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기사사진
대교협 “아세안 석사 소지 교원, 한국서 '박사' 받도록 지원…36명 취득”

한국대학교육협의회(대교협)가 아세안 석사학위 소지 교원이 한국 대학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아세안 교수초청 장학사업(Higher Education for ASEAN Talents, HEAT)'을 추진하며, 한-아세안 고등교육 협력을 한층 강화하고 있다. 26일 대교협에 따르면, 대교협이 아세안 국가의 석사학위 소지 교원을 한국으로 초청해 박사과정 이수를 지원함으로써 친한파 교육엘리트를 양성하는 '아세안 교수초청 장학사업'을 진행한 결과, 현재까지 총 36명이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해당 장학사업은 '한-아세안협력기금(ASEAN-ROK Cooperation Fund, AKCF)'의 지원을 받아 운영되고 있다. 대교협은 2020년부터 2025년까지 5년간 진행되는 제1차 사업 기간 동안, 라오스 2명, 말레이시아 1명, 미얀마 7명, 베트남 22명, 인도네시아 33명, 캄보디아 1명, 태국 6명, 필리핀 10명 등 총 82명을 장학생으로 선발했으며, 현재까지 총 36명이 아세안 교수초청 장학사업을 통해 박사학위를 받았다. '아세안 교수초청 장학사업' 장학생은 한국 대학에 수학하면서 한국 연구자와 공동으로 SSCI, SCOPUS, KCI 등재 학술지에 논문을 게재하고 학술포럼을 개최한다. 아울러 강원대·경희대·고려대·이화여대·전북대·중앙대 등 수학 중인 한국 대학과 소속된 아세안 대학 간 양해각서를 추진하는 등 학술협력에 이바지하고 있다. 지난해 대교협과의 인터뷰에서 한 장학생은 "아세안 교수초청 장학사업의 장학금 덕분에 학업과 연구에만 집중할 수 있었다"라며 "본국에 돌아가 고등교육 발전과 한-아세안 학술협력 활성화에 기여하고 싶다"는 포부를 밝혔다. 대교협은 '아세안 교수초청 장학사업' 장학생의 박사학위 취득을 축하하고 장학생 간 교류를 확대하기 위해 26일 '제4회 아세안 교수초청 장학사업 장학생 교류 및 박사학위 취득 축하행사(4th HEAT Scholar's Networking Event - Celebration on Acquisition of Doctoral Degrees)'를 노보텔 앰배서더 서울 동대문에서 개최했다. 이번 행사는 지난 2023년 8월 개최된 1회 교류행사를 시작으로 네 번째로 열리는 행사이다. 대교협은 사업 성과를 지속적으로 이어가고자 지난 1월 '제2차 아세안 교수초청 장학사업' 제안서를 한-아세안협력기금에 제출했으며, 승인 후 오는 2026년 1월 제2차 사업을 시작할 계획이다. 서동석 대교협 대학혁신지원실장은 "'제2차 아세안 교수초청 장학사업'을 통해 환경, 의료보건 등 다양한 분야의 친한파 교육엘리트를 양성하고, 한-아세안 대학 간 협력 및 학술교류를 더욱 활성화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2025-02-26 12:00:23 이현진 기자
기사사진
서울 초교에 신학기 원어민 영어보조교사 415명 배치

