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양성운
기사사진
울산항만공사, 위험물 재난 공동 대응 위해 유관 기관과 협약 체결

울산항만공사(UPA)는 울산시소방본부, 울산해양경찰서, 울산지방해양수산청과 울산항의 위험물질에 따른 재난사고 공동대응을 위해 업무 협약 기간을 3년 연장한다고 6일 밝혔다. 울산항은 국내 최대 액체화물 취급 항만으로 위험·유해물질 등에 따른 화재·폭발 사고에 상시 대비태세가 필요하고, 육상구역과 해상구역이 혼합돼 있는 항만 특성상 긴급 구조기관인 소방과 해경의 협력이 필수다. 이에 4개 기관은 협약을 연장하고 ▲울산항 안전관리 강화를 위한 기관 간 정보 공유 ▲재난사고 발생 시 현장 공동 대응과 인력 및 장비 지원 ▲재난사고 예방·대응을 위한 소방안전교육·훈련 지원 및 협력 등에 힘을 모으기로 했다. 울산항만공사는 항만-소방-해경 간 협력 체계를 더 공고히 하고 신속한 재난 대비 태세 확립을 위해 정보 공유, 교육·훈련, 합동 점검 등의 노력을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변재영 울산항만공사 사장은 "울산항 재난사고 공동대응 능력 강화를 위해 긴밀한 협력 체계를 유지하겠다"며 "신속하고 체계적인 공동 대응으로 안전한 울산항 조성에 앞장서나가겠다"고 밝혔다. 한편 이번 협약에 참여하는 4개 기관은 2022년 3월 첫 업무 협약을 체결하고 재난 상황 대비 합동 대응 훈련, 선박 이해도 제고를 위한 소방·해경 구조대원 원유 운반선 승선 교육 등을 추진한 바 있다.

2025-04-06 23:16:44 이도식 기자
기사사진
한국차문화연구원, 귀정루차회 1260주년 기념 대차회 개최

진주와 경주, 두 도시가 함께 한국 차 문화의 발전을 위해 손을 맞잡았다. 경상국립대학교 한국차문화연구원은 귀정루차회 1260주년 기념 '2025 천년차문화 대차회'를 지난 5일 칠암캠퍼스 100주년 기념관에서 개최했다. 이번 대차회는 천년차문화대차회조직위원회가 주관했다. 이날 행사에서는 가야·삼국시대 토기, 고려다완, 신구 윤효석 작가의 작품이 오전 10시부터 전시됐다. 오후 2시부터는 개회식과 헌차 의식이 진행됐으며 진주·경주 차인 500여 명이 참석했다. 이에 앞서 3월 31일 경주에서는 아사가차회 주관으로 '충담, 천년을 열치고 나타나다'를 주제로 남산 삼화령 헌다례를 경주 화백컨벤션센터에서 올리고, 이어 찻자리·차도구 전시 및 충담사 귀정안민 학술대회도 함께 진행됐다. 특히 헌차 의식은 전국 차인들이 함께한 행사로, 신라 충담사의 헌다 정신을 계승하고 전통 차 문화를 보존하는 의미를 담았다. 이상호 천년차문화 대차회 대회장은 "진주와 경주는 각기 다른 차 문화를 지녔지만, 정신적 수양과 철학적 사유를 중시하는 공통점이 있다"며 "이번 대회를 통해 전통 차 문화의 계승과 차 산업 성장의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개최 의미를 밝혔다. 천년차문화 대차회의 시작은 삼국유사 기록에서 출발한다. 신라 제35대 임금 경덕왕이 고승 충담(忠談)에게 어디서 오는 길이냐고 묻자, 충담은 "3월 3일과 9월 9일마다 남산 삼화령의 미륵세존께 차를 달여 올리는데, 삼짇날 오늘 그렇게 하고 오는 길"이라고 대답했다. 이 일화는 신라 경덕왕과 고승 충담 스님의 이야기로, 신라 시대 차 문화의 존재를 보여주는 중요한 사료 중 하나다. 충담 스님은 신라의 승려이자 낭도로, 불교와 관련된 여러 활동을 했으며 찬기파랑가(讚耆婆郞歌) 등의 향가를 남긴 인물로도 알려져 있다. 이야기 속에서 충담 스님이 차를 달여 미륵세존께 올렸다는 것은 신라 시대 차 공양(供養) 문화와 관련이 깊다. 신라 충담사가 삼화령 미륵세존께 헌다했던 '안민(安民)' 정신을 이어받아, 전통 차 문화를 발굴·계승하는 헌차 의식은 귀정안민의 차 정신으로 이어 받았다. 그 의식은 먼저 진주와 경주에서 존중과 배려를 차의 건더기로 하는 차의 사회화를 이어가고자 했다.

