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정릉천고가' 안전점검 마무리...내부 부식이 원인
서울시가 지난 2월 해빙기 안전점검 중 발견한 정릉천고가 결함에 대한 8개월간의 원인조사를 마무리하고 그 최종 결과를 27일 발표했다. 문제가 됐던 정릉천고가 텐던 손상의 주 원인은 지난 6월 중간발표 때와 마찬가지로 PE관 내부 강연선 부식이며, 부식은 설계, 시공, 규정, 유지관리 상 여러 요인들이 한 지점에 중첩돼 발생한 것으로 최종 조사됐다. PE고나 내부 강연선 부식을 방지하기 위해 채운 그라우트(물+시멘트+혼화제) 충전이 완전히 되지 않은 상태에서 그라우트의 물 비율이 높아 블리딩수(콘크리트가 굳는 동안 혼합수의 일부가 분리돼 표면으로 상승하는 현상)가 발생한 것이다. 이후 노출된 강연선에 부식이 발생했고 그라우트 주입 후 에버밴트(고무호스)가 제대로 밀봉되지 않아 염화물을 함유한 노면수가 침투해 부식이 촉진됐다. 정릉천고가는 철근과 콘크리트로 하중을 지지하는 철근 콘크리트 교량과 달리 하중이 발생할 부위의 콘크리트에 미리 강선다발(텐던)을 넣어 만든 후 긴장력 조절로 하중을 지지하는 방식의 PSC 교량 공법으로 지난 1999년 지어졌다. PSC 공법은 1990년대 초 국내 도입이 활성화됐다. 우리보다 앞서 도입한 외국 선진국에서는 이미 그 당시 PSC 교량의 텐던 부식으로 인한 문제점이 대두돼 관련 연구를 시작, 지속적으로 연구 중인 반면에 당시 국내 기술수준으로는 이와 같은 문제점 인식에 한계가 있었으며 관련 시방 기준이나 시험법 등도 미비한 상태였다. 이번 조사는 해외 유사사례 분석, 설계·시공·유지관리 이력·시방 기준자료 조사 및 검토, 그라우트 및 강연선 재료시험 등으로 이뤄졌다. 이와함께 정릉천고가와 유사한 사례 경험이 있는 외국 전문기관에 염화물이 강연선 부식에 미치는 정도와 그라우트 및 강연선 재료시험 등에 대한 추가적인 조사·분석을 의뢰, 결과의 신뢰도를 높이고자 했다고 조사단은 설명했다. 다행이 서울시내 PSC 공법으로 시공된 교량 14곳(▲정릉천(잔여구간) ▲홍제천고가 ▲두모교 ▲서호교 ▲노량교 ▲복정고가 ▲청담2교 ▲행주대교 ▲올림픽대교 ▲원효대교 ▲영동6교 ▲서강대교 ▲영동1교 ▲영동5교)에 대한 특별 정밀점검 결과, 중대결함은 없는 것으로 확인했다. 시는 연내에 PSC교량 안전점검 매뉴얼을 작성 시행하고 안전점검 주기 단축, PSC교량 관리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교육 강화를 시행할 계획이다. 김준기 서울시 안전총괄본부장은 "이번 원인조사 결과를 토대로 시설물 안전성에 대해 시민들이 불안해하지 않도록 유지관리, 안전관리 방안을 철저히 마련할 것"이라며 "시민 안전을 위해 단 1%의 문제가 있더라도 철저한 원인조사 및 보수·보강을 실시해나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