서울시교육청은 신규 선발된 53명을 포함한 415명의 원어민 영어보조교사를 26일 관내 초등학교에 배치한다고 밝혔다. 이번 신규 선발된 원어민 영어 보조교사는 국립국제교육원(EPIK)이 주관하는 7박 8일간의 사전교육을 이수하고, 이날 서울시교육청이 주관하는 오리엔테이션 진행 후 근무학교로 이동한다. 서울시교육청은 영어 공교육 강화 목적으로 초등학교 3학년 영어 공교육 시작 단계에서의 영어 교육격차 문제 해소 및 사교육 경감 방안으로 원어민 영어보조교사 운영 사업을 지원하고 있다. 원어민 영어보조교사는 공립 초등학교에 1명 배치되며, 3학년 이상 30학급 이상의 일부 과대학교에는 2명이 투입된다. 학교에서는 원어민 영어보조교사를 통해 학생들의 외국인에 대한 두려움을 해소하고, 영어 의사소통 능력 향상 및 영어학습 의욕 고취, 외국 문화에 대한 이해 등 다양한 교육 활동에 활용할 수 있다. 서울시교육청은 지난해 디지털 AI시대 원어민 영어보조교사 역량 강화 연수를 실시해 교수학습법 강의 및 우수사례 공유를 통해 영어교육 내실화를 지원하기도 했다. 정근식 서울시교육감은 "원어민 영어보조교사를 활용함으로써 학생들의 학습 효과를 극대화하여 사교육 경감뿐만 아니라 자연스러운 글로벌 소통 능력 강화를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이현진기자 lhj@metroseoul.co.kr

