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오세성
기사사진
카카오 실적, O2O가 낸 구멍, 멜론·검은사막이 메워

카카오가 3·4분기 매출 하락을 전망했다. 연초 600억원 규모로 예상했던 마케팅 비용도 800억원으로 늘어난다. 로엔엔터테인먼트 편입과 O2O 사업 강화, 모바일 게임 투자 등이 작용했다. 11일 카카오는 2016년 2·4분기 매출 3765억원 영업이익 266억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카카오가 지난 3월 16일 인수한 로엔엔터테인먼트(로엔)의 실적도 이번 분기부터 합산됐다. 카카오의 사업 부문은 광고 플랫폼, 콘텐츠 플랫폼, 기타로 나뉜다. 2분기 광고 플랫폼 매출은 1362억원으로 전년 동기대비 12.1% 감소했다. 카카오톡 메시지 등 모바일 광고에서 선전했지만 다음 포털과 같은 PC 트래픽이 감소한 탓이다. 콘텐츠 플랫폼 매출은 1904억원으로 전년 동기대비 215.2% 급증했다. 멜론 서비스에 의한 뮤직 콘텐츠 매출이 905억원, 게임 콘텐츠 매출이 783억원, 기타가 216억원이었다. 멜론을 보유한 로엔과 다중접속역할수행게임(MMORPG) '검은사막' 등이 실적을 견인한 셈이다. 하지만 로엔의 2분기 영업이익 206억원을 제외하면 카카오의 영업이익은 60억원 수준으로 줄어든다. 이에 대해 카카오는 "로엔을 인수하면서 고객가치가 무형자산으로 포함됐다"며 "연결기준 영업이익 26억원을 더한 86억원이 카카오의 별도 영업이익"이라고 설명했다. 최세훈 카카오 최고재무책임자(CFO)는 2분기 실적발표 후 컨퍼런스콜을 통해 "광고 플랫폼 매출이 3분기 비수기 효과로 하락했다가 4분기 회복세를 보일 것"이라며 "내외부 트래픽 최적화 작업과 모바일 신규 상품 프로젝트 등이 마무리되는 내년부터 뚜렷한 증가세로 돌아설 것"이라며 오는 3분기 실적 악화를 예상했다. 그는 "게임 플랫폼도 3분기는 매출이 감소했다 새로 론칭하는 게임들이 선전하며 4분기 다시 상승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게임 콘텐츠 매출에서 PC게임매출은 전분기 대비 2배 가량 늘어났지만, 카카오 게임하기 플랫폼을 필두로 한 모바일 게임 매출은 전분기 대비 16.7% 감소했다. 또 최 CFO는 "게임 플랫폼 매출은 휴가철인 3분기에 소폭 하락했다가 4분기 다시 상승할 것"이라며 "북미·유럽에서 검은사막이 좋은 성과를 내고 있고 새로 론칭하는 게임들의 선전도 기대돼 성장을 이룰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카카오는 최근 소셜네트워크게임 '놀러와 마이홈'과 모바일MMORPG '검과마법', 퍼즐게임 '프렌즈사천성' 등을 출시했다. 카카오게임즈가 서비스하는 검은사막은 누적 이용자 100만명을 돌파했다. 카카오는 O2O에 공격적인 투자를 지속하고 있다. 시장은 카카오가 언제 결실을 거둘 수 있을지 우려하는 눈치다. 카카오는 올해 출시한 대리운전 O2O 서비스 '카카오드라이버'에도 50억원 이상의 마케팅 자금을 투입한 것으로 밝혀졌다. 최세훈 CFO는 "카카오드라이버를 출시하며 50억원 가량을 지출했다"며 "다만 쿠폰 이벤트 비용 등음 매출에서 차감되기에 실제 집행 비용은 더 많다"고 말했다. 카카오에 따르면 카카오드라이버의 누적 콜 수는 약 270만건이며 10%대에 머물던 운행완료율도 서비스를 지속 개편해 최근 60%까지 올라왔다. 누적 가입자는 100만명, 누적 사입 기사 수는 10만명이다. 최 CFO는 "8월 이후 고객이 직접 요금을 입력할 수 있도록 유연하게 바꿀 생각"이라며 "지난 7월 선보인 헤어샵 O2O에 이어 하반기 주차, 가사도우미 서비스를 순차 오픈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임지훈 카카오 대표는 전년대비 매출이 감소하고 있는 광고 플랫폼의 전략에 대해서도 입을 열었다. 그는 "모든 광고가 다 팔리진 않는다"며 "단기적으로는 이달 중순부터 미판매된 광고 위치에 외부 광고를 송출하는 애드익스체인지 시스템이 적용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중장기적으로는 광고주가 '이런 것이 목적이다'라고 하면 뒷단에서 그를 위한 작업이 이뤄지는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다"며 "정교한 시스템이 필요한데 카카오톡 플랫폼을 잘 활용하면 좋은 성과가 있을 것"이라고 예측했다.