2025-04-06 23:16:12 이도식 기자
기사사진
거창군, 군정 안정 및 지역 사회 통합 종합대책 추진

거창군은 대통령 탄핵 선고에 따라 어수선해질 수 있는 지역 사회 분위기를 추스르기 위해 전 행정력을 집중하는 군정 안정 및 지역 사회 통합 종합 대책을 추진하기로 했다고 6일 밝혔다. 지역 사회 통합 대책반은 부군수를 추진단장으로 해 3실 6대책반으로 구성하고 일하는 공직 분위기 조성, 공직 기강 확립, 지역 경제 활성화, 군민 안정과 관련된 7개 중점 추진 대책을 수립해 추진한다. 우선 현 정국의 혼란 상황에 편승한 공직 기강 해이 사례를 엄단하기 위해 간부 공무원부터 공직 기강을 확립하고, 비상 연락망 정비를 통한 전 직원 비상 근무 태세를 구축했다. 민생과 관련된 시책으로는 여성, 서민, 교통 등 취약 분야 안전 확보에 집중하고, 기초생활 질서 관련 계도·단속으로 주민 불편을 해소하는 등 군정 안정을 위한 추진 시책을 더 꼼꼼히 챙겨 나가고 있다. 또 내수 경기와 지역 경제 활성화를 위해 상반기 중 군 전체 예산 60%를 신속히 집행하고, 거창형 통합 돌봄과 취약 계층 일자리 제공, 의료 지원 강화 등 지역 주민의 생활 안정과 사회 안전망 확보에도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특히 봄철 산불 예찰 활동 강화를 통해 예방에 주력하고, 지역 안정과 통합 분위기를 쇄신해 나가기 위해 각자의 자리에서 흔들리지 않고 일하는 공직 분위기를 조성하고, 군민들에게 한 걸음 더 다가가는 행정을 통해 군정 안정을 도모한다. 구인모 거창군수는 "대통령이 궐위된 엄중한 상황에서 군정이 안정적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800여 공직자와 함께 최선을 다할 것"이라며 "지역 화합을 위해 군민 모두가 적극 동참해 주시기를 바란다"고 당부했다.

2025-04-06 23:15:42 이도식 기자
기사사진
김해교육지원청, 찾아가는 학교 폭력 예방 교육 진행

김해교육지원청은 1, 2학기 초에 집중적으로 관내 초, 중, 고, 특수 학생, 학부모를 대상으로 찾아가는 학교 폭력 예방 교육을 진행하고 있다고 6일 밝혔다. 김해교육지원청은 전 사회적 학교 폭력 예방 및 피해 회복 중심의 학교 폭력 대응 생태계 구축을 위해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학생, 학부모 대상 찾아가는 학교 폭력 예방 교육을 기획하게 됐다. 경남도교육청 학교 폭력 예방 컨설턴트로 활동하고 있는 학교 폭력 전문가가 해당 학교를 방문해 학교 폭력의 정의, 유형, 대응 방법 등을 교육자 참여형 형태로 진행하고 있다. 참석한 학생, 학부모들은 학교 폭력 사안 처리 과정, 발생 시 대처 방법, 학교 폭력 예방법 등을 알 수 있었고 학교 폭력뿐만 아니라 평소 또래 간의 갈등을 해소하는 방법, 자녀가 친구와 갈등을 겪고 있을 때 필요한 대화 방법 등을 배울 수 있어 많은 도움이 됐다고 했다. 하정화 교육장은 "가해 학생에 대한 처벌도 필요하지만 가해 학생이 자발적 사과, 재발 방지에 대한 약속, 피해 보상 등을 실천해 학교 폭력 피해 학생들이 진정으로 회복할 수 있기를 바란다"며 이를 위해 학부모의 역할이 중요하다고 했다. 이어 "앞으로 김해교육지원청은 피해 학생을 세심히 보살피고, 가해 학생을 교육해 문제 행동이 개선될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하겠다"고 덧붙였다.

2025-04-06 23:14:57 손병호 기자
기사사진
춘해보건대, 경주서 LIFE 2.0 활용 현장 학습 진행

춘해보건대학교 웰니스문화관광과는 지난 5일 국립경주박물관과 불국사에서 현장 학습을 진행했다. 이번 프로그램은 교육부 LIFE 2.0 사업의 하나로 진행됐으며 1·2학년 성인 학습자 및 교직원 등 총 40여 명이 참여했다. 학생들은 국립경주박물관에서 신라 문화를 느낄 수 있는 유물들을 관람한 뒤 불국사 탐방을 통해 석가탑, 다보탑, 청운교, 백운교 등 국보급 문화유산의 역사성과 건축적 가치를 직접 배우는 시간을 진행했다. 특히 팀별 활동으로 진행된 '나만의 경주 해설' 프로그램에서는 학생들이 사전 학습 내용을 바탕으로 주요 유적에 대한 해설을 발표하고, 팀원들과 의견을 나누며 전공 관련 실무 역량을 심화시켰다. 한선희 웰니스문화관광과 학과장은 "이번 현장 학습은 단순한 관람을 넘어, 역사와 문화에 대한 통합적 이해와 체험 중심 학습을 실현할 수 있는 유익한 시간이었다"며 "앞으로도 전공과 연계된 다양한 체험형 교육 프로그램을 꾸준히 제공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경훈 지도교수는 "현장에서 직접 보고 듣고 체험하는 교육은 이론 수업과는 또 다른 형태의 배움으로, 학생들의 관광·문화 실무 능력 향상에 큰 도움이 된다"며 "특히 팀별 활동과 해설 발표는 학생들의 주도성과 창의성을 고취하는 데 효과적이었다"고 덧붙였다. 현장 학습에 참여한 1학년 김영훈 학생은 "교재에서만 보던 유적지를 직접 보고 해설하는 체험을 통해 더 깊이 있는 이해가 가능했다"며 "앞으로의 학업과 진로 선택에 많은 도움이 됐다"고 소감을 말했다. 한편, 웰니스문화관광과는 성인 학습자의 특성에 맞춘 교육 과정을 운영하고 있으며 2025년 한국산업인력공단이 지정한 '컨벤션기획사 2급' 과정평가형 국가기술자격 교육 훈련기관으로 선정돼 해당 과정을 운영 중이다. 또 국내여행안내사, 숲문화해설사, 여행코치, 바리스타 등 다양한 자격증 취득을 적극 지원하고 있으며 매 학기 지역의 문화유산과 관광 자원을 활용한 현장 중심 교육을 통해 지역 문화관광 전문가 양성에 힘쓰고 있다.

