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기사사진
"Envisioning Future Daily Life" – CES 2025 Concludes, with Key Highlights Including 'AI Home' and the Emergence of 'Humanoid Robots'

The world's largest consumer electronics and IT exhibition, 'CES 2025,' concluded successfully with around 140,000 attendees. This year, instead of focusing on hardware, AI home technologies integrated into daily life became the central theme, with humanoid robots emerging as a new focal point, showcasing more realistic artificial intelligence (AI) advancements. According to the Consumer Technology Association (CTA), the organizer of CES, more than 141,000 people attended CES 2025, held in Las Vegas from January 7 to 10. This marks an increase of about 5% compared to last year's attendance of 135,000. The United States had the largest representation with over 1,500 participants, followed by China with around 1,300 and South Korea with 1,000. For the first time, South Korea had more than 1,000 companies, including major corporations like Samsung, Hyundai, SK, LG, as well as startups, participating in the event. ◆ 'Humanoid Robots' Emerging as a New Growth Business At this year's CES, AI has firmly established itself as an essential element in daily life, spanning across home appliances, mobility, healthcare, and more. In particular, AI-powered 'robots' were introduced as a key new business poised to dominate the market. Jensen Huang, CEO of NVIDIA, highlighted AI robots as a growing industry during his keynote speech, with South Korean companies also announcing their participation one after another. At this event, South Korea's two major electronics companies, Samsung Electronics and LG Electronics, officially announced the release of robot assistants under the theme of hyper-personalization, marking the beginning of humanoid robots. Samsung Electronics surprised attendees by announcing plans to launch its AI assistant robot, "Bolli," in the first half of the year. It is expected to be released in South Korea and the United States around May or June, although the price has not yet been set. Bolli will control Internet of Things (IoT) devices, monitor children and pets, and perform tasks such as acting as a home training mate or serving as an auxiliary screen for remote work, essentially taking on the role of a household assistant. Recently, Samsung Electronics acquired a majority stake in Rainbow Robotics and established the Future Robotics Promotion Team under the leadership of Vice Chairman Han Jong-hee. Rainbow Robotics, founded in 2011 by the KAIST HUBO Lab research team, developed South Korea's first bipedal robot, "HUBO." Samsung Electronics plans to accelerate the development of intelligent advanced humanoid robots by integrating its AI and software technologies with Rainbow Robotics' robotic expertise. LG Electronics also unveiled plans for its humanoid business, with the goal of achieving "liberation from household chores." LG Electronics plans to release its mobile AI home hub product, "Q9," and a software development kit (SDK) to developers in February or March. Additionally, the company is preparing technologies, including humanoid robots, as part of its ongoing research and development (R&D) efforts and is also investing in the robotics business. Last March, LG made a $60 million (approximately 80 billion won) investment in the AI-based autonomous service robot startup Bear Robotics, acquiring a stake in the company. ◆ Advanced AI Home Appliances to Future Mobility Unveiled Both companies unveiled increasingly advanced AI-powered home appliances, showcasing a hyper-personalized smart home experience. Samsung Electronics presented a "Home AI" based on SmartThings, with the theme of "AI for All," offering a personalized home for families. The exhibition featured appliances such as the "Bespoke AI Family Hub," which automatically recognizes ingredients inside the refrigerator and creates a food list, and the "Bespoke AI Steam," which takes care of floor cleaning according to the user's return time. The AI voice assistant "Bixby" integrated into Samsung's home appliances has also been upgraded. It now enables natural and continuous conversations, allowing users to control multiple devices with a single command. Bixby can recognize the voices of family members and provide personalized schedules. It can also identify ingredients nearing their expiration date in the refrigerator and suggest recipes based on available food. Samsung Electronics prioritized security in implementing Home AI. Samsung Knox Matrix, a blockchain-based security technology, allows connected devices to mutually check their security status. If external threats are detected, the affected device's connection is severed, and the system notifies the user, enabling immediate action to be taken. LG Electronics showcased a personalized experience through "empathy intelligence" in various environments such as homes, offices, vehicles, and hobby spaces. In LG Electronics' AI Home Zone, the "LG ThinQ ON" equipped with generative AI and on-device AI-based hub products were showcased. These products use sensors installed throughout the home to detect customers' behaviors and surrounding environments in real-time, optimally controlling IoT devices. For instance, the system can analyze the user's heart rate and breathing patterns to suggest warm water instead of cold, or automatically adjust the home's temperature and humidity. Additionally, LG Electronics showcased an impressive large-scale media art installation using the 77-inch wireless and transparent OLED TV, "LG Signature OLED T." This technology combines wireless transmission and transparent display to maximize space utilization, offering an innovative entertainment experience. In the mobility sector, innovative technologies integrating autonomous driving and electric power stood out. LG Electronics introduced the concept of a "mobile customized space" in the mobility sector. In the Vision AI-based In-Cabin Sensing solution experience zone, attendees could directly experience technology that detects the driver's and the vehicle's internal condition, helping to prevent traffic accidents. This solution analyzes the driver's gaze, facial expressions, and heart rate in real-time to support safety features such as drowsiness detection and seatbelt use detection. ChatGPT를 사용하여 번역한 기사입니다.