2016-08-11 16:55:01 오세성 기자
기사사진
29살 어린 총수(김승연 한화 회장) 키운 故 강태영 여사는?

11일 별세한 고(故) 아단(雅丹) 강태영 여사는 한화그룹 김종희 창업주의 부인이자 김승연 회장의 어머니로 한화그룹의 기틀을 닦는데 헌신한 조력자였다. 1927년 경기도 평택에서 태어난 강 여사는 양가 어른들의 소개로 광복 이듬해인 1946년 현암 김종희 선생과 결혼했다. 현암은 1952년 한국화약주식회사를 설립한 한화그룹의 창업주다. 강태영 여사는 현암과의 사이에서 김영혜 전 제일화재해상보험 이사회 의장, 김승연 한화그룹 회장, 김호연 빙그레 회장 등 2남 1녀를 뒀다. 현암은 강태영 여사에게 문화사업이나 육영사업과 같은 사회활동에 대한 조언을 자주 구했던 것으로 전해진다. 현암이 강 여사와 학교 설립에 관한 이야기를 나누며 학교 부지 선정에 대한 고민을 전하자 강 여사가 공장 부지로 사두었던 천안시 신부동 땅을 제안한 것이 대표적 일화다. 강 여사의 제안으로 이 땅에 설립한 것이 현재의 천안북일고다. 현암은 1981년 7월 23일, 59세 이른 나이에 유명을 달리했다. 이후 강 여사는 남편의 뜻을 살리기 위한 추모사업에 몰두했다. 사별 이후 생일잔치를 벌인 적도 없다. 김승연 회장은 "2003년 어머니가 희수를 맞을 때 잔치를 하기로 가족이 뜻을 모았지만, '너희 아버지가 돌아가신 이후 내 생일잔치는 하지 않겠다'는 모친의 뜻을 꺾진 못했다"고 밝힌 바 있다. 김승연 회장에게 어머니 강태영 여사는 삶의 스승이자 존경의 대상이었다. 현암이 작고한 뒤 한국화약(한화)그룹 경영은 김승연 회장이 승계했다. 당시 29세였던 김 회장은 국내 최연소 10대그룹 총수이자 풋내 나는 젊은이로 평가됐다. 어린 도련님 최고경영자(CEO)에 대한 우려가 많았지만 강태영 여사는 김승연 회장에 대한 강한 신뢰를 내비치며 경영에는 관여하지 않았다. 강 여사의 믿음을 등에 업은 김승연 회장은 모두가 반대하는 무모한 결정을 내린다. 폴리에틸렌(PE)과 석유화학 중간재를 생산하는 한양화학 인수에 나선 것이다. 한양화학은 1969년 글로벌 화학회사인 다우케미칼과 국내 화학비료업체였던 충주비료가 50대 50으로 출자해 설립한 회사다. 당시 석유화학산업은 70년대 말의 제 2차 오일쇼크 여파로 경기가 크게 위축된 상황이었다. 한양화학의 적자 규모가 커져 다우케미칼이 사업을 포기하고 매각을 결정한 것을 김승연 회장이 사들였다. 회장으로 취임한 이듬해인 1982년의 일이다. 모두의 우려와 달리 적자가 쌓였던 한양화학은 1년 만에 75억원 흑자로 돌아서며 기사회생했다. 김승연 회장이 자신의 좌우명인 '필사즉생(必死則生·죽기를 각오하면 살 것이라는 의미)'에 따라 경영 일선에 나섰기 때문이다. 이후 어린 김 회장의 리더십에 의문를 제기하는 이도 사라졌다. 강 여사가 어린 나이의 김 회장에게 회사를 맡긴 것에 대해 안타까워하면서도 "사업능력과 추진력은 아버지보다 뛰어난 것 같다"고 지지해준 덕분이다. 김 회장은 강 여사의 바람대로 제2의 창업을 실현했고 한화는 국내 10대그룹, 포춘지 선정 글로벌 기업 277위로 성장했다.

