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기사사진
'빙속 여제' 이상화 500m 새 역사 쓰나

'빙속 여제' 이상화(25·서울시청)의 금빛 질주가 시작된다. 이상화는 11일 오후 9시 45분 러시아 소치의 아들레르 아레나에서 열리는 2014 소치 동계올림픽 스피드스케이팅 여자 500m 1·2차전 레이스에 출전한다. 올림픽 2회 연속 금메달 도전이다. 사실상 적수가 없는 '금메달 0순위'로 꼽히는 이상화는 예니 볼프(독일), 왕베이싱(중국), 올가 팟쿨리나(러시아), 헤더 리처드슨(미국) 등 다른 선수와의 경쟁보다는 기록에 더 관심이 쏠린다. 이상화는 2010 밴쿠버 동계올림픽에서는 1·2차 레이스 합계 76초090의 기록으로 2위 볼프(76초140)와 단 0.05초 앞서며 아슬아슬하게 우승했다. 그러나 이번 대회에서는 4년 전보다 더 좋은 기록으로, 더 큰 차이를 내며 2연패에 성공할 가능성이 크다. 경기가 열리는 아들레르 아레나는 애초 밴쿠버의 올림픽 오벌과 비슷한 빙질이라고 알려져 있었으나 대회를 거듭할수록 점점 좋아지고 있기 때문이다. 여기에 라이벌로 불리는 중국의 위징(29)이 부상으로 올림픽에 출전하지 못했다. 이에 '기록제조기' 이상화 선수가 또다른 기록을 만들어낼 지 여부를 두고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이상화는 휘경여고 1년생이던 2005년 38초 후반대에 머물던 한국 신기록을 38초17까지 앞당기더니 단거리 여자 스피드스케이팅 선수로는 최초로 36초90의 벽을 깼다. '빙속 여제'의 등장 이전까지 36초94에 머물러 있던 여자 500m 세계기록은 어느새 36초36까지 단축됐다. 이상화는 지난해 4차례나 세계기록을 갈아치우며 세계 빙상 역사를 새롭게 썼다. 이상화는 "이번 올림픽에서는 기록보다는 순위를 먼저 생각하고 있다"면서 "떨리는 건 사실이지만 실전에서는 평정심을 갖고 하던 대로 하겠다"고 다짐했다. 이상화는 보니 블레어(50·미국), 카트리나 르메이돈(44·캐나다)에 이어 역대 세 번째 올림픽 여자 500m 2연패라는 새 역사에 도전한다.

2014-02-10 15:15:15 양성운 기자
기사사진
'3년만의 내한' 에이브릴 라빈 "한국에 록 쇼 선사하겠다"