2025-01-14 16:36:58 메트로신문 기자
기사사진
안성시농업기술센터, 도시농업관리사 양성과정 교육생 모집

안성시농업기술센터는 도시농업 활성화를 이끌어갈 전문인력 양성을 위해 오는 2월 12일까지 제6기 도시농업관리사 양성과정 교육생을 모집한다고 14일 전했다. 도시농업관리사는 도시민의 도시농업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도록 도시농업 관련 해설, 교육, 지도 및 기술 보급을 하는 전문가로, 도시농업관리사가 되기 위해서는 필수 교육인 '도시농업관리사 양성과정'을 수료해야 하고, 도시농업 관련 기능사 이상 국가기술자격증 1종을 취득해야 해당 자격이 주어진다. 본 교육은 오는 2월 25일부터 7월 29일까지 매주 화요일 오후 2시에서 6시까지 농업기술센터와 안성맞춤랜드 공공텃밭 등에서 총 22회 진행된다. 이번 과정은 도시농업의 이해, 농업 기술, 교육 프로그램 개발 등의 이론 및 실습 과정으로 총 88시간(이론 43시간, 실습 45시간) 운영된다. 이상인 농업기술센터는 "시민들의 도시농업에 관한 관심과 참여도가 높아지면서 도시농업 전문인력 양성을 위해 이번 교육과정을 마련했다"며, "도시농업의 가치확산과 활성화를 위해 적극적으로 활동할 인재들이 많이 참여하길 바란다"고 말했다. 교육 신청을 희망하는 안성시민은 안성시청 또는 안성시농업기술센터 홈페이지를 참조하여 2월 12일까지 안성시농업기술센터 농산물가공지원센터 2층 농촌자원팀으로 방문 접수 또는 이메일 접수를 하면 된다.

2025-01-14 16:34:29 김대의 기자
기사사진
경기주택도시공사-한국물산업협의회, 물산업 진흥 업무협약 체결

경기주택도시공사(GH)는 14일 수원시 광교사옥에서 한국물산업협의회와 물산업 진흥 및 경쟁력 제고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협약은 양 기관의 첫 협력사업으로, 전 세계적 기후 위기와 급속한 도시화로 인한 효율적 물 관리가 중요한 과제로 부각되고 있는 가운데 도시환경 개선을 위한 다양한 기술 협력이 이루어질 예정이다. 이날 GH 김세용 사장, 한국물산업협의회 홍승관 협의회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진행된 협약식에서 양 기관은 ▲물산업 분야 중소기업·스타트업 지원 관련 역량 및 네트워크 공유 ▲국내외 도시 물인프라 관련 선진 물관리 기술 및 물산업 최신정보 공유 ▲물산업의 발전을 위한 제도 및 정책의 개선방안 등에 대한 자문 ▲양 기관 간 인적·물적 인프라 교류 확대 등을 위해 상호 협력하기로 했다. GH 김세용 사장은 "한국물산업협의회가 보유한 물산업 분야 네트워크와 선진기술, GH의 도시개발 기술력과 해외 전시 노하우를 서로 교류하며 긍정적 시너지를 발휘할 것"이라며, "물산업과 도시개발이 결합된 협력모델을 통해 국내 건설산업과 물관리 부분에서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할 것"이라고 말했다.