2025-04-06 23:13:50 이도식 기자
기사사진
부산시, 무역 실무·수출 마케팅 종합 연수 과정 운영

부산시와 한국무역협회 부산지역본부는 지역 기업의 해외 시장 진출을 지원하고 무역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무역실무·수출마케팅 종합 연수 과정'을 연중 운영한다고 6일일 밝혔다. 시는 기존에 각각 추진해 오던 무역실무 교육과 온라인 마케팅 교육을 통합하고 소상공인 대상의 수출 교육을 신규로 편성해 폭넓은 커리큘럼을 제공한다. 이번 연수 과정은 ▲무역실무 전문가 ▲글로벌 온라인 마케팅 전문가 ▲소상공인 수출 교육, 총 세 개 과정으로 구성되며, 수강료는 전액 무료다. '무역실무 전문가' 과정에서는 무역 이론부터 무역 영어, 모의 무역 거래 등 실전에서 바로 활용 가능한 단계까지 교육받을 수 있다. '글로벌 온라인 마케팅 전문가' 과정은 글로벌 유망 전자상거래 마케팅 전반에 대해 진행간 온라인 교육으로 진행된다. 올해 신설한 '소상공인 수출 교육' 과정은 부산 기업가형 소상공인과 '라이콘창업사관학교'를 졸업한 예비 창업자 50명을 대상으로, 글로벌 오픈 마켓을 통해 해외 판매와 진출을 쉽게 경험할 수 있도록 실질적인 비법을 전수한다. 또 전문가와의 1:1 상담을 통해 소자본이라도 창의적 아이디어와 역량을 갖췄다면 수출에 과감히 도전할 수 있도록 도울 계획이다. 각 교육 과정의 80% 이상 출석할 경우, 한국무역아카데미 명의의 수료증이 발급된다. 수료증은 ▲무역·해외 영업·통관·물류 등 관련 분야로의 진출을 희망하는 구직자에게는 직무 역량 증명서로 ▲현업 종사자에게는 경력 보강 및 업무 능력 강화 자료로 활용될 수 있어 높은 관심이 예상된다. 연수 과정 상세 일정과 세부 강의 내용 등은 한국무역협회 부산지역본부 누리집과 시 해외마케팅 통합시스템에서 확인할 수 있다. 수강을 희망할 시 과정별 개강 2주 전 한국무역협회 부산지역본부 누리집을 통해 신청하면 된다. 과정별 회차당 100명을 선착순으로 모집하며 중복 신청이 가능하다. 김봉철 시 디지털 경제실장은 "무역실무부터 고급 마케팅 기법까지 폭넓게 다루는 이번 교육 과정은 취업 준비생부터 재직자, 소상공인까지 단계별·목적별로 활용도가 매우 높을 것"이라며 "이번 종합 연수 과정을 통해 부산의 소상공인과 지역 기업들이 무역 실무 능력 배양으로 더 큰 시장으로 나아갈 수 있기를 기대한다"라고 말했다. 한편, 시가 운영하는 부산수출원스톱센터는 지역 수출 지원의 핵심 거점으로 ▲수출 지원 시책 종합 안내 ▲수요 맞춤형 교육 ▲수출 애로 상담 ▲대학생 통상 지원단 운영 등 수출에 대한 모든 것을 원스톱으로 지원하고 있다. 수출 초보자나 예비 창업자들이 이곳에서 모든 정보를 얻고 전문 상담을 받을 수 있어 글로벌 시장 진출이 한층 더 수월해질 것으로 기대된다.

