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전공 유형1’ 수시·정시 모두 이과생 유리…입학 후 전공선택도 쏠림” 우려
2025학년도 대학 입시에서는 전공 구분 없이 입학하는 '무전공'으로 주요 대학 73곳에서 10명에 3명꼴로 신입생을 선발하는 가운데, 이과생이 문과생보다 유리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9일 종로학원이 한국대학교육협의회 대입포털 '어디가'에서 공개한 전국 4년제 대학 합격선을 비교한 결과, 2023학년도 수시모집 학생부교과전형 내신 합격선이 서울권 자연계열은 2.15등급지만, 인문계열은 2.34등급에 그쳤다. 학생부종합전형도 인문 3.00등급, 자연 2.64등급으로 모두 자연계가 높게 형성됐다. 앞선 2022학년도 입시에서도 수시 내신 합격선은 서울권 인문 2.45등급, 자연 2.22등급으로 자연계가 내신 합격선이 높았다. 경인권 대학도 인문계열 3.79등급, 자연계열 3.49등급으로 자연계 합격선이 높고, 지방권도 인문계열 4.74등급, 자연계열 4.55등급으로 마찬가지였다. 2024학년도 입시에서도 비슷한 패턴을 보였다. '어디가'에는 2024학년도 학교 내신 합격선이 아직 공개되지 않았지만, 2024학년도 대학별 홈페이지에 공개된 내신 합격선을 살펴보면 교과전형의 경우 ▲경희대 인문 1.77등급, 자연 1.64등급 ▲고려대 인문 1.50등급, 자연 1.43등급 ▲연세대 인문 1.69등급, 자연 1.56등급 ▲성균관대 인문 1.76등급, 자연 1.62등급 ▲한양대 인문 1.47등급, 자연 1.30등급으로 모두 자연계가 우세했다. 무전공 선발은 유형1과 유형2로 구분해 이뤄진다. 유형1은 의대·사범대를 제외한 모든 전공을 자유롭게 선택하는 선발유형이다. 유형2는 계열·단과대로 입학한 뒤 해당 분야 내에서만 전공을 선택할 수 있다. 문과·이과가 구분된 셈이다. 2025학년도 무전공 중점 추진대상 73개 대학(수도권 51곳, 국립대 22곳)의 무전공 모집인원은 총 3만7935명이다. 73개 대학의 2024학년도 무전공 선발 비율은 6.6%(9925명)였지만, 올해는 그 비중이 4배 이상 증가해 신입생의 30%가량을 차지한다. 과거 문과에 비해 이과 학생들의 합격선이 높았던 점을 고려하면, 문과·이과 구분 없이 선발하는 유형1의 경우, 이과생이 유리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임성호 종로학원 대표이사는 "내신 성적상으로 현재 고득점 학생들이 이과생들이 문과생보다 많은 상황이기 때문에 이과생과 문과생이 경쟁을 벌이는 유형1의 경우, 이과생이 문과생보다 지원 시 유리할 수 있는 상황으로 추정된다"라며 "신입생 입학 결과에서도 유형1은 대부분 주요 대학에서 이과 합격생이 문과보다 수시에서 많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임 대표는 "정시 선발에서도 마찬가지일 것"이라며 "유형1은 통합수능 중 특히 수학과목에서 이과 학생이 문과 학생보다 표준점수가 높은 학생들이 많아 정시에서 이과생 합격비율 높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했다. 이처럼 무전공 유형1에 이과생 합격생 비율이 높을 것으로 예상되면서 입학 후 전공 선택에서도 이과 학과에 집중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임성호 대표는 "유형1은 문·이과 모두 선택할 수 있는 전형임에도 이과생 합격생 비율이 높아지면서, (무전공 기간을 거친 뒤) 전공선택 시 이과 관련 전공선택 비중이 매우 크게 나타나며 쏠림현상이 나타날 수 있다"고 우려했다. 무전공 선발 유형1을 2025학년도에 신설한 대학은 서울권에서 ▲국민대 828명 ▲상명대 530명 ▲숭실대 439명으로 가장 많고, 이외 ▲성균관대 280명 ▲한양대 250명 ▲서강대 157명 ▲고려대 131명을 새롭게 선발한다. 기존에 선발하고 있던 대학 중 유형1 선발이 늘어난 대학은 경희대가 72명에서 406명으로 가장 많이 늘었다. / 이현진 기자 lhj@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