2025-01-14 16:24:09 김대의 기자
기사사진
포항시, 포항사랑상품권 지류형 특별 할인 첫 개시

지역 경제 활성화에 마중물 역할을 담당할 포항사랑상품권 지류형의 올해 첫 특별할인 판매가 시작됐다. 포항시는 14일 iM뱅크 포항영업부에서 2025년 포항사랑상품권 지류형 첫 발매 행사를 가졌다고 밝혔다. 이날 행사에는 이강덕 포항시장, 김일만 포항시의회 의장, 나주영 포항상공회의소 회장, 김태형 iM뱅크 경북동부본부장이 참석했으며, 이 시장은 지류형 포항사랑상품권 일일 판매에 직접 나서 은행을 방문한 시민들과 새해 덕담을 나누는 한편 상품권 업무에 노고가 많은 은행 직원들을 격려했다. 포항시는 포항사랑상품권 10% 할인발행을 대폭 확대해 연초에 600억 원을 조기 할인하는 특별할인판매를 진행하고 있다. 지난 2일 발행한 포항사랑카드 350억 원이 완판된 데 이어 14일부터 올해 첫 지류형 포항사랑상품권 150억 원을 10% 할인해 특별 판매한다. 또한 지류형 포항사랑상품권의 개인 할인 구매 한도를 10만 원 상향해 최대 30만 원까지 구매할 수 있어 어려운 전통시장과 골목상권의 침체된 소비심리 회복에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 포항시는 내달 3일에도 포항사랑카드 100억 원을 추가 발행해 10% 특별할인 판매를 진행할 계획이다. 2월 개인 구매 한도는 50만 원이며 카드 보유 한도는 70만 원으로 유지된다. 시는 국내외 경기 불황과 불확실성 확대에 따라 지속되는 경기침체에 연초 600억 원 포항사랑상품권 조기 할인 판매가 위축된 지역 골목상권의 소비 진작으로 민생경제 회복은 물론 지역경제 활성화의 마중물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강덕 시장은 "지역 경제가 어려운 상황 속에서도 사용 편의성과 할인 혜택까지 갖춘 포항사랑상품권은 시민들과 소상공인들에게 큰 사랑을 받으며 골목상권에 온기를 불어넣고 있다"며 "앞으로도 시민과 소상공인 모두를 위한 정책 발굴 및 지원에 총력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이날 포항사랑상품권 발매 행사 현장에는 포스코노동조합 임원들이 추운 날씨에 상품권을 사기 위해 기다리는 시민들에게 핫팩을 나눠주며 따뜻한 이웃 사랑을 실천했다.