2025-02-26 10:45:34 이현진 기자
기사사진
울산 남구 첫 동부건설 센트레빌 아파트

- 남구 신정동에 전용 84㎡ 단일면적, 총 368가구 규모로 조성 - 신정동 명문학군에 YBM 어학교육커뮤니티 등 교육여건 우수… 다양한 커뮤니티도 도입 - 3월 4일 특별공급, 3월 5일 1순위 청약 진행... 3월 12일 당첨자 발표 동부건설이 울산 남구 첫 센트레빌 브랜드 아파트로 공급하는 '문수로 센트레빌 에듀리체'가 28일(금) 견본주택을 열고 본격적인 분양에 돌입한다. 문수로 센트레빌 에듀리체는 울산광역시 남구 신정동 1151-1번지 일원에 지하 3층~지상 35층, 4개동, 총 368가구 규모로 조성되며, 전 가구는 수요자들의 선호도가 높은 전용면적 84㎡로 구성된다. 타입별 가구수는 ▲84㎡A 101가구 ▲84㎡B 68가구 ▲84㎡C 131가구 ▲84㎡D 68가구다. 청약일정은 3월 4일(화) 특별공급을 시작으로 3월 5일(수) 1순위, 3월 6일(목) 2순위 청약을 받는다. 이후 3월 12일(수) 당첨자를 발표하고, 3월 24일(월)부터 26일(수)까지 3일간 정당계약을 진행한다. 1순위 청약은 청약통장 가입기간 6개월 이상, 지역별·면적별 예치금을 충족한 만 19세 이상의 울산광역시, 부산광역시, 경상남도 거주자라면 보유 주택 수와 관계없이 세대주·세대원·유주택자 모두 신청할 수 있다. 전매제한은 당첨자 발표일로부터 6개월이며, 재당첨제한과 실거주 의무는 없다. 분양가는 전용면적 84㎡기준 6억 중반대부터 책정됐다. 이는 주변 입주 단지 및 분양권의 실거래가와 시세가 8억원을 넘어 형성돼 있는 것과 비교하면 상당히 경쟁력을 갖췄다는 평가다. 분양조건도 우수하다. 계약금을 전체 금액에 5%로 책정하고 1차 계약금 1천만 정액제 조건을 적용해 초기 자금 부담을 최소화 했으며, 중도금 60% 전액 무이자 혜택을 제공해 수요자들의 가격부담을 한층 더 줄였다. 문수로 센트레빌 에듀리체는 특히 울산의 명문학군을 누리는 것이 강점이다. 대표적인 명문초등학교 신정초등학교로 배정이 확정돼 아이들의 안심통학권을 확보하고 있으며, 반경 1km 내에는 학성중·고, 울산서여중, 울산여고, 신정고 등 명문 중·고교도 자리하고 있다. 또한 울산 최대 학원가인 옥동·신정동 학원가도 가깝다. 교통환경도 좋다. 봉월로, 삼산로 등 울산 주요 도로의 진입이 수월하며, 울산 최대 대중교통 환승지인 공업탑 로터리를 도보로 10분이면 이동이 가능해 울산 전역으로의 이동도 편리하다. 또 공업탑 로터리에는 지난 10일 국토교통부의 승인을 완료하고, 2026년 착공, 2029년 개통을 목표로 사업을 진행중인 도시철도 1호선(트램)의 공업탑 로터리역(계획_가칭)이 예정돼 있어 교통편의성은 더욱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 여기에 주변에는 울산시청, 울산병원, 롯데백화점, 홈플러스, 금융기관, 신정시장 등 다양한 행정, 편의시설이 자리하고, 울산대공원, 태화강 국가정원, 남산근린공원 등 대규모 녹지공간도 가까워 쾌적한 주거생활을 누릴 것으로 보인다. 문수로 센트레빌 에듀리체는 울산 남구 첫 동부건설 센트레빌 아파트라는 상징성에 걸맞은 차별화된 설계가 곳곳에 적용된다. 우선 남향 위주로 단지를 배치하고 주변 단지 대비 낮은 건폐율, 최대 64m에 이르는 넓은 동간 거리를 적용해 채광 및 통풍, 개방감을 극대화했다. 또 내부 설계로는 타입별로 현관 및 복도 팬트리, 알파룸 등을 도입해 수납공간과 공간활용성을 확대했다. 커뮤니티도 다채롭게 꾸민다. 스크린 골프, GX룸, 바이오필릭 스포웰, 패밀리 플레이룸 등이 도입되는 스포웰 복합 스포츠 시설과 프라이빗 오피스, 센트웰 북 라운지, 오픈형 독서실, 스터디룸 등이 마련되는 복합문화공간을 마련해 풍요로운 일상을 누리게 한다는 계획이다. 이뿐만 아니다. 단지는 우수한 교육여건에 걸맞게 다양한 맘키즈 특화 설계 및 서비스를 도입해 교육 특화 아파트를 조성할 예정이서 주목된다. 주요 특화 설계 및 서비스로는 필로티형 주차장의 안전한 실내 픽업존과 맘스테이션을 구성하고, YBM 어학커뮤니티를 단지 내 도입할 예정이다. 특히 YBM 어학커뮤니티 서비스는 입주민을 대상으로 2년간 무상으로 제공되며, 원어민 선생님(1명)과 한국인 선생님(1명)이 상주해 유치원부터 초등학교 전 학년이 이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운영돼 교육환경은 더욱 좋아질 것으로 보인다. 분양관계자는 “이 밖에도 단지 내에는 대규모 중앙광장과 어린이 놀이터, 텃밭 등 다양한 조경시설을 도입해 쾌적함을 더할 예정”이라며 “울산 최고 주거선호지에서 차별화된 일상을 누릴 수 있는 랜드마크를 선보일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문수로 센트레빌 에듀리체는 견본주택 오픈을 기념하여 다양한 이벤트를 진행한다. 견본주택 오픈 4일 동안은 매일 추첨을 통해 샤넬백, 75인치 TV, 스탠바이미 등을 증정하는 경품 이벤트를 실시하며, 동부건설 프로단 소속 지한솔, 박주영 프로의 사인회, 인생네컷, 마술쇼, 푸드트럭 등 다채로운 콘텐츠도 마련해 운영할 예정이다. 또한 단지는 1순위 청약 신청자 전원에게 상품권 5만원권을 증정하고, 청약자를 대상으로는 루이비통, 로봇청소기, 다이슨 드라이어, 에어팟 프로 등의 경품을 증정하는 청약 이벤트도 계획하고 있다. 문수로 센트레빌 에듀리체의 견본주택은 울산광역시 남구 달동 120-2번지에 마련돼 있다.

