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업계, 가격 인상 덕? 너도나도 매출 3조원 돌파
국내 주요 식품회사들의 지난해 매출이 크게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원부재료 가격과 에너지 비용 상승 등 어려운 국내외 상황에서 해외 사업 호조와 판매가격 인상이 주효했다. 먼저 제과업계를 살펴보면, 롯데푸드를 흡수합병한 롯데제과가 지난해 4조745억원의 매출을 올렸다. 합병 전 롯데제과와 롯데푸드의 성적과 비교하면 전년 대비 11.1% 증가한 수치다. 하지만,영업이익은 6.3% 감소한 1353억원을 기록하며 아쉬운 수준에 머물렀다. 회사는 인도, 카자흐스탄 등 해외사업 호조와 빼빼로 등 주력 제품 판매 증가, 가정간편식(HMR) 수요 증가에 따라 매출이 오른 것으로 분석했다. 오리온은 지난해 매출액이 2조8732억원, 영업이익은 4667억 원으로 모두 최대치를 기록했다. 신제품 출시와 시장 확대로 매출은 전년 대비 22% 증가했고, 영업이익도 전년 대비 25.1% 늘었다. 국내 매출이 16.3% 성장한 9391억원, 영업이익은 7.1% 증가한 1402억원을 기록했고, 중국 법인 매출은 14.9% 증가한 1조2749억원 영업이익은 26.1% 증가한 2115억원으로 나타났다. 베트남과 러시아 법인 매출과 영업이익도 큰 폭으로 성장했다. 해외 사업 확대도 주효했지만, 국내 제과업계는 지난해 고환율과 원재료 가격 인상 등을 이유로 판매 가격을 올린 바 있다. 오리온은 지난해 9월 초코파이, 포카칩 등을 평균 15.8% 인상했고, 롯데제과도 꼬깔콘과 몽쉘 등 일부 제품 가격을 순차적으로 올렸다. 이에 판매 가격 상승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여진다. SPC삼립도 포켓몬빵 인기에 힘입어 지난해 사상 처음으로 매출액 3조원을 돌파했다. SPC삼립은 지난해 전년 대비 12.5% 증가한 3조3145억원의 매출과 35.3% 늘어난 영업이익을 기록했다. 농심은 미국 제2라면 공장 본격 가동으로 북미 지역 매출이 사상 최대 실적을 내면서 전체 매출액이 크게 늘었다. 농심은 지난해 연결기준 매출 3조1291억원을 기록하며 처음으로 연매출 3조원을 달성했다. 전년 대비 매출은 17.5%, 영업이익은 5.7% 증가한 1122억원으로 집계됐다. 매출액이 크게 늘어난 데 반해 영업이익은 소폭 증가했다. 지난해 준공한 농심 미국 제2공장은 연간 라면 3억5000만 개를 생산할 수 있으며, 제1 공장까지 합산하면 연간 라면 생산량은 8억5000만개에 달한다. 오뚜기도 매출 3조 원 돌파가 확실시되고 있다. 에프앤가이드의 잠정 집계에 따르면 오뚜기의 지난해 매출은 전년 대비 14.7% 오른 3조1407억원, 영업이익은 10.26% 증가한 1837억원으로 추정된다. 해외 사업보다는 국내 사업에 집중해온 오뚜기는 라면 이외에 소스, 간편식 등 제품 포트폴리오를 확대했는데, 코로나19로 내식 생활이 늘면서 간편식 수요 증가 덕을 봤다는 게 업계의 분석이다. 2021년 이미 매출 3조원을 돌파한 대상의 경우 지난해 매출액이 전년 대비 17.7% 증가한 4조854억원으로 4조 돌파를 달성했다. 하지만 영업이익은 9.2% 감소했다. 이로써 연 매출 3조 이상 식품기업은 2021년까지 CJ제일제당, 동원F&B, 대상, 현대그린푸드 등 4개 업체에 불과했지만 지난해 4개 기업(롯데제과, 농심, SPC삼립, 오뚜기)이 추가되면서 8개로 늘어났다. 업계 관계자는 "지난해 대다수 식품기업들이 해외 사업에서 큰 성과를 거뒀고, 또 가격 인상에 나서면서 매출이 증가한 것은 맞다"며 "하지만 원부자재비, 운송비 등 제반 경영비용이 증가해 영업이익은 크게 개선되지 않았다"고 말했다. 이어 "올해도 글로벌 인플레이션이 지속되는 상황이라 향후 전망은 지켜봐야 한다"고 덧붙였다. 실제로 식품산업 경기는 올해 더 악화할 것으로 보인다. 전기·가스요금과 인건비, 물류비 등 제반 경비가 상승해 식품 가격 인상이 이어지는 데다 경기 침체에 따른 소비 심리 위축 우려도 커지고 있는 탓이다.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의 '2022 식품산업경기동향조사 종합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4분기 식품산업 경기 현황지수는 87.4로 전 분기 대비 7.3포인트 하락했다. 일각에서는 가격 인상이 소비자에게 부담으로 작용해 수요 감소로 이어져 4분기에는 경기가 하락한 것으로 보고 있다. /신원선기자 tree6834@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