2025-04-06 23:12:51 이도식 기자
기사사진
두 번째 조기대선, 이제는 미래를 논하자… '7공화국' 밑그림 제시해야

'정치 양극화.' 최근 대한민국 사회에 자주 등장하는 표현이다. 이 갈등이 극에 달한 결과가 윤석열 전 대통령이 선포한 '12·3 비상계엄'이다. 헌법재판소가 지난 4일 윤석열 전 대통령을 파면하면서, 대한민국은 헌정사 두 번째로 대통령 파면으로 인한 조기 대선을 치르게 됐다. 오는 6월3일 치러질 것이 유력한 이번 대선에서는 12·3 내란 사태의 후폭풍을 수습하는 방안 뿐 아니라, '제7공화국'으로 가기 위한 개헌 논의가 필수적이다. 대한민국의 정치 양극화는 2009년 노무현 전 대통령의 서거를 계기로 시작됐다는 게 중론이다. 양극화가 심화된 것은 2017년 박근혜 전 대통령의 파면이었다. 양측의 '한(恨)'은 '해원(解寃·원통함을 푸는)정치' 양상을 띠게 됐고, 대한민국은 2022년 20대 대통령 선거에서 0.7%포인트라는 근소한 차이로 윤석열 정부를 탄생시켰다. 그만큼 양 진영이 극단적으로 갈라져 자기들끼리 똘똘 뭉쳤다는 의미다. 정치 양극화의 토양에서 탄생한 윤석열 정부는 야당이 다수당인 국회와 끝없이 갈등했다. 게다가 10·29 이태원 참사, 해병대원 사망사건, 김건희 여사 논란, 명태균 게이트, '바이든 날리면' 등 중요한 고비에서 진심으로 사과하는 모습을 보이지 않았다는 비판을 받았다. 짧은 기간 동안 국민의 마음 속에 '혐오'라는 감정이 풀릴 새 없이 오히려 쌓이기만 한 셈이다. 결국 집권 내내 '여소야대' 상황에서 이슈마다 거야와 맞닥뜨린 윤 전 대통령은 계엄선포란 '물리적 해결책'을 선택했지만 국회와 시민의 방어로 실패하기에 이른다. 헌법재판소마저 위법·위헌적이라고 판결할 정도로, 12·3 비상계엄 선포는 대한민국 헌정사의 충격적인 사건으로 남게 됐다. 이제 윤 전 대통령은 파면됐고, 미래를 향한 건설적인 논의를 시작해야 한다. 다가올 조기 대선이 그런 계기가 돼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실제로, 윤 전 대통령을 파면하는 과정에서 87년 헌법은 많은 문제점을 드러냈다. 국회가 선출한 헌법재판관을 임명하지 않고 위헌임에도 버티는 대통령 권한대행들, 그리고 대통령이 '내란 혐의'로 수사받고 있음에도 자리를 지키는 국무위원들. 또 헌재의 선고가 기대보다 늦어지자 '재판관 8인(혹은 9인)에게 나라의 운명을 판단해달라고 하는 것이 맞느냐'는 회의론까지 대두됐다. 그간 정치권에서 개헌을 화두로 던질 때, 여론은 전반적으로 무심했다. 개헌이 국민의 실생활에 미치는 영향이 적다고 느껴서다. 하지만 이번에는 현행 헌법이 어떤 문제가 있었는지 깨달았고, 이때문에 바꿀 것은 바꿔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진 상황이다. 개헌을 향한 여론이 성숙된 것이다. 이에 조기 대선에서 7공화국에 대한 청사진이 화두에 오를 것으로 전망된다. 우원식 국회의장은 조기 대선 일정이 시작되기도 전인 6일 국회에서 특별담화를 통해 "개헌 방향성이 가장 명료해진 지금이 개헌을 성사시킬 적기"라면서 "이번 대통령 선거일에 개헌 국민투표를 동시에 시행할 것을 제안한다"고 밝혔다. 제7공화국을 위한 개헌 논의에는 그간 수많은 거부권을 통해 입법부를 무력화시킨 대통령의 권력을 어떻게 견제해야 하는지, 어떻게 하면 민의를 더 많이 반영할 수 있는지, 시대 상황에 맞는 기본권은 어떤 것인지 등이 포함돼야 한다는 의견이 많다. 단순히 권력구조 논의에만 천착한다면 진영 간 싸움 끝에 개헌이 무산될 공산이 커서다. 그래야 87년 헌법의 문제점을 고치고, 비상계엄 선포로 상처 입은 대한민국을 고칠 수 있다는 것이 개헌론자들의 입장이다. /서예진기자 syj@metroseoul.co.kr

2025-04-06 16:30:05 서예진 기자
기사사진
티웨이항공, 2026년 봄 스케줄 오픈…유럽 항공권 10% 할인

티웨이항공은 오는 2026년 봄 스케줄 오픈을 기념해 7일 오전 10시부터 5월 1일까지 '유럽 항공권 최대 10% 할인' 프로모션을 진행한다고 밝혔다.. 이번 유럽 항공권 할인 프로모션은 티웨이항공 홈페이지 그리고 모바일 앱(웹)에서 파리·로마·자그레브·바르셀로나·프랑크푸르트 유럽 5개 노선을 대상으로 진행된다. 유럽 노선에는 A330-200 항공기가 투입되며, 파리·로마·바르셀로나 노선에는 B777-300ER 기종도 함께 투입된다. 특히 자그레브 노선은 올해부터 직항 운항을 시작해 더욱 편리한 스케줄로 여행객의 편의를 한층 높일 것으로 기대된다. 유럽 항공권 할인 프로모션은 먼저 항공권 결제 시 적용할 수 있는 5만 원 및 10만 원 할인 쿠폰을 제공한다. 오는 11월부터 2026년 3월 기간 유럽 노선 예약 시 10만 원을 추가로 할인 받을 수 있는 쿠폰을 혜택으로 증정한다. 또한 유럽 노선 예약 시 할인코드 '유럽여행 '을 입력하면 최대 10% 할인을 받을 수 있는 이벤트도 진행한다. 할인율은 노선별로 상이하며, 편도와 왕복 항공권 모두에 적용할 수 있다. 항공권 탑승 기간은 일부 기간을 제외한 내년 3월 28일까지다. 장거리 노선 탑승에 더욱 편안한 비행 경험을 제공하는 '수퍼 프리미엄 존' 좌석 지정 시 사용할 수 있는 3만 원 할인 쿠폰도 제공한다. 해당 쿠폰은 B777-300ER 항공기가 투입되는 노선에 한해 사용할 수 있으며, 노선별 탑승 기간은 상이하다. 티웨이항공 관계자는 "내년 봄 스케줄 오픈과 함께 선보이는 이번 프로모션을 통해 더욱 풍성해진 유럽 여행을 계획하시길 바란다"며 "티웨이항공은 안전운항과 최상의 서비스를 바탕으로 고객 만족을 위해 지속 노력하겠다"고 전했다. /이승용기자 lsy2665@metroseoul.co.kr

2025-04-06 16:12:28 이승용 기자
기사사진
[새벽을 여는 사람들] 박대수 꿈앤컴퍼니 대표 "발달장애인의 꿈을 설계하다"

