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층이 이끄는 노동시장...韓 64세이하 '참여도' OECD 하위권, 65세이상 합하면 중상위
우리나라의 경제활동참가율은 65세 이상 고령층이 이끌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64세 이하 연령대는 노동시장 참여도가 주요국 평균을 밑돌뿐더러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가운데 하위권에 자리했다. 반면, 일하는 인구를 65세 이상까지 확대해 비교한 조사에서 한국은 OECD 중상위권까지 치고 올라갔다. 24일 OECD 통계에 따르면 한국은 15~64세(생산가능인구) 나이대의 노동시장 참여도가 올해 2분기 71.5%로 집계됐다. 이는 OECD 평균인 74.0%에 못 미친다. 또 38개 회원국 중 30위에 그쳤다. 일본(81.5%), 호주(80.2%), 뉴질랜드(82.9%) 등 아·태 지역만 비교해도 우리나라는 10%포인트(p) 내외의 격차를 보였다. 게다가 OECD가 함께 비교대상으로 제시한 비회원국 불가리아(74.2%)·크로아티아(71.8%)보다도 참여도가 낮게 나타났다. 유럽연합(EU)의 15~64세 참여도 평균은 75.4%, 미국은 74.9%, 영국은 77.8%였다. 이에 반해, 15~64세에 65세 이상을 합친 경우 한국의 순위는 급변했다. 한국은 지난 2분기 15세 이상 전(全)연령대의 노동시장 참여도가 64.5%로, OECD 평균치인 61.0%를 웃돌았다. 회원국 38곳 가운데 12위에 이름을 올렸다. 64세 이하 비교 30위와 무려 18계단 차이를 보인 것이다. 전 연령대에서는 또 일본(63.2%), 미국(62.6%), 영국(62.6%), EU(58.1%)를 넘어섰다. 불가리아(55.6%)와 크로아티아(54.0%)도 우리보다 아래에 위치했다. 우리나라는 만 60세 정년이 뚜렷하다. 그럼에도, 이 같은 현상은 농어업 및 자영업에 종사하는 고령인구의 급증에서 비롯된 것으로 풀이된다. 아울러, 고령층의 공공부문 비정규직 취업이 최근 수년간 크게 늘어난 것도 한몫 거든 것으로 보인다. 지난달 국내 통계청이 발표한 '2024년 임금근로 일자리동향'에 따르면 올해 1분기 60대 이상 연령대에서 일자리 26만3000개가 증가(전년동기대비)했다. 반면, 20대 이하와 40대의 일자리 수는 각각 10만2000개, 3만2000개 감소했다. 또 행정안전부 집계에 따르면 농어촌 지역 고령화가 심각한 수준에 이르렀다. 전남과 경북의 경우, 지난 8월 말 기준 65세 이상 인구 비중이 각각 26.8%, 25.5%로 거주민 4명 중 1명이 노인이다. 한국개발연구원(KDI) 관계자는 지난달 초 발표한 '(2024년) 경제전망 수정' 보고서에서 "경제활동참가율을 발표하진 않지만, 이 지표도 하향 조정했다"고 밝혔다. 이는 고령층이 아닌 나이대의 노동참여도 및 고용이 부진하다는 설명으로 풀이된다. /세종=김연세기자 kys@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