2025-02-26 10:05:55 박성호 기자
기사사진
트럼프 "젤렌스키, 28일 방미 원하면 나도 괜찮아…큰 거래 될수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25일(현지 시간)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대통령이 "금요일(28일)에 (미국에) 온다고 들었다"며 "그가 원한다면 당현히 나도 괜찮다(OK)"고 밝혔다.의회전문 매체 더힐, ABC뉴스에 따르면 그는 이날 백악관 집무실에서 기자들에게 이 같이 말하고 "그는 저와 함께 (협정에) 서명하고 싶어한다. 나는 그것이 매우 큰 거래(big deal)라는 점을 이해하고 있다"고 했다. 특히 트럼프 대통령은 거듭 "매우 큰 거래"라며 "1조달러(약 1430조 원) 규모의 거래가 될 수도 있다"고 말했다. 서명할 협정은 "무엇이든 될 수 있다"면서도 "희토류와 다른 것들"이라며 28일 젤렌스키 대통령이 워싱턴을 방문해 양국 간 광물 협정에 서명할 것을 시사했다. 앞서 이날 AP통신은 우크라이나 고위 당국자 3명을 인용해 우크라이나와 미국이 희토류 광물의 개발을 포함하는 포괄적인 경제 협정의 기본 틀에 합의했다고 보도했다.우크라이나 당국자는 이르면 오는 28일 협정 서명이 있을 예정이며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이 미국을 방문해 트럼프 대통령과 만나는 방안이 준비되고 있다고 밝혔다. 다른 당국자는 협정을 계기로 젤렌스키와 트럼프가 우크라이나에 대한 지속적인 군사 지원에 대해 논의할 기회를 제공할 것이라며 이 때문에 우크라이나 정부가 협정을 조속히 마무리하기를 희망한다고 밝혔다. 파이낸셜타임스(FT)에 따르면 우크라이나는 미국이 자국 자원에서 5000억 달러의 잠재적 수익 요구를 거절했다. 양국은 이러한 내용이 담기지 않은 최종 협정 초안을 마련했다.이번 협정에는 미국이 우크라이나 경제 발전을 지원하겠다는 내용이 담겼다. 올하 스테파니시나 우크라이나 부총리는 FT에 "광물 협정은 그림의 일부"라며 "우리는 미국 행정부로부터 (협정이) 더 큰 그림의 일부라는 말을 여러 번 들었다"고 밝혔다. 다만 우크라이나 관리들은 신문에 이번 협상이 예비적인 것일 뿐이며, 자금 전달은 포함되지 않았다고 밝혔다. 키이우가 간절히 원하고 있는 미국의 안전 보장도 포함되지 않을 것이라고 FT는 전했다. 액시오스도 이번 협정 초안 합의문에 미국은 우크라이나가 "자유롭고 주권적이며 안전하게" 유지되길 바란다는 내용은 명기됐으나 구체적인 안전 보장은 언급되지 않았다고 전했다.

2025-02-26 09:18:16 최규춘 기자
기사사진
Hyundai Motor Aims to Regain Its Former Status in China... Will It Overcome Trump’s Retaliatory Tariffs?

Hyundai Motor Group is putting forward a strategy focused on 'localization' and 'eco-friendly vehicles' to target the world's largest automobile market, China. With heightened concerns over the U.S. market due to the Trump administration's 25% tariff, the group is ramping up efforts to target China, the world's second-largest car market. In particular, Hyundai is making large-scale investments to regain the reputation of the Chinese market, where it sold around 1.8 million units in 2016, and is expanding its brand competitiveness. According to industry sources on the 25th, Hyundai Motor is aiming for a turnaround in China by investing in research and development (R&D) and launching electric vehicles. With the risks of U.S. tariffs resurfacing, the company is actively targeting the Chinese market, where 25 million new cars are sold annually. Hyundai Motor has decided to invest a total of $1.096 billion in a joint venture with Beijing Automotive Group (BAIC), Beijing Hyundai, in December last year. Both Hyundai and BAIC will equally share the investment. With this funding, Beijing Hyundai plans to release more products tailored to Chinese consumers and expand its export volume. Specifically, Beijing Hyundai plans to launch its first dedicated electric vehicle model this year, and from 2026, it aims to introduce five new energy vehicles (NEVs), including hybrid electric vehicles (HEVs). Hyundai Motor Group is also strengthening its local research and development (R&D) capabilities. At the end of last year, the group established a new corporation in Shanghai, "Como China," which focuses on artificial intelligence (AI) business. The initial capital is 213 million yuan, approximately 42.2 billion KRW. Through Como China, Hyundai plans to enhance collaboration with the city of Shanghai on AI technology projects required for Software-Defined Vehicles (SDVs). Shanghai is actively building a smart transportation ecosystem through autonomous driving and SDVs, and has reportedly opened over 2,000 kilometers of roads for autonomous vehicles. Hyundai Motor has been expanding its presence in China to enhance its SDV competitiveness. In 2021, it established a digital research and development (R&D) center in Shanghai, and in October of last year, it opened the "Shanghai Advanced Technology Research and Development Center." Hyundai plans to launch an electric vehicle equipped with generative AI from the Chinese autonomous driving software company "Haomo" in the second half of this year. Hyundai Motor President José Muñoz stated, "The Chinese market presents a challenge for most automakers due to oversupply," and added, "We are conducting in-depth market analysis to identify opportunities for improving product mix, sales volume, and brand value." ChatGPT를 사용하여 번역한 기사입니다.