◆ "직업은 행복으로 가는 통로" 해가 뜨기 전 어둠 속에서 하루를 시작하는 사람들이 있다. 그리고 그 새벽, 누군가의 더 나은 내일을 고민하며 움직이는 이가 있다. 바로 꿈앤컴퍼니의 박대수 대표(46)다. 발달장애인의 진로와 직업을 위한 교육과 코칭 사업을 꾸준히 이어오며 "모든 이의 직업은 단순한 '일자리'가 아니라 '행복으로 가는 길'이어야 한다"는 철학을 실천하고 있다. 박 대표는 고등학생 시절부터 장애 아동을 위한 주간 보호시설에 자원봉사를 다녔다. 그 인연은 사회복지사라는 진로로 이어졌다. 그는 부산 경성대학교에서 사회복지학을, 가톨릭대학교 대학원에서 사회복지학 석사과정을 공부했다. 이후 서울 성동장애인복지관에서 약 12년간 근무하며 성인 발달장애인의 직업 교육을 담당했다. 그러면서 미처 알지 못했던 현실을 마주하게 됐다. 대부분의 성인 발달장애인은 어릴 때부터 적성과 흥미를 탐색하거나 체계적인 직업 교육을 받은 경험이 없었다. '어떤 일을 잘할 수 있을까' 고민해볼 기회조차 없었던 것이다. 결국 어렵게 취업하더라도, 일에 만족하지 못하거나 직장에 적응하지 못해 금세 퇴사하는 일이 반복됐다. "학령기에서 성인기로 넘어가는 시점에 진로를 명확히 설계하지 않으면 이런 일이 계속 생깁니다. 이들을 위한 '진짜 진로 교육'이 필요하다는 걸 뼈저리게 느꼈죠." ◆지속가능한 직무 개발,'자립 응원' 지난 2019년, 박 대표는는 '발달장애인의 진로 설계를 돕겠다'는 목표로 교육컨설팅 기업 꿈앤컴퍼니를 설립했다. 그는 단순한 생계를 위한 직업이 아닌, 장애인이 스스로의 적성과 꿈을 실현할 수 있는 직업을 갖도록 돕고자 했다. 기업과 장애인이 함께 성장할 수 있는 상생 모델을 고민한 결과였다. 같은 해, 꿈앤컴퍼니는 보건복지부로부터 예비 사회적기업으로 지정됐다. 현재는 사회적기업 인증을 위한 절차를 밟고 있다. 꿈앤컴퍼니는 발달장애인의 진로 설계를 돕기 위해 다양한 교육과 코칭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발달장애인 부모를 대상으로 한 '진로 설계 교육'과 발달장애인을 직접 대상으로 하는 1:1 코칭이 있다. 박 대표는 지난 6년간 약 1000회 이상의 강의를 진행했으며, 현재까지 전국 각지에서 교육 및 코칭을 2300여 회 이상 진행했다. 2022년부터는 경계선지능인을 위한 진로·직업 설계 교육도 꾸준히 확장하고 있다. 또한 자체 온라인 교육 플랫폼을 구축해 사회복지 분야의 다양한 콘텐츠를 제공하고 있다. ◆ 가능성을 직업으로, 경험을 코칭으로 꿈앤컴퍼니는 단순히 기존 직업을 소개하는 데 그치지 않는다. 개인의 흥미와 강점을 반영한 '새로운 직무'를 직접 기획하고 개발한다. 대표적인 사례는 관광 가이드 직무다. 박 대표는 사회복지사로 일하던 시절부터 알고 지낸 역사에 흥미가 많고 암기를 잘하던 한 여성 발달장애인을 떠올렸다. 그가 관광 가이드로 일하면 좋겠다고 생각한 그는, 사회적기업 '가이드쿱'과 협력해 발달장애인 관광가이드 양성 과정을 만들었다. 기획 단계부터 지역사회 전문가, 교육 전문가, 그리고 발달장애인 당사자까지 직접 참여한 이 과정은 실제 가이드 활동으로 이어졌다. 이처럼 꿈앤컴퍼니는 바리스타, 제과제빵사, 인권 강사 등 다양한 직업군에서 발달장애인의 직무 가능성을 넓히는 일에 앞장서고 있다. 교육과 코칭을 진행하던 중, 박 대표는 또 하나의 가능성을 떠올렸다. "발달장애인이 직접 발달장애인을 코칭할 수 있다면 어떨까?" 비슷한 경험을 공유한 사람들 사이에서라면, 더 깊은 공감과 신뢰가 가능할 것이라는 판단에서였다. 이러한 아이디어에서 탄생한 것이 바로 '발달장애인 진로 코디네이터' 직무다. 다양한 직업 경험을 쌓은 발달장애인이 그 직무에 관심을 둔 발달장애인과 그 보호자에게 진로를 안내하고 조언하는 방식이다. 2022년에는 코디네이터 양성과정을 통해 5명의 발달장애인을 프리랜서 강사로 양성해 현재 이들은 진로 코칭을 직접 제공하고 있다. ◆'내일의 자립' 위한 '오늘의 실천' "하루 24시간이 모자라다고 느낄 때도 많지만, 그만큼 누군가의 삶에 보탬이 되는 일이라는 확신이 있기에 기쁘게 감당할 수 있어요." 박 대표의 하루는 누구보다 빠르게 시작된다. 매월 30여 회의 강의와 코칭을 진행하며, 강의 하나를 준비하는 데만 평균 5~6시간이 소요된다. 그는 최근 '직장 내 장애인 인식 개선 강사' 과정, 심리상담사·진로상담사 자격 등을 준비하며 전문성을 더욱 다지고 있다. 2025년부터는 박 대표가 경기도 수원의 '매천자립지원센터' 센터장을 맡아, 대학과 연계한 발달장애인 특화 전공을 기획 중이다. 문화예술형 장애인일자리 창출과 고용연계도 함께 준비하고 있다. 또한 재활용품을 활용한 악기 만들기, 미술 창작활동 등을 통해 환경 보호와 예술 활동을 융합한 '환경지킴 아티스트'라는 새로운 직무도 개발 중이다. 그는 발달장애인이 ESG 시대에 걸맞은 직무를 통해 자존감을 회복하고, 사회에 기여할 수 있는 구조를 만드는 데 힘쓰고 있다. 그는 마지막으로 이렇게 덧붙였다. "진로와 직업은 결국 자립으로 이어집니다. 그리고 자립은 준비와 실천이 꾸준히 필요한 영역입니다. 저희 꿈앤컴퍼니가 발달장애인과 경계선지능인 가족들에게 신뢰를 줄 수 있도록 끝까지 노력할 겁니다."