2016-08-11 16:54:33 오세성 기자
기사사진
넷마블, 모바일 MMORPG '리니지Ⅱ:레볼루션' 10월 출시

리니지2가 모바일 MMORPG로 돌아왔다. 넷마블게임즈는 오는 10월 '리니지Ⅱ:레볼루션'을 출시하고 현재 중국 게임업체들이 이끌고 있는 모바일 MMORPG 시장을 적극 공략한다는 방침이다. 11일 여의도 글래드호텔에서 모바일 다중접속역할수행게임(MMORPG) 리니지Ⅱ:레볼루션 미디어 쇼케이스가 열렸다. 이 자리에서는 넷마블게임즈가 리니지2 레볼루션의 시네마틱 영상 상영과 공성전 시연을 하고 향후 사업 전략을 공개했다. 넷마블 백영훈 사업전략 부사장은 "2013년 몬스터길들이기로 모바일 RPG를 시작해 2014년 세븐나이츠, 2015년 레이븐 등 다양한 RPG 장르 대중화에 힘써왔다"며 "넷마블의 모바일 노하우를 집대성한 리니지Ⅱ:레볼루션으로 모바일 MMORPG의 대중화를 이끌겠다"고 선언했다. 리니지Ⅱ:레볼루션을 개발한 넷마블네오의 권영식 대표는 "오늘은 넷마블게임즈 대표가 아닌 개발사 대표로 참석했다"며 "미래 게임 시장은 모바일 MMORPG로 귀결될 것이라는 결론을 얻어 인기 IP(지식재산권)인 리니지2의 세계관을 계승한 게임을 제작했다"고 설명했다. 넷마블네오는 넷마블의 개발 자회사인 턴온게임즈, 리본게임즈, 누리엔소프트 3사가 지난해 6월 합병해 탄생한 게임 개발회사다. 넷마블네오의 처녀작이기도 한 리니지Ⅱ:레볼루션은 리니지의 세계관과 키워드를 스마트폰에 녹여냈다. 게임에는 원작의 랜드마크를 중심으로 생성한 거점과 거점들이 이어지는 초대형 오픈월드가 구현됐다. 혈맹을 기반으로 공동의 목표를 제시하고, 군주의 위상을 높이는 혈맹 콘텐츠도 추가됐다. 다만 캐릭터의 경우 디바이스 하드웨어를 감안해 종족별로 인기 높은 캐릭터만 사용할 수 있도록 구현했다. 대신 캐릭터별 6가지 전직을 마련하고 외형이 변형되는 200여종의 장비도 제공한다. 최대 1600명이 참여 가능한 공성전을 구현한 것도 특징이다. 이 게임은 삼성 갤럭시 S4, 애플 아이폰5 이상이면 구동 가능하다. 넷마블게임즈 이완수 사업본부장은 "모바일 게임 최초로 서비스 전담 운영조직을 신설하고 서버별로 게임마스터(GM)를 배치해 최고의 서비스를 갖추겠다"며 "금일 사전예약 접수를 시작해 9월 클로즈베타테스트(CBT)를 하고 10월 론칭한다"고 밝혔다. 회사 측은 2017년 상반기까지 게임 플랫폼 기업 텐센트를 통해 중국 서비스를 시작하고 일본과 글로벌 진출도 추진한다. 이완수 본부장은"해외 사용 디바이스와 기반 환경 등을 감안해 철저한 현지화 전략을 세우겠다"고 설명했다. 넷마블게임즈는 11일 브랜드 사이트를 열고 사전예약과 서버, 캐릭터 선점 이벤트를 연다. 넷바블은 사전예약에 참가하는 이용자 전원에게 200캐시(게임재화), 무기강화주문서 5개도 지급한다. 구글플레이 사전예약에 참여하면 1만 아데나를 얻을 수 있다

2016-08-11 16:53:56 오세성 기자
기사사진
한화케미칼, 2분기 영업익 2936억원…사상 최대실적

한화케미칼이 전년 동기 대비 두 배 증가한 영업이익을 기록했다. 한화케미칼은 2016년 2·4분기 연결기준 영업이익이 2936억원을 달성했다고 11일 공시했다. 이는 전년 동기보다 213% 증가한 수치다.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19% 늘어난 2조3922억원이며 당기순이익은 같은 기간 835% 급증한 3101억원이다. 이 같은 실적 경신에 대해 한화케미칼은 "주력사업인 석유화학과 태양광 부문의 실적 개선으로 분기 사상 최대 실적을 달성했다"고 설명했다. 한화케미칼의 석유화학부문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135% 증가한 1429억원이다. 저유가가 이어지며 생산원가가 하방 안정됐고 제품 포트폴리오에서 고함량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EVA) 등 고부가 제품 비중을 늘린 덕분이다. 태양광 부문도 지난해 미국 2위 전력회사 넥스트에라와 체결한 1.5GW(기가와트) 규모 모듈 공급계약이 제품 수출로 이어지며 영업이익이 증가했다. 한화큐셀, 한화도시개발 등 자회사를 포함한 태양광·기타부문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358% 급증한 1334억원이다. 태양전지 원료인 폴리실리콘도 2월 이후 가격이 상승하고 공장 가동률도 높아져 적자가 대폭 축소됐다. 적자였던 톨루엔디이소시아네이트(TDI) 사업은 지속적인 원가절감과 3개 라인 15만톤 생산설비 완전가동, 수급개선에 따른 제품가격 상승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흑자 전환했다. 한화케미칼은 적자상태였던 화인케미칼을 2014년 인수해 TDI사업을 시작했다. 한화케미칼은 "하반기에도 실적 개선이 이어질 전망"이라며 "원료가격 하락과 견조한 시황으로 제품 스프레드(마진)는 확대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한화케미칼은 고함량 EVA, 고부가 PVC(CPVC·ABR), 친환경 가소제 등 고부가 제품 중심 포트폴리오로 수익을 안정시키고 바이오·전지재료 등 부진 사업을 구조조정하며 핵심사업에 집중할 방침이다.