캐나다 출신의 싱어송라이터 에이브릴 라빈이 3년 만에 한국 팬들과 만난다. 19일 올림픽공원 올림픽홀에서 여섯 번째 내한공연을 열게 됐지만 티켓은 또 한 번 매진을 기록하며 한국에서의 두터운 인기를 입증했다. 그는 2002년 발표한 데뷔 앨범으로 한국에서만 27만 장의 판매량을 기록했고 최근 출시한 5집에서 팝과 록을 아우르는 폭넓은 음악 세계를 보여줬다. -다시 한국을 방문하게 된 소감은. 한국 공연은 매번 매 순간 항상 좋았고, 한국 팬들도 최고다. 항상 기억에 남는 투어 도시이고, 매번 기대가 많이 된다. -5집을 준비하며 가장 신경쓴 부분은. 다른 스타일을 보여주려는 새로운 시도를 많이 했고 새로운 사람들과 함께 작업을 했다. 기존의 저와는 다른 면들과 다른 스타일로 다양한 면을 많이 보여주는 앨범이라고 할 수 있다. -새 앨범에 대해 새로운 시도라는 평이 많다. 이전 앨범들과의 차이점은. 이전 앨범들에 비해 가볍고, 발랄하며 재미있다고 할 수 있다. -이번 앨범에 남편이자 록밴드 니켈백의 채드 크로거가 참여한 것이 눈길을 끈다. 둘은 음악적으로 어떤 사이인가. 우리의 음악적 스타일은 매우 다르다. 작곡을 할 때와 같이 작업하는 방식이나 도달하는 과정이 매우 달라서 그와 함께 일하면 무척 재미있다. -새 앨범에서 현재 3곡이 싱글로 나왔다. 개인적으로 가장 좋아하는 곡과 뮤직비디오 촬영 과정이 재미있었던 곡은. 세 곡 다 스타일이 매우 달라서 좋았다. 그 중에선 '렛 미 고'가 제일 좋다. 아무래도 남편 채드와 부른 첫 번째 듀엣 곡이어서 그런 것 같다. '렛 미 고' 뮤직비디오는 비행기를 타고 가서 단 하루 동안 찍은 건데.. 짧은 시간임에도 좋았다. 남편이 뮤직비디오의 절반을 촬영해 함께 작업하는 동안 정말 재미있었다. -이번 콘서트를 통해 팬들에게 특별히 보여주고자 하는 스타일이 있다면. 이번 공연은 재미있는 록 쇼라고 생각해주면 될 것 같다. 이번 앨범의 새로운 곡들을 포함해 지금까지 발표한 수많은 곡들을 선보일 것이다. 한국 팬들에게 새 앨범의 새로운 노래들을 들려 줄 수 있는 좋은 기회인 것 같아서 기쁘다. -공연을 기다리는 한국 팬들에게 전하고 싶은 메시지는. 서울을 다시 방문하게 돼 기쁘다. 항상 제 음악을 지지해주는 한국 팬 들에게 감사드린다.

2014-02-10 15:10:06 유순호 기자
기사사진
[꼼꼼IT리뷰]올림푸스 미러리스 E-M1

최근 디지털 카메라는 '작은 DSLR'과 'DSLR같은 미러리스'가 대세다. 즉 각 제품이 서로의 영역을 침범하면서 장점을 흡수하는 방식으로 상품성을 키우고 있다. 거의 모든 카메라 제조사들이 이같은 공식에 맞춰 영업을 하고 있다. 미러리스 '펜' 시리즈로 유명한 올림푸스는 기세를 이어가기 위해 DSLR같은 미러리스를 만들고 있다. 대표 제품이 플래그십 미러리스 카메라 'E-M1'이다. 이 제품은 올림푸스의 DSLR카메라 E-시스템 시리즈의 포서드 렌즈뿐 아니라 올림푸스 미러리스 카메라의 마이크로포서드 렌즈까지 호환할 수 있어 전 세계 미러리스 카메라 중 가장 다양한 렌즈 활용도를 자랑한다. 어떤 렌즈를 사용하더라도 듀얼 AF시스템이 작동해 최고의 화질을 선물한다. 또 방진 기능과 함께 영하 10도에서도 작동하는 방한 기능을 갖추고 있다. 새로운 1628만 화소의 4/3인치 LiveMOS 센서와 새롭게 업그레이드 된 트루픽VII 화상 처리 엔진을 장착해 역대 올림푸스 카메라 중 최고의 화질을 자랑한다. 내장형 전자식 뷰 파인더(EVF)는 1.48배율인데 풀 프레임 DSLR 카메라에 필적하는 것이다. 디스플레이 타임 랙이 0.029초밖에 되지 않아 피사체를 놓칠 틈이 없다. 그런데 DSLR같은 미러리스를 만들다보니 덩치와 가격이 커졌다. 높은 강성을 자랑하면서도 경량화를 유도하는 마그네슘 합금이 들어갔지만 무게는 바디 443g(배터리와 메모리 포함 시 497g)으로 가볍지 않다. 아이패드에어가 469g이고, 작은 DSLR로 유명한 캐논 '100D'는 370~373g으로(배터리와 메모리 장착 시 410g) 오히려 E-M1보다 가볍다. 이 제품의 가격은 바디가 145만원, 12-40mm 렌즈킷이 225만원으로 어지간한 중급 DSLR 수준이다. 결국 E-M1은 기존 DSLR의 성능을 원하면서도 휴대가 조금(?) 간편한 카메라를 선호하는 유저에게 적합한 제품이다.

