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미국, 유럽에 천연가스 수출하나···러시아 압박용 카드 등장

미국이 우크라이나 사태를 놓고 충돌중인 러시아를 압박하기 위해 천연가스 수출을 추진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뉴욕타임스는 7일(현지시간) '외교적 무기로서의 천연가스'라는 제목의 사설을 통해 이같이 촉구했다. 미국이 러시아를 압박하기 위해서는 막대한 천연가스 자원을 '에너지 무기 전략'의 한 수단으로 사용해야 한다는 설명이다. 미국이 유럽연합 국가에 천연가스를 수출하면 러시아 천연가스에 크게 의존하는 독일, 터키, 영국 등 미국의 우방을 돕는 결과가 되기 때문에 러시아의 숨통을 조일 수 있다고 뉴욕타임스는 내다봤다. 하지만 천연가스 수출은 생각만큼 간단하지 않다. 현행 미국법 하에서는 미국과 자유무역협정(FTA)을 맺은 캐나다, 멕시코 등 일부 국가로만 자유롭게 미국산 천연가스를 공급할 수 있으며 유럽연합 국가들은 제외다. 미국 정부가 예외 수출을 대폭 늘린다해도 러시아가 미국산보다 가격을 낮춰버리면 실효성이 떨어진다. 또 미국의 천연가스 사업은 국가가 지배한 러시아와는 달리 민간이 소유하고 있다. 미국내 천연가스 업체는 유럽보다 가격을 높게 받을 수 있는 일본, 중국, 인도 등 아시아 국가로의 수출 확대를 선호하고 있어 천연가스를 무기화하는 것은 실효성이 떨어진다는 지적이다.

2014-03-08 08:16:53 이국명 기자
기사사진
美하원 4명, 미국내 北이산가족 상봉 촉구 결의안 발의

북한에 가족이나 친척을 남겨두고 미국에 이민을 온 한국계 미국인과 북한 내 친지의 상봉을 촉구하는 결의안이 미국 연방 하원에서 발의됐다. 7일(현지시간) 워싱턴DC 외교 소식통에 따르면 한국전쟁 참전용사 출신의 찰스 랭글(민주·뉴욕), 존 코니어스(민주·미시간), 샘 존슨(공화·텍사스), 하워드 코블(공화·노스캐롤라이나) 하원의원은 전날 이런 내용의 공동 결의안(H.CON.RES.91)을 하원 외교위원회에 제출했다. 이들은 결의안에서 "한반도 분단으로 1000만명의 한국인이 서로 떨어져 살고 있고 이 가운데 일부는 미국 시민권자"라며 "남북한 간 이산가족 상봉 행사가 간간이 열리고 있음에도 미국이 북한과 외교 관계가 없다는 이유로 한국계 미국인은 배제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2001년 현재 10만명 이상으로 추산되는 한국계 미국인 이산가족의 상당수는 이미 세상을 떠났지만, 여전히 많은 이들이 60년 만에 처음으로 북한에 있는 친지를 만날 기회를 얻기를 학수고대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들 4명의 의원은 앞서 지난달 초 미국 내 한국인 이민자의 이산가족 상봉과 북한에 억류된 케네스 배(한국명 배준호)씨의 석방을 촉구하는 내용의 서한을 유엔 주재 북한대표부를 통해 북한 김정은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에게 보낸 바 있다.

2014-03-08 05:41:31 김민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