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기사사진
민주당 '을지키는민생실천위원회' 공식 출범… 민생 중심 선거전 본격화

더불어민주당 진짜 대한민국 선거대책위원회 '을지키는민생실천위원회(위원회)'가 공식 출범했다. 위원회는 이번 대선에서 민생 현안을 중심으로 이재명 대선 후보의 당선을 위해 활동할 방침이다. 14일 정치권에 따르면 위원회는 전날(13일) 국회의원회관 제4간담회의실에서 출범회의를 개최하고 본격적인 활동에 돌입했다. 위원장은 민병덕 의원이 맡는다. 전국위원회에 속하는 '을지키는민생실천위원회'는 이번에 선거에 맞춰 선대위 체제로 개편하게 됐다. 위원회는 이재명 후보의 강점을 부각시키는 콘텐츠를 제작하고, 대선 기간 위원회 성격에 맞는 민생기동대를 운영해 민생현장에서 을의 목소리를 듣는 등 민생에 강한 면모를 부각할 방침이다. 민병덕 위원장은 출범회의에서 "이번 대선에서 국민의 삶을 실질적으로 개선하는 정책과 민생현안을 중심으로 제21대 대통령선거 이재명 후보 당선에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또 "위원회 산하에 8개 본부와 2개 단을 설치해 조직된 '을의 목소리'는 물론 조직되지 않은 '을의 목소리'까지 적극 수렴하고, 당내외 을지킴이들과 함께 현장 목소리를 청취하여 대선승리를 이끌겠다"고 강조했다. 한편 이날 행사에는 민병덕 위원장을 비롯해 중앙선대위 유동수 잘사니즘위원회 공동위원장, 어기구 잘사니즘위원회 공동위원장, 박홍근 직능본부장, 김병주 공동선거대책위원장, 임오경 중앙선대위 직능본부 수석부본부장, 최기상 공명선거법률지원단 수석부단장, 김남근 중앙선대위 직능본부 부본부장, 김윤 정책본부 부본부장, 박지혜 홍보본부 부본부장, 박희승 유세본부 부본부장, 안도걸 지역살리기위원장, 임광현 정책본부 부본부장을 비롯하여 을지키는민생실천위원회 소속 국회의원과 선대위 관계자가 참석했다.

2025-05-14 22:42:49 서예진 기자
기사사진
민주 "지귀연 부장판사 룸살롱 접대 의혹, 즉각 내란 재판에서 손 떼라"

