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에도 뜨거운 JP모건 컨퍼런스..K-바이오 경쟁력 알린다
국내 제약·바이오 기업들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중에도 세계 최대 행사인 'JP모건 헬스케어 컨퍼런스'에 참석해 K-바이오 경쟁력을 알린다. 삼성바이오로직스 존림 신임 대표가 처음으로 공식 석상에 서는 것을 비롯, 20여개 주요 기업들이 참석해 기술수출과 투자유치의 기회를 모색할 계획이다. 7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바이오로직스, 한미약품, LG화학, 유한양행, 종근당, JW중외제약 등 국내 주요 바이오·제약 기업들이 JP모건 헬스케어 컨퍼런스에 참석할 예정이다. 매년 열리는 제약·바이오 산업 최대 행사인 JP모건 헬스케어 컨퍼런스는 올해에는 11~14일 개최된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인해 올해는 비대면으로 행사가 진행될 예정이다. 삼성바이오로직스 존림 신임 대표이사는 이번 컨퍼런스에서 메인 트랙 발표를 맡으며, 글로벌 데뷔 무대를 가질 예정이다. 올해 메인 트랙에 서는 국내 기업은 삼성바이오로직스가 유일하다. 이 기업은 지난 2017년 이후 지속적으로 메인트랙 발표를 맡아 왔다. 서정진 회장이 물러난 셀트리온은 이번 컨퍼런스에서 메인 트랙에 배정됐으나 불참을 결정했다. 셀트리온이 JP모건 컨퍼런스에 불참하는 것은 10년 만에 처음이다. 셀트리온은 코로나19 치료제 개발에 집중하겠다는 의사를 밝힌 것으로 알려졌다. 한미약품과 휴젤, HK이노엔, LG화학과 제넥신은 이머징 마켓 트랙에서 발표를 가진다. 특히 기업공개(IPO)를 앞둔 HK이노엔은 이번 컨퍼런스에서 첫 발표를 가질 것으로 예상돼 기대를 모은다. 이 외에 유한양행, 종근당, 메드팩토, JW중외제약과 오스코텍, 샐리버리, 에이비엘바이오, 지놈앤컴퍼니, 크리스탈지노믹스, 신테카바이오 등도 비즈니스 미팅 형태로 컨퍼런스에 참석, 기술수출 가능성을 타진한다. 투자자와 참가 기업 관계자 간의 미팅을 통해 인수합병(M&A)과 파트너십 체결도 기대할 수 있다. 국내 기업들은 그동안 JP모건 헬스케어 컨퍼런스를 통해 다수의 기술수출 성과를 이뤄왔다. 한미약품은 두 차례에 걸쳐 당뇨치료제와 비만 치료제를 기술 수출했고, 유한양행은 폐암 치료제 '레이저티닙'의 기술수출 성과를 이뤘다. 동아에스티는 행사 기간 중 아스트라제네카와 면역항암제 공동연구 계약을 맺기도 했으며, 엔지켐생명과학, 나이벡, 셀리버리 등은 지난해 행사 참석을 계기로 파트너십 논의를 활발하게 진행한 바 있다. 다만, 올해는 화상 회의 방식으로 비즈니스 미팅이 진행되는 만큼 활발한 회의가 어려울 것이란 우려도 나온다. KB증권 홍가혜 연구원은 "그동안 해당 컨퍼런스를 통해 다수의 기술수출 성과를 도출한 만큼, 행사 참석을 앞두고 기술 수출에 대한 기대감 또한 높아질 전망"이라며 "다만 이번 행사는 비대면으로 진행되기 때문에 기업 간의 원활한 논의 및 계약 체결에 변수로 작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세경기자 seilee@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