2014-02-10 14:56:03 박성훈 기자
기사사진
효민 "실제 연애스타일 솔직한 편, 밀당 즐기지 않아"

걸그룹 티아라의 효민이 "연애할 때 밀당을 잘 하지 않고 솔직한 편"이라고 털어놨다. 효민은 10일 서울 코엑스 메가박스에서 열린 일본 영화 '연애 징크스'의 언론·배급 시사회에 참석해 이 같이 밝혔다. 쿠마자와 나오토 감독의 '연애 징크스'에 출연한 효민은 일본을 찾은 한국인 유학생 지호를 연기했다. 지호는 친구의 사랑을 이뤄주기 위해 '밀당(밀고 당기기)'의 기술을 전수하는 연애고수다. 효민은 "극 중 지호는 징크스에 집착하고 밀당을 하는데 제 연애 방식과는 많이 다른 캐릭터였다"며 "그런 것을 이해하는 것이 조금은 힘들었다"고 말했다. 이어 효민은 "하다보니 역할을 통해 연애의 기술에 대해 많이 배웠다"고 밝혔다. 효민은 솔직한 자신의 연애 스타일을 언급하며 "좋은 것을 정확히 표현하고 좋아하면 티가 나는 편이다. 극 중 지호와는 조금은 다른 느낌"이라고 말했다. 영화 '연애 징크스'는 사랑하는 사람을 사고로 잃고 한국에서 일본으로 단기 유학을 떠나 온 유학생 지호가 친구 카에데(시미즈 쿠루미)를 만나며 이야기가 시작된다. 지호는 카에데가 같은 대학을 다니는 유수케(야마자키 켄토)를 좋아하는 걸 알게 되고 카에데 사랑을 응원하며 첫사랑 연애 코치 노릇을 하는 에피소드를 그렸다.

2014-02-10 14:54:57 김지민 기자
법원,수십년전 실종처리된 납북주민 상속권 첫 인정

6·25 전쟁 당시 북한으로 끌려간 주민이 남한에서 실종 처리돼 상속권을 잃은 지 수십년이 지났어도 상속 당시 생존한 사실이 확인됐다면 상속권을 인정해 줘야 한다는 법원의 첫 판결이 나왔다. 10일 서울남부지법 민사9단독은 6·25 학도병으로 참전했다 북에 끌려가 36년 전 실종 처리된 이모(1933년생)씨의 탈북자 딸(45)이 "할아버지 상속분을 돌려달라"며 친척들을 상대로 낸 상속재산회복 청구소송에서 "선산 315분의 45 지분 소유권을 이전하라"며 원고 일부승소 판결했다고 밝혔다. 이씨는 1950년 9월 북한으로 끌려갔고 1977년 법원으로부터 실종 선고를 받아 제적에서 말소됐다. 이씨 아버지(1961년 사망)의 충남 연기군 선산 5만여㎡는 실종 선고 이듬해인 1978년 어머니와 다른 자녀들에게 상속됐다. 이후 이씨의 딸은 "조부가 재산을 물려줄 때 부친이 살아있었으니 상속 자격이 있었고 나도 유산을 상속받을 권리가 있다"며 2011년 친척들을 상대로 소송을 냈다. 2012년 5월 시행된 '남북 주민 사이의 가족관계와 상속 등에 관한 특례법' 11조에는 상속권을 침해받은 상속권자가 상속회복 소송을 내게 돼 있는 민법 999조 1항에 따라 북한 주민도 소송을 낼 수 있다고 돼 있다. 다만 민법 999조 2항은 해당 소송을 상속권이 침해된 지 10년 이내 제기할 수 있도록 제한하고 있다. 재판부는 이에 대해 "남북 분단이 장기화하면서 북한 주민의 상속권이 침해된 지 10년이 지난 경우가 허다할 것"이라며 "특별법은 분단이라는 역사적 특수성을 고려하지 않고 민법을 그대로 적용하면 북한의 상속인이 사실상 상속권을 박탈당하는 가혹한 결과가 초래된다는 점을 고려해 제정됐다고 보이며 이에 따라 10년 제한을 두지 않아야 한다"고 밝혔다.

2014-02-10 14:53:06 조현정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