더불어민주당이 14일 윤석열 전 대통령 내란 혐의 재판을 심리 중인 지귀연 부장판사가 룸살롱 접대를 받아왔다는 의혹을 제기하며 즉각 내란 재판에서 손 떼라고 촉구했다. 노종면 선대위 대변인은 서면브리핑에서 "사법부 대선개입 의혹을 밝히는 국회 청문회에서 귀를 의심케 할 의혹이 제기됐다"면서 "내란 재판을 맡고 있는 지귀연 판사가 룸살롱 접대를 받아왔다는 충격적인 의혹"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노 대변인은 "민주당이 확보한 제보 사진에는 지귀연 판사의 얼굴이 선명하다. 사진이 찍힌 장소가 서울 강남의 최고급 룸살롱이라는 사실도 민주당이 확인했다"면서 "지귀연 판사에게 묻겠다. 고급 룸살롱 드나들면서 젊은 여성들과 고급 양주를 즐기는 50대 판사는 정상인가. 술값과 접대비는 본인이 직접 냈나. 판사 월급으로 감당이 되나"라고 물었다. 노 대변인은 "민주당이 확보한 제보에 따르면 룸살롱 비용은 지귀연 판사가 아니라 동석자가 부담했다고 한다"며 "해당 룸살롱은 서너명이 술자리를 즐길 경우 400~500만원은 족히 나오는 곳이다. 대법원규칙 위반일 뿐 아니라 불법일 가능성이 매우 크다"고 했다. 이어 "서울중앙지방법원은 지금 당장 지귀연 판사의 재판 업무를 배제하라. 이렇게 부도덕하고 불법 의혹이 짙은 판사에게 대한민국 민주주의의 운명이 걸린 내란 재판을 맡길 수는 없다"면서 "내란 세력이 지귀연 판사의 약점을 쥐고 재판에 개입한다면 누가 감당하고 책임질 수 있나"라고 반문했다. 노 대변인은 "내란 가담 피의자들이 구속 상태로 재판을 맡고 있는데 내란수괴로 지목된 자만 거리를 활보하는 현실을 어느 국민이 납득할 수 있나"라며 "윤석열을 풀어주고 윤석열의 언론 노출을 막아주고 비공개 재판을 고집하는 기이한 상황이 지귀연 판사의 약점과 무관하다고 장담할 수 있나"라고 의혹을 재차 제기했다. 이어 "의혹을 방치하면 음모론만 커진다. 현직 판사, 그것도 내란 사건 재판장의 룸살롱 접대 의혹"이라며 "사법부에 대한 신뢰, 재판 결과의 권위를 위해서라도 지귀연 판사는 내란 재판에서 손을 떼야 한다"고 부연했다. 아울러 "지귀연 판사 스스로 법복을 벗어야 마땅하지만 기대하기 어렵다. 사법부의 신속한 재판 배제, 철저한 감찰 실시를 촉구한다"면서 "민주당은 사법부가 주저할 경우 사진 공개를 포함한 추가 대응에 나설 수밖에 없다는 점을 천명한다"고 했다.

2025-05-14 22:42:47 박태홍 기자
기사사진
국민의힘 선대위 '팩트체크단' 14일부터 운영… 단장엔 김장겸 임명

국민의힘 중앙선거대책위원회가 허위·왜곡 보도에 대응하기 위해 '팩트체크단'을 구성했다. 14일 정치권에 따르면 국민의힘은 공식선거운동 첫날인 지난 13일 선대위 조직 구성을 마쳤으며, 팩트체크단의 경우 국민사이렌세터와 함께 미디어본부 산하에 편성됐다. 이날부터 운영을 시작한 팩트체크단에 참여한 의원실은 총 16곳으로, 주간반과 야간반으로 나뉘어 기사 모니터링 및 팩트체크 업무를 수행한다. 언론 관련 다양한 시민단체들과 연계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 팩트체크단 단장은 김장겸 의원이다. 김 의원은 MBC 사장 출신이며, 당내에서 방송·미디어 분야의 전문가로 활동하고 있다. 김 의원은 발대식을 겸한 실무진 오리엔테이션 자리에서 "김대업 병역비리 조작 사건부터 드루킹 댓글 조작, 대선 3일 전 보도된 김만배·신학림 인터뷰까지, 큰 선거를 앞두고 민의를 왜곡하려는 시도는 항상 있어왔다"며 "민주주의의 근간을 흔들고 나아가 국가의 미래 성장동력까지 갉아먹는 허위·조작·왜곡 보도에 단호히 대응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공정성과 중립성을 상실한 채 정파성을 띠고 악의적으로 조작하거나 왜곡하는 보도와 매체가 주요 팩트체크 대상"이라면서 "언론이 사실을 보도하고 비판적인 의견이나 해석을 표현할 수 있는 권리는 최대한 보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2025-05-14 17:40:39 서예진 기자
기사사진
열세 지역 찾아다니는 민주당, 이번 대선도 '빅데이터 선거'로