2025-01-14 16:23:53 최지웅 기자
기사사진
국립창원대, 겨울 방학에도 ‘코드하우스’ 정상 운영

국립창원대학교 울산·경남지역혁신플랫폼 스마트제조엔지니어링사업단은 14일 코딩 아카데미 '코드하우스(CODEHOWS)'를 겨울 방학 기간에도 활발히 운영한다고 밝혔다. 울산·경남 지역의 소프트웨어(SW) 인력 부족 문제와 관련 산업의 지역 불균형 해소를 위해 설립한 코드하우스는 이달부터 4주간 재학생 및 USG 참여 대학 학생들을 대상으로 웹 프로그래밍 기초 과정을 개설, 교육생 오리엔테이션을 진행하고 현재 교육 중이다. 이번 특화 교육 과정은 울산·경남 지역 대학생, 특히 USG 참여 대학 학생들의 SW 역량 강화를 목표로 설계됐다. 초보 개발자들을 위한 맞춤형 프로그램으로 구성된 이번 과정은 ▲HTML5 ▲CSS3 ▲JavaScript 등 웹 프로그래밍의 핵심 기술을 중심으로 이론과 실습이 병행된다. 특히 교육생들은 웹 서비스와 관련된 다양한 기술을 익히고, 이를 바탕으로 자신만의 웹 페이지를 제작해 보는 미니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실무에 가까운 경험을 쌓게 된다. 또 교육생들의 경제적 부담을 최소화하기 위해 수강료 전액 지원은 물론, 일정 요건 충족 시 교육 훈련 지원금까지 지급하는 등 다각적인 지원이 이뤄진다. 이를 통해 SW 인재 양성과 함께 지역 산업 발전의 토대를 마련한다는 계획이다. 임동우 국립창원대 정보통신공학과 교수는 "이번 4주간의 교육이 교육생들에게 단순한 코딩 기술 학습을 넘어 IT 융합 인재가 되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 코딩이 어렵다는 인식을 깨고, 누구나 도전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불어넣는 것이 교육의 목표"라고 말했다. 이재선 국립창원대 울산·경남지역혁신플랫폼 스마트제조엔지니어링사업단장은 "이번 겨울 방학에 진행되는 USG 특화 과정이 교육생들에게 웹 프로그래밍에 대한 기초를 다지고, 개발자로 나아가는 첫 발걸음을 내딛게 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이라며 "참여 학생들에게 아낌없는 지원을 약속한다"고 설명했다.

2025-01-14 16:23:39 이도식 기자
기사사진
함양군, ‘2025 전국민 마음투자 지원사업’ 본격 추진

함양군은 정서적 어려움을 겪는 군민들의 정신건강 증진을 위해 2025년 '전국민 마음투자 지원사업'을 본격적으로 추진한다고 밝혔다. 이 사업은 우울·불안 등 정서적 어려움을 가진 군민들에게 전문 심리 상담 서비스를 제공해 정신건강을 돌보고 건강한 삶을 지원하기 위한 프로그램이다. 지원 대상은 ▲정신건강복지센터, 대학교상담센터, 청소년상담복지센터, 위(Wee)센터/클래스, 정신의료기관 등에서 심리 상담이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사람 ▲국가 건강검진 중 정신건강 검사 결과에서 중간 정도 이상의 우울함이 확인된 사람 ▲자립 준비 청년 및 보호 연장 아동 등이다. 이용을 원하는 군민은 각 기관에서 발급한 의뢰서, 진단서 등의 서류를 준비해 주소지 읍·면사무소를 방문하거나, 복지로 누리집 및 모바일 앱을 이용해 신청할 수 있다. 대상자에게는 전문적인 1:1 대면 심리 상담 서비스가 총 8회 제공되며 최대 64만원 상당의 서비스 비용은 소득 수준에 따라 차등 지원한다. 또 거주지와 상관없이 이용이 편리한 제공기관을 자유롭게 선택해 서비스를 신청할 수 있다. 함양군보건소 관계자는 "이번 '전국민 마음투자 지원사업'이 단순히 심리 상담을 지원하는 차원을 넘어, 정서적 어려움으로 고립된 분들에게 새로운 삶의 전환점이 되기를 바란다"며 "군민 누구나 안심하고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다양한 지원책을 강화하고 보다 나은 환경을 조성하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2025-01-14 16:23:29 이도식 기자
기사사진
시흥시 임병택 시장, "시민의 힘으로 민생 회복, K-시흥시 완성"