2016-08-11 16:53:23 오세성 기자
기사사진
[리우올림픽] 펜싱 남자 사브르 치열한 접전… 김정환 8강 진출

김정환(33·국민체육진흥공단) 선수가 리우데자네이루 올림픽 8강에 진출했다. 김정환은 11일(한국시간) 브라질 리우의 올림픽파크 카리오카 경기장 3에서 열린 2016 리우 올림픽 펜싱 남자 사브르 개인전 16강전을 접전 끝에 통과했다. 세계랭킹 2위인 김정환은 16강전에서 조지아의 산드로 바자제 선수에게 15-14로 승리했다. 김정환은 1회전 초반 2실점했지만 연달아 득점하며 8-6으로 승부를 리드했다. 이후 김정환과 바자제는 점수를 주고 받으며 치열한 경기를 펼쳤다. 김정환은 11-11 상황에서 연속 3득점 했지만 이후 2실점하며 14-13 상황을 만들었다. 김정환은 바자제의 공격을 막고 찔렀지만 심판은 비디오판독을 하며 바자제의 득점을 인정해 스코어는 14-14가 됐다. 김정환이 마지막 득점에 성공하며 극적으로 8강에 진출했다. 세계랭킹 4위인 구본길(27·국민체육진흥공단)은 8강 진출에 실패했다. 16강전에서 이란의 모즈티바 아레나와 맞붙은 구본길 선수는 초반부터 난타전을 벌였다. 3-3 상황에서 연속 2실점을 한 이후 시합 흐름은 아베디니가 가져갔다. 구본길은 2회전 연달아 득점을 하며 8-8 상황을 만들고 이후 끈질긴 추격전을 벌였다. 12-12 상황까지 만들어 8강 진출 가능성을 높였지만, 연달아 3점을 빼앗겨 16강에서 탈락했다. 김정환은 잠시 후 8강전 경기를 펼친다.

2016-08-11 03:14:49 오세성 기자
기사사진
[리우올림픽] 진종오 남자 50m 권총 3연패

진종오 선수가 사격 역사상 최초의 3연패를 달성했다. 50m 권총에서 세계 랭킹 1위를 지키고 있는 진종오 선수가 2008년 베이징과 2012년 런던에 이어 이번 리우 올림픽 리우데자네이루 데오도루 올림픽 사격장에서 금메달을 획득했다. 진종오는 총점 567점으로 권총 본선 1위로 결승에 진출했고 한승우 선수도 562점으로 본선 3위로 결승에 합류했다. 11일 정각에 시작된 결승의 분위기는 본선과 달랐다. 경기는 첫 8발을 사격해 8위를 정하고 이후 2발씩 사격하며 최하위가 탈락하는 엘리미네이션 방식으로 운영됐다. 런던 올림픽과 달리 본선 점수가 결승에 포함되지 않아 선수들은 모두 0점에서 경기를 시작했다. 본선을 1위로 통과한 진종오는 첫 번째와 두 번째 시리즈에서 4위를 유지했고 이후 3위로 올라섰다. 진종오의 라이벌로 꼽히던 중국의 팡웨이 선수는 8위로 가장 먼저 탈락했다. 진종오도 6.6점을 쏘며 7위로 주저앉아 탈락 위기를 맞았다. 하지만 진종오와 한승우가 잇따라 10점대 점수를 내며 북한의 김성국 선수와 베트남의 후앙 쑤안 빈 선수에 이어 3위와 4위로 올라섰다. 한승우가 4위로 경기를 마치고 1~3위전이 시작되자 관중의 응원이 시작됐다. 이은 환호성과 박수에 김성국과 후앙 쑤안 빈의 경기력은 흔들렸다. 두 선수가 8, 9점대 점수를 기록하는 사이 진종오는 10.4, 10.2, 10.0, 9.3을 연달아 쏘며 역전극을 이뤄냈다. 진종오는 이번 리우 올림픽 남자 50m 권총을 올림픽 신기록인 193.7점으로 마쳤다.

2016-08-11 00:42:00 오세성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