더불어민주당이 21대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열세 지역을 꼼꼼히 찾고 있다. 지역 선정은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한다. 이는 2016년 총선 일부 지역에서 사용하던 빅데이터 기반 전략을 몇년간 꾸준히 사용한 덕분이다. 14일 정치권에 따르면 민주당은 지난 9일 지역 곳곳을 찾아 현장의 민심을 듣고 민생을 챙기겠다는 취지로 '골목골목 선대위'를 구성했다. 골목골목 선대위의 총괄선대위원장은 6선의 추미애 의원이며, 조정식·김태년·박홍근 의원 등 4선 이상의 중량감 있는 의원들이 배치됐다. 추미애 의원은 "'내가 이재명이다'라는 각오로 후보가 직접 가기 어려운 곳곳마다, 특히 그동안 선거 과정에서 민주당 후보가 최저 득표한 지역이나 한 번도 가보지 못한 동네를 중심으로 민심을 제대로 청취하겠다"며 "정치는 골목에서 시작하고 주민 속에서 자라나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전날(13일) 박주민 민주당 의원은 서울 강남구 대치동 일대와 동작구 흑석동 일대의 골목을 누비며 유권자들에게 인사를 나눴다. 박 의원은 골목골목 선대위 서울위원장을 맡고 있다. 서울지역의 경우 45개 선거구 중 열세지역 30곳을 담은 '골목지도'를 만들었다. 전날 박 의원이 방문한 대치동 일대는 강남병 지역구로, 20~22대 총선에서 민주당 후보가 30%대에 그치는 득표율을 얻는 '험지'다. 흑석동의 경우 동작을 지역에 속하는데, 민주당이 지난 대선 당시 득표율이 국민의힘 보다 4.7%포인트(p) 낮았다. 이들은 '골목골목 선대위'라는 이름에 맞게, 확성기를 단 유세차로 이동하는 대신 도보로 이동했다. 역대 선거 통계를 바탕으로 소극 지지층이 가장 많은 지역 위주로 유권자들을 만나러 가겠다는 취지다. 민주당의 이같은 선거 전략은 2016년 총선부터 등장했다. 당시 총선에서 김부겸(대구 수성갑)·이학영(경기 군포을) 후보가 빅데이터 기반 전략으로 성공을 거두자, 당 차원에서 본격적으로 도입해 2017년 19대 대선부터 적극 활용했다. 민주당은 민주연구원과 지방자치데이터연구소가 공동으로 '마이크로 전략지도'를 만들게 했다. 해당 지도에선 '잠재적 지지층'이 많은 지역을 거주 규모에 따라 A~D 등급으로 나눴다. 인원이 제한적인만큼 효율적인 선거운동을 하기 위해서다. 빅데이터 기반 전략이 빛을 본 것은 2020년 21대 총선이다. 지역마다 성별·연령별 유동인구 동선 빅데이터를 시간대에 따라 분석해 선거운동의 효율화를 꾀했고, 선거운동지역을 각 후보자들에게 전달했다. 이전에는 관성적으로 '이 곳이 번화가니까'하는 이유로 집중유세 지역을 골랐다면, 21대 총선에서는 통신사 빅데이터를 활용해 유권자의 동선을 파악한 것이다. 지난해 22대 총선에서도 빅데이터 활용은 계속됐다. 시간대별 유동인구 빅데이터에 투표소별 투표성향 빅데이터를 결합한 '총선전략지도'를 만들었다. 투표소별 득표율을 기초로 만든 총선전략지도는 동 단위로 선거 전략을 짤 수 있도록 도움을 줬다고 한다. 이에 민주연구원은 유동인구가 많은 지역과 시간대를 파악해 집중유세 지역과 현수막 게첩 위치 등을 동별 현수막 문구 지침을 각 후보자들에게 내려보낸 것으로 전해졌다. /서예진기자 syj@metroseoul.co.kr