임병택 시흥시장이 14일 시청 글로벌센터1에서 신년맞이 언론과의 만남을 개최하고, 민생과 미래를 비전으로 한 2025년 시정 운영 계획을 밝혔다. 이날 임 시장은 가장 시급한 과제로 민생 회복을 꼽았으며, 바이오, 시화호, 균형발전을 핵심으로 대한민국 대표도시 K-시흥시 청사진을 완성해 나가겠다고 피력했다. 현재 시흥시는 민생 안정 대책반을 구성하고 다양한 경제 대책을 마련하고 있다. 이달부터 시흥화폐 시루 10% 특별할인을 진행 중이며, 시흥시 전 직원이 지역별 골목상권을 방문, 자율적 소비를 이어가는 지역 상생 프로젝트를 추진할 계획이다. 상반기 재정 신속 집행과 더불어 특정 기간 시흥시 전 지역 시루 가맹점에서 추가 할인을 지원하는 대규모 오프라인 할인도 준비하고 있다. 더불어 산업진흥원 내 상권활성화센터 구축으로 소상공인의 다양한 어려움을 해소하고, 2만 8천여 맞춤형 일자리 창출로 시민의 안정된 삶도 뒷받침한다. 또, 시흥형 일자리 은행제 확대와 시흥형 일학습병행 지원사업 신규 추진으로 지역 경제 회복에 힘을 쏟고, 동장신문고와 시흥돌봄SOS센터 등 동 중심 시민 체감 행정은 더욱더 강화할 계획이다. 임병택 시장은 대한민국 대표 바이오 도시 조성에 대한 비전도 밝혔다. 지난해 경기 시흥 바이오 특화단지를 유치한 시흥시는 올해 단지별 조성을 본격적으로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경기경제자유구역 배곧지구는 선도기업 유치 공모에 종근당과 일동제약 등이 사업의향서를 제출한 상황이고, 시는 향후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KTR) 등과 함께 투자 계획을 확정할 계획이다. 또, (가칭)시흥배곧서울대병원이 지난달 현대건설과 계약을 완료함으로써 2029년 개원을 목표로 올해 본격적인 공사를 시작할 예정이다. 글로벌 바이오 시흥캠퍼스는 이달 중 정식 개소를 통해 연간 1,500명 이상의 바이오 인력을 양성한다. 월곶역세권은 속도감 있는 착공을 통해 초광역 바이오허브단지로 조성하고, 정왕지구는 신속한 개발제한구역 해제를 위한 개발사업 전략구상에 노력한다. 시흥스마트허브는 바이오 소부장 기업 유치 및 소부장 업종 전환으로 바이오 소재 부품 기업 육성 거점으로 조성할 계획이다. 임 시장은 특히 "특화단지 선정의 선결 조건이었던 송전선로 문제 등으로 시민의 걱정과 염려가 있지만, 반드시 확실한 안전을 담보로 추진하겠다"라며 "송전선로 노선이 확정되기까지 다양한 목소리를 내주신 시민 여러분께 깊이 감사드린다"라고 이해를 당부했다. 시화호는 올해 기념사업을 확장하며 세계 속 시화호 도약을 꾀한다. 시흥시는 거북섬 숙박시설과 관광 인프라를 기반으로 국제회의, 전시회, 박람회 등을 유치하며 시화호를 마이스(MICE) 산업의 중심지로 만들고, 유네스코 생태수문학 시범유역 선정으로 시화호의 생태적 가치를 보존하고자 한다. 