2025-04-06 16:12:25 이혜민 기자
기사사진
현대차·기아, 국내 전기차 누적 판매 50만대 돌파…E-GMP 기술 견인

현대차·기아 ·제네시스의 국내 전기차 누적 판매가 14년만에 50만 대를 돌파했다. 전기차 전용 플랫폼인 'E-GMP' 기반 전용 전기차 판매가 흥행했기 때문이다. 6일 현대차·기아에 따르면 현대차와 기아, 제네시스의 국내 전기차 누적 판매 대수는 지난 3월까지 50만2036대로 집계됐다. 브랜드별 판매 대수는 현대차(제네시스 포함) 29만1608대, 기아 21만 428대다. 이는 지난 2011년 7월 국내 첫 양산형 전기차인 '블루온'을 출시한 지 14년 만에 달성한 기록이다. 판매량은 지난 2021년 전기차 전용 플랫폼 E-GMP를 기반으로 하는 아이오닉5, EV6 출시를 기점으로 가파르게 증가했다. 2021년 두 브랜드의 전기차는 2020년(2만 7548대) 대비 160% 뛰어오른 7만1447대가 판매됐다. 2022년에는 처음으로 연간 10만 대를 돌파한 11만 9791대를 팔아치우며 최다 판매량을 기록했고 2023년 역시 11만1911대를 판매하면서 2년 연속 10만대 판매량을 달성했다. 또한 현대차·기아는 지난 3월까지 전용 전기차만 총 21만5058대를 팔았다. 전기차 전체 판매 대수의 43%를 차지했다. 전기차 전용 플랫폼 E-GMP가 탑재된 전기차들이 핵심적인 역할을 한 것이다. 기종별로는 아이오닉5 8만3555대, EV6 6만4491대, 아이오닉6 2만6446대, EV3 1만8569대 등이다. 올해 역시 현대차는 플래그십 SUV 아이오닉9, 기아는 전동화 세단 EV4를 선보이며 성장세를 이어갈 전망이다. 아울러 아이오닉6의 부분변경 모델 더 뉴 아이오닉6, 기아 최초의 PBV 모델 PV5, 준중형 전기 SUV EV5 등도 출격을 앞두고 있다. 승용차 외에도 상용차인 현대차 포터 II 일렉트릭은 올해 3월까지 8만 4919대가 팔리며 현대차·기아 전기차 중 누적 최다 판매를 기록하고 있다. /이승용기자 lsy2665@metroseoul.co.kr

2025-04-06 16:11:53 이승용 기자
기사사진
헌법재판소, 윤석열을 '파면'한 사유… "파면해서 얻는 이익 압도적으로 크다"

