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SDS, 국가공인자격 'e-Test' 사업 20년 만에 손뗀다
삼성SDS가 국가공인 민간자격증 'e-Test' 사업에서 20여년 만에 손을 떼기로 결정했다. 이 같은 결정은 최근 대기업의 중소기업과 동반성장 분위기에 따른 것이다. 28일 미래창조과학부에 따르면 지난 23일부터 홈페이지에 "국가공인 민간자격 'e-Test 프로페셔널' 관리·운영권 양수기관 선정계획을 공고하고 29일 오후 6시까지 접수를 받고 있다. 'e-Test'는 정보기술 동향, 정보보안, 정보윤리 및 정보통신과 관련된 지식뿐 아니라 워드프로세서, 엑셀, 파워포인트툴 및 인터넷 정보검색 등 정보화 사회에 필요한 정보소양을 종합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컴퓨터 및 정보활용능력 평가 시험이다. 1989년 삼성그룹 사무자동화(OA) 자격제도가 기반이 돼 시작됐으며, 1999년 삼성SDS가 주관하면서 명칭도 지금의 e-Test로 변경됐다. 2001년에는 당시 정보통신부가 e-Test를 국가공인 민간자격증으로 인가하면서 관심도 늘었다. 현재는 성균관대, 이화여대, 인하대, 동아대, 인천대 등 여러 대학에 졸업인증 및 학점인정 자격으로 채택됐으며, 자격 취득 시 군 특기적성병(기술행정병)으로도 분류될 수 있다. 또 삼성그룹, 포스코, KT, SK그룹, 농협중앙회, 대한지적공사 등은 정보활용능력평가 자격으로 e-Test를 채택하기도 했다. e-Test 자격증을 획득한 이들도 20여년간 약 20만명에 달할 정도로 대중화 됐다. 다만 워드, 엑셀, 파워포인트 등 대부분 사무를 보는데 있어 필수 프로그램으로 자리하면서 이제는 일반적으로 자격증이 없어도 출중한 실력을 갖춘 이들이 많아 이 같은 자격증에 대한 관심이 줄어든 것도 사실이다. 하지만 여전히 취업 시장에선 자격증 유무가 하나의 화두로 작용하기 때문에 e-Test 사업에도 여러 기업들이 관심을 가질 것으로 보인다. 삼성SDS 관계자는 "e-Test 사업이 큰 규모도 아닌데 굳이 대기업이 진출해 사업을 이어가고 있는 것이 맞는가'에 대한 의문의 목소리가 지속적으로 제기된 것이 사실"이라며 "삼성SDS도 미래부와 꾸준한 논의를 통해 중소기업에 이 같은 사업을 양보하는 것이 맞다는 판단을 내렸다"고 사업 철수 배경을 설명했다. 이 관계자는 이어 "사실상 e-Test와 같은 IT 교육 사업은 중기적합업종으로 지정돼야할 사업으로 보인다"면서 "중소기업 중 적절한 사업자가 선정돼 e-Test 자격증 사업 역시 원활히 이끌어 가리라 생각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