화 정책 강화 영향이 꼽힌다. 정부는 이익의 일정 부분을 투자나 임금, 배당 등에 쓰지 않고 사내유보금으로 쌓아둔 기업에 세금을 물리는 '기업소득 환류세제' 등 다양한 배당 확대 장려책을 내놓은 바 있다. 여기에 외국인 투자자 등에게 투자 매력을 보여줌으로써 저평가된 주식 가치를 높이려는 노력이 더해져 배당이 계속 확대되는 것으로 분석된다. 그러나 배당을 바라보는 시선은 여전히 곱지 않다. 장기적으로 주가를 끌어 올리고 투자심리를 개선하기 위해서 배당확대 등 주주친화적인 정책이 어느 정도 필요한 것은 사실이지만 은행 수익성에 대한 걱정이 큰 상황에 배당을 늘리는 게 적절치 않다는 것. 수익성을 나타내는 순이자마진(NIM)은 지난해 1.60%로 글로벌 금융위기 직후였던 2009년(1.98%)보다도 낮은 역대 최저치를 기록했다. 가계부채도 골칫거리다. 지난 9월 말 가계대출 잔액은 1295조원이고, 금융부채는 1517조원이다. 1인당 금융부채가 2986만원이 넘었다. 가계금융부채는 개인가처분소득 대비 182.16%에 달하는 것으로 추산된다. 글로벌에서도 앞 순위로 추산된다. 통화정책도 마이너스금리를 시행하거나 제로금리로 갈 가능성이 있다. 이자이익 비중이 85% 이상인 국내은행의 돌파구가 쉽지 않다. 하영구 은행연합회 회장은 "국내 은행산업은 지난해에도 NIM이 지속적으로 하락하는 가운데 수익성은 여전히 전 세계 최하위 수준"이라며 은행이 생존을 위해 지속적인 성장과 발전을 도모해야 할 시기라고 강조했다. 또 국내 은행들이 1997년 외환위기와 2008년 금융위기 때 정부 지원과 국민 희생 덕분에 살아난 측면이 있는 만큼 순익이 많이 났다고 해서 고배당을 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는 지적도 있다. 금융권 한 관계자는 "은행은 망하면 국민 세금이 들어가야 한다는 점에서 일반 사기업과 다르다. 특히 올해 영업환경에 대한 우려가 큰 만큼 고배당은 자제해야 한다"고 말했다. 어려울 때는 국민에게 손을 벌리다가 잘나갈 때는 '돈 잔치'를 벌이는 도덕적 해이(모럴해저드)에 빠질수 있다 것. 하지만 은행권은 "배당이 적으면 외국인 주주들이 떠나갈 수 있다"며 고배당 의지를 꺾지 않고 있다. 국내 주요 금융지주사들의 외국인 지분은 우리금융을 제외하면 대부분 60%를 넘는다. 은행 경영진은 사실상 주인이나 다름없는 외국인 주주에게 고배당 카드를 쓸 수밖에 없다. 세계적인 은행들과 비교해서도 국내 은행들의 배당성향이 낮다는 점도 은행권이 내세우는 논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