지난 4일 헌법재판소는 대통령(윤석열) 탄핵소추안(탄핵안)을 재판관 8인의 전원일치로 인용했다. 2022년 5월10일 용산 대통령실에 당당히 입장했던 윤석열 전 대통령은 2025년 4월4일 오전 11시22분을 기해, 1060일만에 불명예 퇴진했다. 헌재의 결정문은 적법 요건과 본안 판단으로 나뉘어 있다. 적법 요건은 탄핵소추가 법에 부합하는지 여부를 따지는 것이다. 적법 요건을 채우지 못하면 본안 판단 없이 각하된다. 본안 판단은 탄핵 사건의 내용적인 부분이다. 적법 요건을 먼저 살펴보면, 윤 전 대통령 측 대리인단은 12·3 비상계엄 선포는 대통령의 '고도의 통치행위'라며 사법심사의 대상이 되지 못한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헌재는 계엄 선포가 대통령이 권한이 맞지만, 비상 수단인만큼 헌법·계엄법에서 요건과 절차, 사후통제 등을 규정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에 사법심사에 대상이 될 수 있다고 판단했다. '내란죄 철회' 부분도 문제 없다고 판단했다.헌재는 "동일한 사실에 대해, 단순히 적용 법조문을 추가·철회·변경하는 것은 '소추 사유'의 추가·철회·변경이 아니다"라고 판시했다. 또 '내란죄가 포함되지 않았다면 탄핵안 찬성 200명을 넘지 못했을 것'이라는 주장은 "가정적 주장에 불과"하다고 못박았다. 이밖에 윤 전 대통령 측은 ▲법사위 조사 없이 탄핵안 의결 ▲반복 발의는 일사부재의 원칙 위반 ▲국회의 탄핵소추권 남용 등을 주장했지만, 헌재는 모두 받아들이지 않았다. 보수진영에서 주장하던 '각하'는 애초 불가능했다. 헌재는 본안의 쟁점을 ▲계엄 선포의 요건과 절차 ▲국회에 군경 투입·정치인 체포 지시 ▲계엄포고령 1호 ▲중앙선관위 압수·수색 ▲법조인 위치 확인 시도 등으로 나눠서 설명했다. 헌재는 비상계엄 선포에 대해서는 헌법에 정한 '전시·사변' 등 중대한 위기상황이 아니었다며, '경고성·호소용 계엄'이라는 윤 전 대통령 측 주장을 배척했다. 윤 전 대통령 측의 '야당이 의회 독재로 인해 국정이 마비됐다'는 주장도 정면 반박했다. 즉, 2024년 12월3일 이전에는 '아무런 일이 없었다'며, 비상계엄 요건이 충족하지 않았다고 판단했다. 계엄 선포의 절차도 위헌이라고 봤다. 비상계엄 선포 직전에 열린 '국무회의'를 '국무위원 모임'이라고 판시했다. 사실상 비상계엄 선포 안건에 대한 심의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다고 봤고, 국무위원들의 부서(서명)가 없는 점, 국회 통고를 하지 않은 점 등도 위반이라고 판시했다. 헌재는 윤 전 대통령이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을 통해 군 병력을 투입해 국회 활동을 방해한 것이 맞다고 봤다. 경찰이 국회 출입을 차단하게 했다는 사실관계 역시 인정했다. 이는 입법부의 권한과 정당활동의 자유, 국군의 정치적 중립성 등을 침해한 것이라고 판단했다. 아울러 헌재는 국회 활동과 함께 '정치인 체포 지시'도 사실이라고 봤다. 홍장원 전 국가정보원 1차장과 곽종근 전 특수전사령관의 진술을 받아들인 것이다. 계엄 포고령 1호도 법률 위반 행위가 있었다고 판단했다. 권력 분립 원칙, 직업의 자유 및 정치적 기본권 등 기본권을 침해했다는 것이다. 중앙선관위 압수수색은 영장주의와 선관위 독립성을 침해한 행위라고 봤다. 특이한 점은 법조인 위치 확인 시도는 정치인 체포 지시와 따로 판단했다는 점이다. 이는 삼권분립의 원칙에서 '사법권'을 침해했는지 여부를 따지기 위함으로 보인다. 헌재는 법조인 위치 확인 시도는 윤 전 대통령의 의사에 따라 이뤄졌으며, 이는 사법권의 독립 침해라고 비판했다. 결국 헌재는 '피청구인 윤석열'이 국가긴급권을 남용해 사회적 혼란을 가져오고, 사회공동체를 통합시켜야 할 책무를 위반한데다 주권자인 국민의 신임을 중대하게 위반했다고 봤다. 그리고 이는 국민 신임을 배반한 것이기에 헌법 수호 관점에서 용납될 수 없는 중대한 법 위반 행위라고도 강조했다 . 그러면서 "피청구인(윤석열)의 법 위배 행위가 헌법질서에 미치게 된 부정적 영향과 파급 효과가 중대하므로, 국민으로부터 직접 민주적 정당성을 부여받은 피청구인을 파면함으로써 얻는 헌법수호의 이익이 대통령 파면에 따르는 국가적 손실을 압도할 정도로 크다고 인정된다"고 밝혔다. 비상계엄 선포로 인한 국가적 혼란·파급효과가 대통령 파면으로 인한 손실보다 크다는 의미로, 윤 전 대통령의 복귀가 국가에 더 큰 혼란을 불러올 것이라고 인정한 셈이다. /서예진기자 syj@metroseoul.co.kr

2025-04-06 16:04:20 서예진 기자
기사사진
Korea vs. China battery patent war intensifies... allegations of 'retaliatory lawsuits' arise.

A petition for invalidation of LG Chem's cathode material technology patent has been filed in China, drawing attention to the ongoing dispute over advanced technology patents in the industry. As competition in the global battery market intensifies, conflicts over technology and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that transcend national borders are gradually deepening. According to industry sources on the 6th, a petition for the invalidation of LG Chem's patent on nickel-cobalt-manganese (NCM) cathode technology was recently submitted to China's National Intellectual Property Administration. Although the petitioner is registered as an individual, industry experts suggest that the leading Chinese NCM cathode materials company, 'Longbai,' may be behind the petition. The speculation is strengthened by the fact that LG Chem previously filed a patent infringement lawsuit against Longbai’s South Korean subsidiary, JSE Li, last year. LG Chem alleged that JSE Li was using its NCM cathode material patent without permission to produce and sell products, leading to a lawsuit in the Seoul Central District Court. The industry views this invalidation petition as a form of retaliatory response from China. Patent lawsuits between Chinese and Korean companies continue. Last year, Chinese company SVOLT was embroiled in controversy for allegedly stealing battery technologies from Samsung SDI and SK On. According to the Korea Intellectual Property Office, patent applications related to secondary batteries have been growing rapidly, with an average annual increase of 13% from 2019 to 2023. As battery technology competition intensifies, China has been expanding its influence through aggressive patent filings. Chinese company CATL holds a total of 31,896 patents. Among the major domestic battery companies, LG Energy Solution holds the most patents. As of last year, it owned a total of 28,255 patents, with 13,392 registered domestically and 17,741 registered internationally. Samsung SDI and SK On hold 22,030 and 4,569 patents, respectively. LG Energy Solution has expressed a strong commitment to actively respond to "patent free-riding" targeting China. The company stated that it has identified 580 patents that were actually infringed upon by competitors, emphasizing that it cannot allow market distortion to go unchecked. Kim Dong-myung, CEO of LG Energy Solution, recently mentioned, "We will protect our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and take stern actions against indiscriminate patent infringements." To strengthen its global litigation capabilities, the company plans to secure local experts in the U.S., Europe, and China and expand its overseas IP offices to better manage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The government is also supporting efforts to enhance patent competitiveness in the battery sector. The Korean Intellectual Property Office (KIPO) designated the secondary battery field as a priority for expedited examination starting in February 2024, focusing on increasing the number of specialized examiners and creating dedicated examination teams to support businesses. An industry insider commented, "As competition in battery technology intensifies, patents go beyond being mere defensive tools and become a means of generating revenue. If a structure is created where companies can receive royalties or control competitors through patents, it will positively impact the companies' profitability." ChatGPT를 사용하여 번역한 기사입니다.