2025-05-14 17:03:26 서예진 기자
기사사진
한국음반산업협회, 트로트 커버음악 원제작자 권리 사각지대…제도 개선 시급

한국음반산업협회는 트로트 경연 프로그램들에서 방송사가 커버곡으로 제작 방송하면서 해당곡 원제작자들이 피해를 보고있다고 밝혔다. 13일 국회도서관 대강당에서 열린 '전국 대중문화예술인 정책토론회'에서 최경식 회장이 방송사의 커버음악 제작 관행으로 인한 원제작자의 피해를 지적하며, 제도적 개선을 강력히 촉구했다.이번 토론회는 임오경 의원, 황명선 의원, 강유정 의원, 이우종 위원장을 비롯한 다수의 더불어민주당 소속 국회의원들과 각 분야 창작자 단체들이 함께 참여했다. 이날 더불어민주당 문화예술특별위원회와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기획재정위원회 등이 공동 주최한 정책토론회에서는 대중문화예술인의 권익 보호와 관련된 다양한 논의가 이뤄졌다. 토론회 후반부, 청중 질의 시간에 발언자로 나선 최 회장은 최근 트로트 경연 프로그램의 확산과 그로 인한 불공정 구조를 정면으로 비판했다. 최 회장은 "최근 일부 방송국의 트로트 예능 프로그램 제작 과정에서 원제작자와 오리지널 가수들이 법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며, "방송사들은 법적으로 하자가 없다는 이유만으로 원제작자의 권리를 무시하고 커버음악을 제작·유통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특히, '미스터트롯' 시리즈를 포함한 다양한 트로트 경연 프로그램들이 오리지널 곡을 기반으로 한 커버곡을 제작해 방송하면서, 정작 수년간 해당 곡을 투자하고 개발한 제작자들과 가수들은 정당한 보상을 받지 못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또한, "기존 원로 가수들이 행사와 지역 축제 등을 통해 생계를 유지해 왔으나, 방송사에서 키운 커버 가수들에게만 무게중심이 쏠리면서 오리지널 가수들의 활동 기반은 무너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현재 한국음반산업협회는 약 7,000여 회원사와 50만 곡 이상의 음원을 신탁 관리하고 있으며, 협회장인 최경식 회장은 '투명'과 '신뢰'를 바탕으로 음반 제작자들이 정당한 대가를 받을 수 있도록 업계의 구조적 불공정을 개선하는 데 힘써왔다. 이날 발언 역시 그러한 노력의 연장선으로, 방송사 중심의 시장에서 제작자의 권리가 침해받지 않도록 제도적 장치 마련이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했다. 최 회장은 방송사의 이러한 행위가 단순한 편성권 남용을 넘어, 공정거래법 및 부정경쟁방지법 위반 소지가 있다고 밝히며, "오늘 이 자리를 시작으로, 관련 제도 개선을 위한 입법 추진에 나설 것"이라며, 협회 차원에서의 지속적인 문제 제기와 대응을 예고했다.

2025-05-14 16:36:42 최규춘 기자
기사사진
"Beyond Smartphones, Into Automotive Electronics"… Samsung Electro-Mechanics and LG Innotek Compete in 'Differentiation' in Automotive Components

