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당선인 국정운영 긍정 전망 49.6%, 부정 전망 46.8%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의 국정운영에 대한 긍정적인 전망이 부정적인 전망에 오차범위 내로 앞선 것으로 나타났다. 윤 당선인이 지난 3일 오전 제주시 봉개동 제주4·3 평화공원에서 열린 '제74주년 제주 4·3 희생자 추념식'에 참석해 추념사를 하고 있다. / 제주도사진기자회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의 국정운영에 대한 긍정적인 전망이 부정적인 전망에 오차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BS의뢰로 여론조사업체 한국사회여론연구소(KSOI)가 지난 1일에서 2일까지 전국 만 18세 이상 성인 남녀 1002명을 대상으로 여론조사를 실시한 결과(중앙선관위 제공 안심번호 무선 자동응답방식 100%, 표본오차 95% 신뢰수준에서 ±3.1%포인트, 응답률은 7.4%) 윤 당선인의 국정 운영에 대한 긍정적인 전망은 49.6%, 부정적인 전망은 46.8%로 조사됐다. 긍정 전망의 이유는 '통합 및 협치를 이끌어나갈 것'(39.5%), '공약이 마음에 들어서'(26.4%) '당선인의 자질과 역량'(17.4%) 순이었다. 부정 전망의 이유는 '당선인 자질과 역량 부족'에 응답한 비율이 78.6%로 가장 높았다. KSOI는 이는 역대 대통령들이 당선인 신분이었을 때 긍정적인 전망이 80% 안팎이었을 때와 대조적이라고 밝혔다. 여론조사업체 한국갤럽 데일리오피니언에 따르면 김영삼, 김대중, 노무현 전 대통령의 취임 첫해 1분기 직무 수행 긍정평가는 각각 71%, 71%, 60%였다. 이명박 전 대통령의 당선인 시절인 2007년 12월에 긍정 평가는 84%, 박근혜 전 대통령의 당선인 시절인 2012년 12월에 긍정평가는 78%였다. 보궐선거로 당선 즉시 취임한 문재인 대통령 같은 경우에 2017년 5월 87%의 긍정평가를 받은 것으로 조사됐다. 또한 대통령직인수위원회(인수위)의 '임대차 3법' 축소·폐지 방침에 대해선 찬성이 45.7%, 반대가 35.2%로 찬성 의견이 반대 의견보다 10.5%포인트 앞선 것으로 조사됐다. 대우조선해양 신임 사장 선임이 문재인 정부의 '알박기' 인사인지를 묻는 질문에 그렇다라는 응답이 42.7%, 아니다라는 응답이 38.5%였다. 문재인 대통령의 국정수행에 대한 평가는 긍정 평가가 48.8%, 부정 평가가 49.1%로 나타났다. 긍정과 부정 응답의 격차가 0.3%포인트로 줄어들며 올해 들어 가장 적은 격차를 기록했다. 정당지지율은 더불어민주당 34.1%, 국민의힘 31.2%, 국민의당 9.8%, 정의당 4.0%순이었다. 질문지 등 보다 자세한 사항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나 KSOI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