2025-04-06 16:01:27 메트로신문 기자
기사사진
워싱턴발 무역전쟁 휘말린 경제대국들 속속 반격...WSJ "트럼프, 시진핑한테 선물 바치는 꼴"

중국이 미국을 상대로 '관세 앙갚음'에 나서고 유럽연합(EU) 역시 미국과의 추후 협상 불발 시 보복관세를 매기겠다고 선언하는 등 지구촌 무역전쟁이 격화하고 있다. 뉴욕 증시가 맥을 못 추는 와중에도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감내하라는 주문을 내고 있다. 자국의 유력매체는 미 행정부의 이 같은 정책이 서방 주요국 및 우방과 껄끄러운 관계를 초래하고 종국에는 중국만 웃게 만드는 꼴이 될 수 있다고 꼬집었다. 중국 CCTV·신화통신 등에 따르면 중국 당국은 지난 4일(현지시간) "들여올 미국산 제품에 대해 오는 10일부터 34%의 관세를 부과한다"고 발표했다. 또 미국의 상호관세 등 무역 조처에 대해 세계무역기구(WTO)에 제소했다고 밝혔다. 이는 지난 2일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에 34%의 추가 상호관세를 물리겠다고 발표한 뒤 나온 맞불 대응이다. 중국 국무원 관세위원회는 성명을 내고 "미국의 조처는 국제무역규칙에 부합하지 않고 중국의 정당한 권익을 심각하게 훼손하는, 전형적인 일방적 괴롭힘"이라고 말했다. 이에 더해, 중국 상무부는 자국산 이중용도 물품(군수용·민간용 양쪽 모두 사용 가능한 물품)에 대해 미국 군수기업(16곳)에는 수출을 금지하는 제재 조치를 단행했다. 또 사마륨, 가돌리늄, 테르븀, 디스프로슘 등 희토류 광물 7종에 대한 대미 수출 통제 조처도 내렸다. 관세 20%를 맞게 된 EU의 경우엔 일단 '선협상 후대응' 한다는 방침이다.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 EU 집행위원장은 유럽의회 연설에서 협상을 통한 타협안 도출이 우선순위라면서 "유럽은 통상에서 기술 부문, 시장 규모에 이르기까지 아주 많은 카드를 쥐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상품과 마찬가지로 서비스 부문의 (대미 무역수지) 균형을 맞추기 위해 계속 노력하겠다"고 했다. 이는 협상을 전제로 한 발언이다. 하지만 협상이 결렬될 시 보복관세 등의 비례 대응도 불사하겠다는 뜻으로도 읽힌다. 미국은 한국산 제품에 대한 26%의 관세 부과를 오는 9일부터 개시한다. 우리 정부는 협상을 서두르기보다 우선 사태를 신중히 지켜보겠다는 입장이다. 산업통상자원부는 EU·일본 등의 대미협상 경과를 봐 가면서 대응에 나설 방침인 것으로 전해졌다. 산업부는 긴급 릴레이 대책회의를 이어가고 있다. 지난 4일 가전, 디스플레이, 기계 부문에 이어 7일에는 이차전지, 석유화학, 섬유 업종 주요 기업들과 대응책을 논의한다. 4일 회의에서 기업들은 대미 수출 감소뿐만 아니라 베트남·태국 등 제3국에서 생산된 제품의 대미 수출 피해, 제3국 시장에서의 경쟁 격화 등을 우려했다. 정부는 수출바우처·긴급경영자금 등을 검토 중이다. 미국의 조처가 자충수가 될 수 있다는 자국 언론의 진단도 나온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미 관세가 시진핑의 날을 만들었다'라는 제하의 4일치 사설에서 백악관발 무역전쟁이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에게 전략적 선물이 될 수 있다고 전망했다. WSJ는 미국이 세계 각국을 경제적·전략적 블록으로 묶어 중국을 견제해 온 끈을 트럼프 대통령이 잘라버렸다고 지적했다. 동남아 국가들만 해도, 미국과의 교역 확대를 통해 중국의 영향력을 일부 견제해 왔는데 이번에 전부 고율 관세의 표적이 됐다. 유럽 시장도, 한국·일본도 마찬가지다. 신문은 또 시 주석은 힘을 쓰지 않고도 서방이 분열하는 장면을 보게 됐다며 거대시장 중국이 미국의 대안으로 부상할 수 있다고 짚었다.

2025-04-06 15:58:16 김연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