2025-02-25 17:00:26 메트로신문 기자
기사사진
경주시-울산시-포항시, 한수원과 손잡고 미래에너지 연구 본격 추진

경주, 울산, 포항 해오름동맹도시와 한국수력원자력이 25일 포항공대에서 열린 원자력혁신센터 개소식에서 연구개발 공동연구 협약식을 가졌다. 이날 행사에는 주낙영 경주시장, 이강덕 포항시장, 안승대 울산시 행정부시장, 장희승 한국수력원자력 품질기술본부장을 비롯해 해오름동맹지역 대학교 6곳, 학계 인사 등이 참석해 원자력 기술과 지역 산업 간 협력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해오름동맹지역 참여 대학은 동국대 WISE캠퍼스, 위덕대학교, 울산과학기술원(UNIST), 울산대학교, 포항공과대학교(POSTECH), 한동대학교로 각 지자체 당 2곳씩 선정했다. 이번 프로젝트로 원자력혁신센터에 향후 3년간 총 66억 원의 연구비가 투입될 전망이다. 향후 원자력혁신센터는 미래 에너지 기술 개발과 인문사회융합 연구, 지역 산업 협력을 위한 연구를 중점적으로 수행할 예정이다. 특히 집단연구과제로 미래 스마티 시티를 위한 발전에너지 기술 개발을 비롯해 고준위 방폐장의 장기적 안정성 평가기법 개발을 집중적으로 연구하는 것이 이번 공동연구 협약의 핵심이다. 주낙영 경주시장은 "이번 센터 개소로 동남권 지역이 차세대 에너지 연구 메카로 자리 잡을 것으로 기대된다"라며 "향후 원자력혁신센터가 첨단 에너지 연구의 거점이 돼 지역과 국가의 지속 가능한 발전에 기여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활용하겠다"고 말했다.

2025-02-25 16:58:13 최지웅 기자
기사사진
포항시, 호미반도 해안둘레길 걷기 이벤트 실시

포항시는 오는 3월 여행가는 달을 맞아 호미반도 해안둘레길 걷기 인증 이벤트를 실시한다고 밝혔다. 이번 걷기 인증 코스는 호미반도 해안둘레길 5코스 중 33.6km의 해파랑길을 제외한 청림운동장에서부터 호미곶광장까지 24.7km에 이르는 4개의 코스이며, 1코스는 연오랑세오녀길, 2코스는 선바우길, 3코스는 구룡소길, 4코스는 호미길이다. 이번 이벤트는 여행의 달을 맞아 포항의 아름다운 호미반도 해안둘레길을 알리고, 많은 사람들을 해안둘레길 걷기에 동참시키기 위해 마련했다. 참가자들은 스탬프투어 앱을 통한 온라인 방식과 각 인증 지점에 마련된 종이 스탬프를 모으는 오프라인 방식으로 이벤트에 참여할 수 있으며, 4개 코스를 완주한 후 인증을 완료하면 기념품 및 메달을 받을 수 있다. 이벤트와 관련한 자세한 사항은 '퐝퐝여행' 홈페이지에서 확인 가능하다. 윤천수 관광산업과장은 "이번 이벤트로 많은 사람들이 봄을 맞아 호미반도 해안둘레길을 걸으며 포항의 아름다운 자연경관을 누릴 수 있길 바란다"며 "많은 분들의 관심과 참여를 부탁드린다"고 말했다. 한편 포항시는 지역의 관광안내소에 리플릿을 비치해 관광객들이 호미반도 해안둘레길 걷기에 참여할 수 있도록 했으며, 포항시 홈페이지 및 SNS 등 다양한 매체를 활용해 여행가는 달 포항 방문을 홍보할 예정이다.