Samsung Electro-Mechanics and LG Innotek Expand into Automotive Electronics Market Samsung Electro-Mechanics and LG Innotek are shifting away from their smartphone and IT-centric business models and expanding into the automotive electronics (automotive electronics components) market to secure future growth engines. Both companies are focusing on gaining a competitive edge in the rapidly growing automotive electronics market with distinct strategies. According to market research firm Grand View Research on the 13th, the global automotive electronics market is projected to grow from approximately $262.6 billion in 2023 to $468 billion by 2030, with an annual growth rate of 8.6%. Samsung Electro-Mechanics Expands into Automotive Electronics with MLCC and Camera Modules Samsung Electro-Mechanics is expanding its core products, multilayer ceramic capacitors (MLCC) and camera modules, into the automotive electronics market. In particular, electric vehicles and those equipped with advanced driver-assistance systems (ADAS) use up to 10 times more MLCCs than regular vehicles, and the cost per unit is 2-3 times higher than for IT applications, making it a highly profitable segment. Currently, Samsung Electro-Mechanics holds a 13% share of the global automotive MLCC market, ranking third. The company is targeting $2 billion in automotive component sales this year. Recently, Samsung Electro-Mechanics began supplying automotive MLCCs to BYD, China’s largest electric vehicle manufacturer. Additionally, the company developed ultra-small, high-voltage MLCCs for use in LiDAR systems for autonomous vehicles and received the AEC-Q200 certification, a standard for automotive electronic component reliability. Samsung Electro-Mechanics is also making significant progress in transitioning its camera modules for automotive use. Last year, the company developed an all-season "weatherproof" camera module featuring water-repellent coating and lens heating technology. The modules are expected to be supplied to automakers, including Hyundai and Kia, by the end of the year. LG Innotek Focuses on Vehicle Sensing Solutions as Future Growth Engine, Expands into Advanced Modules In contrast, LG Innotek is positioning vehicle sensing solutions as its future growth engine, focusing on the development of integrated products such as LiDAR, automotive cameras, communication and lighting modules. Notably, the company plans to begin mass production of vehicle application processor (AP) modules in the second half of this year. The AP module is a core device that acts as the "brain" of various electronic systems inside vehicles. Despite its compact size of just 6.5 cm, it is a high-performance product containing more than 400 components. LG Innotek is also strengthening its patent competitiveness. Over the past five years, the company has filed more than 3,500 patents related to automotive electronics, with automotive electronics accounting for 40% of its total patents. Additionally, it holds eight international standard patents in the electric vehicle communication controller (EVCC) field. However, LG Innotek’s revenue share from automotive components is still relatively small. Last year, the automotive business generated KRW 1.94 trillion in sales, accounting for 9.2% of the total revenue, and in the first quarter of this year, sales decreased by 5% year-on-year to KRW 467.5 billion due to the slowdown in electric vehicle demand. Nevertheless, the company continues to show gradual growth, particularly in high-value products such as communications and lighting, and its order backlog has increased by 27% year-on-year to KRW 13.6 trillion, indicating ample growth potential. LG Innotek aims to achieve KRW 5 trillion in automotive sales and over KRW 2 trillion in sensing solutions by 2029. Industry experts analyze that while Samsung Electro-Mechanics has focused on securing immediate profitability, LG Innotek is prioritizing future growth. One industry insider explained, "Samsung Electro-Mechanics is expanding its existing strengths in MLCCs and camera modules into the automotive sector, generating stable revenue, while LG Innotek is investing in future technologies like sensing and integrated modules, focusing on securing long-term competitiveness." ChatGPT를 사용하여 번역한 기사입니다.