향후 세계호수회의 유치, 해양치유지구 지정 등에도 주력하며 세계의 이목이 시화호에 집중되도록 노력할 계획이다. 해양레저 클러스터는 올해 상반기 해양생태과학관 개관과 클럽하우스 착공이 목표다. 더불어, 거북섬 수상ㆍ레저스포츠특구 지정에 따라 2029년까지 14개 특화사업에 2,280억 원을 투입하고, 1조 원 규모의 해양수산부 복합해양레저 관광도시 공모사업 유치에도 전략적인 준비를 이어간다. 무엇보다 시화호 회복을 위해 다양한 이해관계가 협력해 온 역사적 가치를 재조명하고, 시화호권 기관 간 연계와 협력에 노력할 것으로 기대된다. 나아가 임 시장은 "도시의 혈관과도 같은 철도망 구축과 이를 기반으로 한 역세권 개발을 통해 지역 전체가 동반 성장하는 균형발전을 이루겠다"라며 균형발전 의지도 밝혔다. 신안산선은 현재 매화역 공사가 원활히 진행 중이며, 오는 2026년 하반기 준공 및 개통을 목표로 속도를 내고 있다. 경강선 월곶~판교 구간은 2030년경 완공이 예상되며 장곡역은 지난해 4월 실시계획 승인 이후 사업이 순조롭게 추진되고 있다. 제2경인선과 신구로선은 민자사업 적격성 조사가 진행 중이며, 신천~신림선 및 광명시흥지구 남북철도와 연계한다는 방침이다. 경기도 GTX 플러스 사업에 포함된 GTX-C 오이도 연장은 제5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에 반영될 수 있도록 경기도, 국토부와 지속적으로 논의할 계획이다. 역세권 개발도 본격화한다. 월곶역세권은 2,710세대 공동주택 조성과 함께 국가첨단 바이오 특화단지 연계를 위해 지난해 10월 바이오 개발계획 변경 용역에 착수했다. 매화지구 도시개발사업은 신안산선 매화역과 3기 신도시 수도권 광역교통망을 연계하는 교통도시 조성을 위해 지난해 7월 시흥도시공사와 업무협약을 체결한 상태다. 또, 서해선 대야역 인근에 2,527세대를 공급하는 대야역세권 도심 공공주택복합사업은 2023년 12월 국토부 도심복합사업 후보지로 선정됐으며, 올 상반기 중 예정지구 지정 추진을 위한 주민 동의 확보에 힘쓴다. 시흥시청역 일원은 주거 공간과 상업시설, 환승주차장 등이 포함된 고밀·복합개발 랜드마크 조성을 목표로 민간 공모를 통해 최종 우선협상대상자를 선정할 계획이다. 특히, 3기 신도시 중 최대 규모인 시흥광명 신도시는 1,271만㎡ 부지에 6만 7천 세대를 공급하는 것으로, 지난해 12월 국토부가 지구계획을 승인했다. 올해 보상 공고를 거쳐 2027년 착공, 2031년 준공을 목표로 대한민국 미래를 이끌 명품 신도시를 만든다는 포부다. 임병택 시흥시장은 "시흥시 모든 정책이 한 몸"이라며 "작은 변화부터 큰 도약까지, 그간의 성과들이 차곡차곡 쌓여 결국 대한민국 대표도시 K-시흥시를 완성해 낼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무엇보다 시민의 힘이 시정의 원동력이다. 시민의 연대와 화합, 배려와 희생정신을 바탕으로, 남은 민선8기도 시민과 함께 힘차게 나아가겠다"라고 말했다.

