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기사사진
'소환불응' 장남 유대균 체포 진행…16일 오전까지 유병언 소환 통보

'세월호 실소유주 비리'를 수사 중인 인천지검 특별수사팀이 13일 유병언(73) 전 세모그룹 회장(청해진해운 회장)의 장남 대균(44)씨에 대한 체포영장 집행에 착수했다. 검찰은 이날 오전 10시께 서울 서초구 염곡동에 있는 유 전 회장 일가 자택(일명 세모타운)에 수사관 4~5명을 보내 대균씨의 신병 확보에 나섰다. 대균씨는 일가 계열사의 지주회사 격인 아이원아이홀딩스(19.44%)를 비롯해 ㈜다판다(32%), 트라이곤코리아(20%), 한국제약(12%) 등 4개사의 대주주다. 2011년 7월에는 ㈜소쿠리상사의 사내이사로 등재되면서 대표이사에 취임했다. 검찰은 대균씨가 동생 혁기(42)씨와 함께 유 전 회장의 지시를 받아 사실상 계열사들을 경영한 것으로 보고 있다. 해외 체류 중인 유 전 회장 차남 혁기씨와 장녀 섬나(48)씨, 측근 김혜경(52) 한국제약 대표, 김필배(76) 전 문진미디어 대표도 검찰 소환에 불응하면서 체포영장이 발부된 상태다. 또 유 전 회장에게 16일 오전 10시까지 출석할 것을 통보했다. 유 전 회장은 피의자 신분으로 조사를 받을 예정이다. 검찰 관계자는 "검사의 정당한 출석 요구에 응하는 것은 국민의 당연한 의무"라며 "자녀들이 잠적한 것은 상당히 뜻밖인데 유병언씨는 사회적 지위가 있어 당연히 출석할 것으로 생각한다"고 말했다. 검찰은 유 전 회장마저 특별한 이유없이 소환 요구에 불응할 경우 체포영장 발부 등을 통해 신병을 확보할 방침이다.

2014-05-13 14:56:57 김민준 기자
기사사진
온라인게임 우는데 모바일게임 '도미노 커리어하이'

모바일게임 관련 기업들이 실적 잔치를 벌이고 있다. 매출과 영업이익이 크게 줄고 있는 온라인게임사와 대조를 이룬다. 카카오는 13일 모바일게임 플랫폼 '카카오게임'의 누적 가입자 수가 5억명을 돌파했다고 밝혔다. 출시 1주년인 2013년 7월 3억명을 기록했던 카카오게임은 지난해 11월 말 4억명을 돌파한데 이어 약 5개월만인 올해 5월 초 누적 가입자 수 5억명을 넘어섰다. 론칭 당시 7개 파트너와 10개 게임을 선보였던 카카오게임은 현재 230여개 이상의 국내외 파트너와 460여개에 달하는 다양한 모바일게임을 제공하고 있으며 캐주얼게임을 비롯해 RPG(롤플레잉게임), 스포츠, 음악 등 다양한 인기 장르의 게임들을 보유한 국내 대표 모바일게임 플랫폼으로 자리잡았다. 이미 카카오는 지난해 매출 2108억원, 영업익 658억원, 당기순이익 615억원을 기록했다고 밝힌 바 있다. 이는 2012년에 비해 매출은 357%, 영업이익은 843%, 당기순이익은 1058% 늘어난 수치다. 특히 카카오 매출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카카오 게임하기'를 거친 중개 매출은 2012년 320억원에서 지난해 1777억원으로 급상승했다. 5억명을 기반으로 한 2014년 매출과 영업익은 더욱 커질 전망이다. 국내 대표 모바일 게임사 게임빌은 역대 분기 최대 매출을 올렸다. 같은 날 실적 발표에 따르면 게임빌은 1분기에 매출 278억원, 영업이익 38억원, 당기순이익 36억원을 기록했으며 이는 전 분기 대비 각각 24%, 104%, 28% 성장한 수치다. 국내외 시장에서 공히 성장세를 보였다. 특히 국내 매출은 '별이되어라!' '제노니아 온라인' 등의 흥행으로 전 년 동기 대비 2배 가까이 성장하며 최대 실적을 견인했으며 해외 매출은 1분기 중 글로벌 기대작의 출시 공백에도 전년 동기 대비 약 30%의 성장세를 이어갔다. '낚시의 신'이 40여일 만에 글로벌 1000만 다운로드를 돌파한 모바일 게임 기업 컴투스는 전 분기 대비 영업익이 311% 증가했다. 게임빌 관계자는 "해외 시장 개척 효과가 추후에 나타날 경우 커리어하이 실적을 이어나갈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2014-05-13 14:47:38 박성훈 기자
삼성 태블릿 넘버원 노린다···애플과 격차 6.3%P 역대 최저

전세계 스마트폰 시장을 석권한 삼성전자가 태블릿 시장 제패까지 넘보고 있다. 지난 1분기 사상 최고 점유율을 올리며 애플과의 격차를 역대 최저인 6.3%포인트까지 좁혀 역전 가능성까지 제기되고 있다. 미국 시장조사업체 스트래티지애널리틱스(SA)는 1분기 태블릿PC 판매량 집계 결과, 삼성전자가 세계 시장에서 1280만대의 제품을 판매해 시장점유율 22.6%를 기록했다고 13일 밝혔다. 이는 삼성전자가 태블릿PC 사업을 시작한 이후 가장 높은 수치다. 애플은 1640만대의 태블릿PC를 판매해 28.9%의 시장점유율로 1위를 지켰다. 하지만 지난해 같은 기간의 40.3%나 직전 분기인 지난해 4분기의 33.7%와 견주면 점유율이 크게 떨어졌다. 이에 따라 애플과 삼성전자의 점유율 격차도 전년동기 21.4%포인트에서 6.3%포인트로 크게 줄어들었다. 이에따라 조만간 역전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특히 미국 소비자잡지 컨슈머리포트제품 평가에서 삼성전자가 내놓은 태블릿PC 갤럭시탭 프로 시리즈가 1위를 차지한 것도 이같은 전망에 힘을 보태고 있다. SA는 "올해 1분기는 삼성전자와 레노버만 성장했다"며 "삼성전자는 다양한 고객 취향을 만족시키는 태블릿 제품 포트폴리오를 통해 지난해보다 40% 성장했으며 애플과의 점유율 격차를 계속해서 좁혀갈 것"이라고 전망했다.

2014-05-13 14:47:10 이국명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