2025-05-14 16:36:17 메트로신문 기자
기사사진
'AI, 활용하면 좋다던데…' 구독 요금제에 허리가 휘청

OTT와 음악 스트리밍을 넘은 인공지능(AI) 모델 구독까지, 선택이었던 구독이 이제는 '생계의 무게'가 되고 있다. 실제로, 서울시 조사에 따르면 시민 대부분이 한 개 이상 유료 구독 서비스를 이용 중이며, AI 활용 확산으로 디지털 구독료는 꾸준히 늘고 있다. 정부와 정치권도 AI 구독료에 대한 사회적 부담과 형평성 문제를 인식하고 제도적 대응에 나서고 있다. 14일 업계에 따르면 이용자들의 온라인 구독 서비스 연간 이용 금액이 50여만원에 가까운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챗GPT를 비롯한 생성형 AI가 업무 필수 도구로 자리 잡으면서, 구독형 요금제에 대한 부담도 커지고 있다. 서울시 조사에 따르면 시민 95.9%가 하나 이상의 구독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으며, 월평균 4만530원을 지출하고 있다. 특히 AI 서비스를 포함한 디지털 구독 비용이 늘어나면서 '구독 인플레이션'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구독 요금제는 일정 금액을 정기적으로 지불하고 콘텐츠나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이용하는 방식이다. 미디어 업계에서 처음 시작돼 현재는 편의점 등 소매 유통업에까지 이르렀다. 이용자를 록인(Lock-In)하는 확실한 방법이자 안정적으로 수익을 확보할 수 있는 수익모델인 만큼 구독 요금제 시장은 빠르게 성장 중이다. 시장조사기업 프레서던스 리서치에 따르면 구독형 요금제 시장 규모는 2025년 205억8000만 달러로 추산되며, 2034년에는 약 460억5000만 달러에 이를 전망이다. 2025년부터 2034년까지 연평균 성장률(CAGR)은 9.36%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시장 분석은 SaaS(서비스형 소프트웨어)와 같은 기업용 구독 요금제를 제외했다. 그러나 최근 AI 모델들이 실제 업무환경과 개인의 일상에서 유용하게 활용되면서 구독 요금제의 인플레이션 우려가 나오고 있다. 잡플래닛의 설문조사에 따르면 직장인 10명 중 7명은 거의 매일 챗GPT를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 중 78.9%가 일상보다 회사에서 챗GPT를 더 자주 사용한다고 답했다. 또 AI를 적극 활용하는 동료에 대한 인식도 긍정적인 분위기로, 91.1%는 "AI를 잘 활용하는 것도 업무 능력의 일부"라고 답했다. 문제는 챗GPT 등 생성형 AI에 지출하는 비용이다. 마이크로소프트가 지난해 발표한 업무동향지표에 따르면 기업 리더 80%는 AI 도입이 경쟁력 확보에 필수적이라고 인식했으나 68%가 정작 조직 내 비전과 명확한 계획이 부족했다. 이러한 문제로 근로자 중 85%에 달하는 사람이 회사의 지원 없이 AI 모델을 개인적으로 구독해 업무에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각에서는 사회 취약 계층의 AI 모델 구독에 대한 논의를 진행해야 한다는 주장도 한다. 이에 이재명 대통령 후보는 지난 12월 AI 100조원 투자 공약을 내걸면서 '모두의 에이아이(AI)' 프로젝트 추진 및 규제 특례를 통한 AI 융복합 산업 활성화를 공약했다. '모두의 에이아이'는 국민 모두가 선진국 수준의 AI를 무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프로젝트다. 그러나 반박도 있다. 안철수 국민의힘 후보는 "한국형 챗GPT의 전 국민 무료사용은 황당하다"면서 "100조원을 투자하면 뭐든 해결될 것처럼 접근하는 것은 기술 현실을 모르는 발상"이라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안 의원은 "AI는 복지 수단이 아니라 국기 기술 경쟁력"이라고 선을 그었다. IT 업계에서는 성인 이용자보다도 사회취약계층 청소년 등이 학습 기회를 잃을 수 있다는 우려와 함께 AI 모델이 각각 강점이 다르다는 점을 들며 구독료에 대한 사회적 논의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IT 업계 관계자는 "최근 트렌드는 챗GPT와 클로드, 퍼플렉시티를 각각 강점에 따라 사용하는 것"이라면서 "각각 22달러, 20달러, 20달러로 우리돈 약 9만원에 달하는 비용이 발생한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취약계층에는 부담이 클 것으로 생각되는 만큼 사회적으로 논의해 볼 주제 같다"고 전했다. 한편 공정거래위원회는 13일부터 약 5주간 구독서비스 분야 국내외 37개 사업자를 대상으로 '구독서비스 시장 실태조사'를 실시한다. 공정위는 사업 일반현황, 고객센터 운영 현황, 계약 체결·갱신 시 정보제공 현황, 청약철회·일반해지·중도해지 정책 현황 등으로 구성된 서면 실태조사표를 각 업체에 보낼 예정이다. 필요하면 추가 자료도 요청하기로 했다. 공정위 관계자는 "이번 조사는 특정 기업의 법률 위반 여부를 찾는 사건 조사는 아니다"라며 "개별 기업의 제출 자료는 공정위 내 다른 부서와 공유되지 않고 순수한 시장 연구 목적으로만 활용한다"고 밝혔다.