2025-02-25 16:56:45 최지웅 기자
기사사진
인천시, 시민이 체감하는 민생정책 확대…현장 중심 운영

시민이 체감할 수 있는 실질적 변화를 목표로 인천시가 민생정책 추진에 본격적으로 나선다. 전문가 포럼과 시민정책제안 창구를 마련해 정책 효율성을 높이고, 민생현장진단반과 정책 간담회를 통해 현장의 목소리를 적극 반영할 계획이다. 인천광역시(시장 유정복)는 민생 현안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실질적인 변화를 이끌기 위해 지난 1월 '민생기획관'을 신설했다. 이를 통해 민생정책의 기획·발굴·총괄 체계를 강화하고, 시민 의견을 정책에 적극 반영할 방침이다. 특히 민생기획관 산하 '민생담당관'은 시민 체감도가 높은 '아이(i) 시리즈' 정책을 비롯해 다양한 인천형 민생체감정책을 지속적으로 발굴·확대할 계획이다. 또한, 직접 현장을 찾아 시민 의견을 청취하는 '민생현장 레이더' 역할을 수행해 현장의 목소리를 시정에 반영할 예정이다. ■ 시민 체감형 민생정책 발굴 및 확대 인천시는 시민들의 안정적인 생활과 삶의 질 향상을 목표로 다양한 민생정책을 발굴하고 지원한다. 현재 추진 중인 '아이(i) 플러스 1억드림', '아이(i) 플러스 집드림', '아이(i) 패스'·'인천 아이(i) 바다패스', '반값택배' 등 기존 정책 외에도 새로운 민생체감정책을 지속적으로 개발할 계획이다. 정책의 다양성과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 전문가들이 자유롭게 참여해 아이디어를 논의하는 전문가 포럼도 운영된다. 아울러, 시민들의 창의적이고 실질적인 의견을 적극 반영하기 위해 온라인 시민정책제안 창구를 개설한다. 이를 통해 시민이 직접 정책에 참여할 기회를 확대하고, 우수 제안자에게 인센티브를 제공해 참여를 독려할 예정이다. 또한, 행정부시장이 주재하는 '민생현안전략회의'를 정기적으로 운영해 주요 민생 현안을 점검하고, 시와 군·구 간 협력체계를 더욱 강화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민생정책의 실효성을 높이고 시민 만족도를 극대화할 방침이다. ■ 민생현장 방문 및 개선사업 추진 민생정책의 실질적인 수요자인 시민들과 일선 종사자들의 의견을 적극 수렴하고 정책 운영 실태를 점검하기 위해 '민생현장진단반'이 운영된다. 민원, 시의회 지적사항, 언론 보도를 상시 모니터링해 시민 생활 속 불편 사항을 신속하게 해결하는 체계를 구축한다. 현장 점검 후에는 관계 부서 및 군·구와 협업해 실효성 있는 개선책을 마련할 계획이다. 또한, 정책별·분야별 현장에서 주요 정책을 설명하고, 시민 의견을 직접 청취하는 '민생정책현장 간담회'를 정기적으로 개최한다. 이를 통해 시민과의 소통을 강화하고 정책의 실효성을 높여 나갈 계획이다. 박광근 시 민생기획관은 "민생정책의 핵심은 시민이 체감할 수 있는 실질적인 변화"라며 "시민들의 목소리를 적극 반영하고 불편을 해소하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밝혔다. 인천시는 앞으로도 시민이 체감할 수 있는 다양한 정책을 지속적으로 발굴하고, 정책 현장을 꾸준히 찾아가며 '시민이 가장 행복한 도시, 인천' 실현을 목표로 나아갈 계획이다.

2025-02-25 16:56:10 김학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