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초년생이 가입할만한 '단독실손의료보험'은?
#. 입사 3개월 차인 A씨(28). 최근 본격적으로 재테크를 알아보기 시작했다. 사회초년생 재테크 팁을 찾기 위해 인터넷을 뒤적이던 A씨는 재테크마다 보험 하나씩은 꼭 들어가 있는 것을 보곤 가입을 시도했다. 그러나 A씨에게 너무 비싼 보험료, 미래위험에 대한 보장비용에 이렇게 많은 금액을 투자해야 할까 싶었다. 가입하자니 부담되고 가입을 안 하려니 불안하기만 하다. 사회초년생에게 '보험'은 아직 먼 미래위험에 대한 보장이라고 인식하다 보니 월급에서 빠져나가는 보험료가 아까울 수밖에 없다. 그렇다면 싸고 실용적인 보상을 제공하는 '단독실손의료보험'은 어떨까. 단독실손의료보험은 병원이나 약국에서 실제로 사용한 의료비의 최대 90%를 보장하는 보험이다. 보험가입자가 질병 상해로 입원 시 소비자가 부담한 의료비를 보험회사가 보상하는 상품으로 국민건강보험 항목 중 본인부담금을 공제한 후 지급하며, 보험료가 1만~3만원 수준으로 저렴하다는 장점이 있다. 먼저 단독실손의료보험은 자기부담금 설계방식에 따라 표준형, 선택형Ⅱ 가운데 선택할 수 있다. 표준형과 선택형Ⅱ의 특약은 도수치료·체외충격파치료·비급여주사료·비급여 자기공명영상진단으로 보상비율은 같다. 반면 입원과 통원치료에 대한 보상이 다르다. 표준형은 입원 시 보상대상 의료비에서 최대 80%를 선택형Ⅱ는 최대 90%(비급여 80%)까지 보상이 가능하다. 또 통원치료 시 외래 1회당 표준형은 병원 규모에 따라 보상대상 의료비에서 1만~2만원과 20% 중 큰 금액에 한해 보상해 주는 반면 선택형Ⅱ는 병원 규모별 1만~2만원과 공제기준금액(보상대상 의료비의 급여 10% 해당액과 비급여 20% 해당액의 합계액) 중 큰 금액을 보상한다. 최대보상금액도 넓고 금액도 몇 백 원 차이밖에 나지 않다보니 최근에는 표준형보다 선택형Ⅱ를 가입하는 경우가 많다. 보통 단독실손의료보험의 보험료는 보상한도 금액을 선택하는 것에 따라 확연히 달라진다. 특약보장의 경우 도수치료·체외충격파치료·증식치료는 350만원(최대 50회) 한도, 비급여 주사료 250만원(최대 50회)한도, 비급여 자기공명영상진단(MRI/MPA)은 300만 원 한도로 공통되지만, 입원과 통원치료의 경우 한도금액에 따라 보험료는 달라질 수 있다. 그렇다면 사회초년생이 가입할 만한 단독실손의료보험은 무엇이 있을까. 가입기준을 1년 만기 1년 납, 상해 1급(사무직 종사자)이고, 자기부담금 선택형Ⅱ, 가입금액을 입원비 5000만원 한도, 통원비 30만원(외래 20만원·처방조제비 10만원) 한도와 3대 특약 가입으로 비교한 결과 나이만 28세를 기준으로 롯데손해보험 '무배당 롯데 하우머치 다이렉트 실손의료보험Ⅲ'이 제일 저렴한 보험 상품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DB손해보험 '다이렉트 실손의료비 보험 1804'와 DGB생명 '기본형 실손의료비 보장보험 무배당1804', 삼성생명 '인터넷 실손의료비 보장보험'이 뒤를 이었다. 롯데손해보험은 금액이 가장 저렴한 반면 가입연령이 49세로 제한되고, DGB생명과 삼성생명의상품은 갱신형이 가능하고 각각 70세, 60세까지 가입할 수 있다. 또 앞서 제시한 4곳 중 롯데손보, DB손보, 삼성생명은 온라인 가입이 가능하지만, DGB생명 '실손 의료비 보장보험 무배당 1804'은 설계사 상담 전화 가입이 필요하다. 다만 기존 실손보험이 있다면 무작정 갈아타기보단 개인의 성향을 고려해 단독실손의료보험으로 갈아타는 것을 고려해봄 직하다. 또 병원비가 아니라 질병으로 경제력이 사라질 경우를 대비하기 위해선 암 보험 등 중대 질병보험 가입이 필요하다. 보험은 자금 여유 순에 따라 실손→사망→연금 보험 가입이 추천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