2025-05-14 15:48:03 김서현 기자
기사사진
위메이드, 올해 1Q 실적발표... 해외 시장 공략 본격화

위메이드는 14일 2025년 1분기 실적을 발표하고,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 연결 재무제표 기준 ▲매출 약 1418억원 ▲영업손실 약 113억원 ▲당기순손실 약 206억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매출은 전 분기 대비 약 14% 감소했으며,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은 모두 적자 전환했다. 게임 부문 매출은 신작 '레전드 오브 이미르' 등의 성과로 약 26% 증가했다. 다만, 지난해 말 개발사 매드엔진 자회사 편입으로 인건비 등 고정비가 상승하고, 신작 마케팅 비용이 늘어난 영향으로 수익성은 악화했다. 위메이드는 올해 미르M의 중국 출시(3분기), 미드나잇워커스 글로벌 론칭(하반기), 레전드 오브 이미르 글로벌 버전(4분기) 등 다양한 장르의 신작으로 해외 시장 공략을 강화할 계획이다. 미르5, 블랙 벌처스: 프레이 오브 그리드, 나이트 크로우2(가제), 탈: 디 아케인 랜드 등 차기작 개발도 순조롭게 진행 중이다. 또한, 가상자산 위믹스를 기반으로 한 블록체인 사업 확대에도 속도를 낸다. 위메이드는 고도화된 토크노믹스를 적용한 게임을 다수 글로벌 시장에 출시하고, 위믹스 생태계와의 상생 전략을 통해 블록체인 산업 내 입지를 강화하겠다는 방침이다. 위메이드 관계자는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 있는 게임과 블록체인 서비스를 지속 출시해 수익성을 개선하고, 위믹스 생태계를 기반으로 한 지속가능한 성장 전략을 구체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2025-05-14 15:37:48 최빛나 기자
기사사진
넥슨, 올해 1Q 연결 실적 발표...게임 서비스 라인업 강화

넥슨이 기존 프랜차이즈 회복과 신작 흥행에 힘입어 매출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 넥슨은 14일 발표한 2025년 1분기 연결 실적을 통해, 올 1분기 매출 목표를 달성했으며 영업이익은 전망치를 상회했다고 밝혔다. 이번 실적은 던전앤파이터, 메이플스토리, FC 등 핵심 프랜차이즈 3종의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21% 증가한 데 이어, 3월 출시된 퍼스트 버서커: 카잔과 마비노기 모바일이 성과를 더한 결과다. 특히 던전앤파이터는 중국과 국내에서 각각 신년 업데이트와 중천 업데이트 효과로 매출이 반등했으며, 메이플스토리는 대규모 겨울 업데이트에 힘입어 국내 매출이 전년 대비 43% 증가했다. 서구권 시장에서도 현지화 전략을 통해 매출이 35% 늘며 성과를 보였다. 신규 타이틀 카잔은 스팀과 게임 전문 리뷰 사이트에서 긍정적 평가를 얻었고, 마비노기 모바일은 국내 양대 마켓에서 흥행을 이어가며 기대 이상의 반응을 끌어냈다. 넥슨은 기존 IP 안정세와 함께 신작 라인업을 기반으로 한 성장 전략도 병행한다. 엠바크 스튜디오의 PvPvE 신작 아크 레이더스는 지난 4월 두 번째 기술 테스트를 성공적으로 마쳤으며, 올해 출시를 목표로 개발 중이다. 하반기에는 데이브 더 다이버 스토리 DLC 인 더 정글 공개가 예정돼 있다. 이외에도 빈딕투스: 디파잉 페이트, 낙원: 라스트 파라다이스, 던전앤파이터: 아라드 등 다양한 신작이 글로벌 시장 출격을 준비 중이다. 이정헌 넥슨 대표는 "핵심 프랜차이즈 회복과 신작 흥행이라는 두 축을 통해 의미 있는 1분기 실적을 기록했다"며 "아크 레이더스를 포함한 신작 출시와 전략적 파트너십을 기반으로 글로벌 경쟁력을 더욱 강화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2025-05-14 15:36:46 최빛나 기자
기사사진
SK C&C→SK AX로 사명 교체, 왜? '단순 리브랜딩' 아닌 '기업 정체성 리셋'

