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 코리아' 지속된 3월…"효자는 반도체와 밸류업"
외국인이 올해 1·4분기에 총 15조8000억원 규모의 국내 주식을 순매수한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 1998년 집계 이래 역대 최고 수준이다. 정부의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 대한 기대감과 글로벌 빅테크·AI(인공지능) 반도체 열풍으로 저PBR(주가순자산비율)주와 국내 반도체주가 인기를 끌었다. 8일 금융감독원의 '2024년 3월 외국인 증권투자 동향'에 따르면 외국인은 올해 3월에 유가증권시장에서 4조2150억원, 코스닥시장에서 8870억원 등 총 5조1020억원을 순매수했다. 외국인은 지난해 11월부터 3월까지 5개월 연속 국내 주식 순매수를 지속하고 있다. 3월 말 기준으로 외국인의 상장주식 보유액은 820조1000억원으로, 전체 시가총액의 29%를 차지했다. 보유 규모는 미국이 324조9000억원으로 외국인 전체의 39.6%를 차지하며 가장 컸다. 유럽이 256조5000억원(31.3%), 아시아가 120조3000억원(14.7%)을 기록하며 뒤를 이었다. 국가별로는 미국(2조2000억원), 영국(2조1000억원) 등이 순매수했으며, 캐나다와 사우디아라비아는 각각 1조원, 6000억원을 순매도했다. 반면, 상장채권은 3개월 만에 순회수로 전환했다. 지난 3월 외국인은 상장채권 2조 3580억원을 순매수하고, 8조 2040억원을 만기상환 받아 총 5조 8460억원 순회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3개월 만에 순회수로 전환했다. 외국인들은 3월 말 기준으로 상장 잔액의 9.6% 수준인 244조 3000억원의 상장채권을 보유 중이다. 전월 대비 4조 5000억원 감소한 수치다. 지역별로는 유럽 투자자들이 1조 1000억원 순투자했으며 미주 1조원, 아시아 4조원 순회수했다. 보유 규모는 아시아가 46.4%(113조 4000억)로 가장 큰 몫을 차지했다. 외국인은 저PBR(주가순자산비율이 낮은 종목)과 밸류업 관련 종목, 반도체 관련 종목을 집중적으로 사들이는 모습이었다. 이경민 대신증권 연구원도 "최근 주가 하락과 총선을 앞두고 밸류업 업종에 대한 관심도 증가했다"고 말했다. 특히 외국인은 반도체 훈풍을 타고 관련 종목을 적극 매수했으며 그중에서도 삼성전자를 사들이는데 집중했다. 1분기 외국인은 삼성전자를 5조5000억원가량 순매수하며 외국인이 사들이 순매수 규모 중 1위를 차지했다. 현대차 2조1000억, SK하이닉스가 1조7000억으로 뒤를 이었다. 이영원 흥국증권 연구원은 "연초 이후 외국인 매수가 반도체를 필두로 한 IT섹터(정보통신 부문)와 밸류업 프로그램 등의 영향에 따른 수혜 종목군으로 진행되고 있다"며 "반도체 매수 강도가 더욱 강화되고 있다"고 분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