2025-01-14 16:22:46 김대의 기자
기사사진
평택시 정장선 시장, 반도체 기업 '코스텍시스템' 방문

정장선 평택시장은 지난 13일 반도체 소재·부품·장비 기업 현장 소통을 위해 차세대 반도체 패키징 장비 제조기업인 코스텍시스템㈜(대표이사 배준호)를 방문해 임직원들과 대화를 나누고 주요 연구·제조 시설을 둘러보았다. 정 시장은 지난 6일 삼성전자 평택캠퍼스 방문에 이어 반도체산업의 어려움을 함께 돌파할 수 있는 해답을 소재·부품·장비 기업의 현장에서 듣기 위해 기업체 방문을 이어나가고 있다. 코스텍시스템㈜는 차세대 반도체 고대역폭메모리(HBM) 제조용 본딩·디본딩 장비 및 디스플레이용 전사 장비를 개발하는 내실 있는 기업이다. 외국기업에 의존하던 패키징 장비 분야를 국산화에 성공해 지난해 매출 268억 원을 기록했다. 코스텍시스템 측은 급변하는 반도체 시장 동향에 대응하기 위한 신규 개발에 매진할 계획을 설명했으며, 양질의 연구 인력 확보와 기업 운영을 위한 지자체의 적극적인 도움을 요청했다. 이에 정 시장은 "코스텍시스템㈜과 같이 차세대 반도체 시장의 주력 기술을 보유하고 장비를 개발하는 기업은 평택시 경제의 큰 자산"이라며 감사를 표했다. 또한 "평택시는 반도체 소·부·장 기업들이 성공을 거둘 수 있도록 R&D 과제 지원 및 실무인력양성 사업뿐만 아니라, 주요 반도체 기업·기관들과 네트워킹을 할 수 있는 반도체 콘퍼런스를 개최하는 등 기업 하기 좋은 환경 조성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이후 웨이퍼 이송장비, 웨이퍼 본더 및 마이크로 LED 디스플레이 전사 접합 장비를 개발하는 주요 연구·생산 시설에 대한 설명을 들으며, 반도체 공정장비 국산화의 필요성과 발전 가능성을 공유하는 시간을 가졌다. 한편 평택시는 작년에 반도체산업 종합육성 5개년 계획을 전략적으로 수립해 평택형 반도체산업 생태계 조성을 추진 중이다. 반도체 주요 공정 시험장(테스트 베드) 조성, 수요-공급 기업협의체 구성, 반도체 교육기관 협력체계 구축 등의 구체적인 사업 추진으로 반도체산업을 종합적으로 육성한다는 계획이다.

2025-01-14 16:22:34 김대의 기자
기사사진
광명시, '광명시민건강체육센터' 설계 착수· · ·2027년 12월 준공 목표

광명시가 관내 낡은 공공청사를 종합생활체육시설로 탈바꿈시켜 시민에게 선보인다. 시는 14일 오전 시청 영상회의실에서 '광명시민건강체육센터 건립공사 기본 및 실시설계 용역 착수보고회'를 개최했다. 이 사업은 철산동 379에 있는 낡은 노둣돌 공공청사 건물을 증·개축해 생활체육시설을 지어 체육 복지를 확대하는 것이 목적이다. '광명시민건강체육센터'는 사업비 407억 원을 들여 지하 2층부터 지상 7층까지 연면적 약 7천407㎡ 규모로 조성되며, 2027년 12월 준공을 목표로 추진한다. 시설 내부에는 ▲수영장 ▲다목적체육관 ▲배드민턴장 ▲실내레포츠실 ▲클라이밍 복합공간 ▲유아 공공놀이터 등이 들어설 예정이다. 우선 많은 시민이 증설을 요청했던 수영장이 조성된다. 어린 자녀를 둔 가족을 위한 '유아 풀'도 갖춰 다양한 연령층이 이용하는 공간으로 거듭난다. 농구 등 체육 활동을 하거나 지역행사를 개최할 수 있는 다목적체육관과 많은 시민이 즐기는 배드민턴장도 조성될 예정이다. 또한 실내레포츠실과 클라이밍 복합공간에서는 유산소 운동, 근력 운동 등 체력 단련을 할 수 있고, 온 가족이 함께 즐길 수 있는 유아 놀이터도 마련된다. 이와 함께 체육관 내 국민체력인증센터 설립도 추진한다. 국민체력인증센터는 정부 지원을 받아 국민 체력 수준을 과학적으로 평가하고, 맞춤형 운동 처방과 건강 관리를 지원하는 공공 서비스 기관이다. 설립되면 광명시 최초 국민체력인증센터로서 시민들에게 건강한 생활을 위한 전문적인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박승원 광명시장은 "광명시민의 생활체육에 대한 관심과 수요가 날로 증가하고 있다"며 "모든 시민 곁에 생활체육이 함께 하도록 체육 공간 복지를 강화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한편, 이날 착수보고회에는 광명시 총괄건축가, 공공건축가, 기술자문위원 등이 참석해 설계 공모안과 설계 용역 추진계획을 전문적으로 검토하고 발전 방향을 논의하는 시간을 가졌다. 시는 향후 보고회를 거쳐 오는 12월 광명시민건강체육센터 기본 및 실시설계 용역을 완료할 예정이다.

2025-01-14 16:22:18 김대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