SK C&C가 27년 만에 기존 사명을 내려놓고 내달부터 SK AX로 새 출발을 하는 배경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14일 SK AX는 "이번 사명 변경은 기존 IT 서비스 회사의 역할에서 벗어나 고객의 비즈니스 전환을 빠르고 강력하게 실현하는 'AX(인공지능 전환) 파트너'로 자리매김하겠다는 의지를 드러낸 것"이라고 회사 명칭 교체 사유를 밝혔다. SK AX는 사명 변경은 단순한 '리브랜딩'이 아닌 기업의 '정체성 리셋'이라고 강조했다. 최근 산업 전반에서 인공지능이 본질적 경쟁력을 가르는 기준이 된 상황에서 변화의 필요성을 절감해 기술 도입보다는 조직 전환에 초점을 맞춘 브랜드 환골탈태를 감행했다는 설명이다. 이번 사명 교체를 계기로 회사는 업무 방식, 시스템, 조직 구조 전반을 AI 중심으로 재설계하기로 했다. 단순히 AI를 도입하는 수준에서 한발 더 나아가 모든 업무의 출발점을 AI에 두는 'AI 디폴트 컴퍼니', 즉 AI를 조직 운영의 표준으로 삼는 기업으로 거듭난다는 구상이다. SK AX는 내부적으로 인간과 AI가 유기적으로 협업하는 '휴먼 위드 AI' 업무 방식을 정착시키고, 외부적으로는 다양한 산업에서 AI 우선 운영 체계를 발굴해 전방위적인 AI 전환을 실현한다는 복안이다. 오는 2027년까지 생산성을 30% 이상 끌어올리겠다는 목표는 전사적 AX 전환의 구체적 성과 지표라고 SK AX는 부연했다. SK AX 관계자는 "이 같은 변화는 기술이 아니라 '시선의 전환'에서 출발한다"며 "과거 SK C&C가 고객에게 기술을 제공하는 사업 회사였다면, SK AX는 고객과 함께 고민하고 변화를 설계해 나가는 파트너"라고 강조했다. 회사는 그간 제조 현장의 불량률 예측과 설비 고장 감지, 고객 행동 기반 초개인화 금융 서비스, 물류 수요 예측 기반 자원 최적화 등의 비즈니스 사례를 꾸준히 축적해왔다. 이러한 경험이 국내 산업을 넘어 글로벌 시장에서도 통할 수 있는 확장성과 실증력을 갖춘 미래형 모델로 진화할 것으로 SK AX는 기대하고 있다. SK AX 관계자는 "북미, 유럽의 주요 제조 기업을 대상으로 AI 기반 디지털 트윈, 생산 계획 자동화, 에너지 최적화 솔루션을 제안하는 움직임이 그 시작이다"며 "기술과 서비스 확장에는 인프라 역량이 함께 뒷받침될 것"이라고 말했다. SK AX는 SK텔레콤, SK브로드밴드와 고성능 그래픽처리장치(GPU) 자원을 기반으로 한 AI 전용 데이터센터(AIDC) 사업 확장에 적극 나설 예정이다. AI 서비스에 최적화된 자원 운영 자동화, 실시간 상태 진단, 에너지 효율 최적화 등 AI 특화 인프라 기술도 고도화한다. 단순한 클라우드 운영이 아닌 AI 혁신을 가능하게 하는 '산업 맞춤형 인프라'를 함께 제공한다는 전략이다. SK AX는 "이번 사명 변경은 '무엇을 하는 회사인가'보다 '어떻게 일하고, 누구를 위한 회사인가'에 대한 근본적인 답을 새롭게 써 내려가는 과정"이라며 "기술보다 방향이, 조직보다 관점이 중요해진 시대에 SK AX라는 새로운 이름에 미래를 담았다. 이름만 바뀐 것이 아닌 기업의 존재 방식이 바뀌고 있고, 그 변화는 이미 시작됐다"고 밝혔다.

2025-05-14 15:34:43 김현정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