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상목 "외환유입방안 연내 발표...주식밸류업 펀드 3000억 추가 조성"
기획재정부가 국가 비상상황 속에서 이달 중 외환수급 개선방안을 발표한다. 해외 자금의 이탈 가속화 차단에 적극 나서는 동시에, 한국 정부가 상황을 방치하지 않는다는 의지를 대내외에 적극 드러내 보인다는 방침이다. 최상목 경제부총리 겸 기재부 장관은 9일 전국은행연합회관에서 '긴급 거시경제·금융현안 간담회'를 열고 이러한 내용의 향후 대응 방안을 논의했다.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 김병환 금융위원장,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참석했다. 회의에서 최 부총리는 "채권시장은 필요시 국고채 긴급 바이백, 한은의 국고채 단순 매입 등을 즉시 시행하고 외환·외화자금시장은 필요시 외화 RP(환매조건부채권) 매입 등을 통해 외화유동성을 충분히 공급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외환 유입을 촉진하기 위한 구조적 외환수급 개선방안도 조속히 관계기관 협의를 마무리해 12월 중 발표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정부는 주식·채권·단기자금·외화자금시장이 완전히 정상화할 때까지 유동성을 무제한 공급한다는 계획이다. 최 부총리는 "최대 40조원 규모의 채권시장안정펀드 및 회사채·CP(기업어음) 매입프로그램 등 시장안정조치를 지속하고 있다"고도 말했다. 참석자들은 시장 변동성이 과도하게 확대되지 않도록, 준비된 상황별 대응계획(컨틴전시 플랜)에 따라 가용한 모든 시장안정조치들이 즉각 시행한다는 데 의견을 모았다. 최 부총리는 또 "주식시장에 대해서는 수급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되는 밸류업 펀드 중 300억 원이 이미 투입됐다"며 "이번 주 700억 원, 다음 주 300억 원 등 순차적으로 집행될 예정"이라고 말했다. 또 "다음 주에는 3000억 원 규모의 2차 펀드가 추가로 조성될 예정이다. 증시안정펀드 등 기타 시장안정조치도 언제든 즉시 가동될 수 있도록 준비하고 있다"고 했다. 지난 3일 계엄 사태 이후 최 부총리와 한은총재, 금융위원장, 금감원장은 하루(7일)을 제외하고 이날까지 비상회의를 총 6번 개최했다. 최 부총리는 또 이날 서울 여의도 국회 내 의장실을 방문해 우원식 의장에게 예산안의 조속한 확정을 요청했다. 이어 기재부 간부들과 만난 자리에서는 "어려운 시기일수록 기획재정부가 중심을 잡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기재부는 국제신용평가사, 국제금융기구, 해외투자자, 주요국 재무장관, 국제투자은행 등을 대상으로 부총리 명의의 서한을 발송하기로 했다. 국제금융협력 대사를 국제기구 및 주요국에 파견하는 등 소통도 강화할 계획이다. 이는 모두 대외신인도 하락 방지를 위한 움직임이다. /세종=김연세기자 kys@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