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시, 교육발전특구 시범지역 지정…미래형 교육혁신 본격화
경주시는 지난 7일 교육부로부터 '교육발전특구 시범지역'으로 최종 지정되며 미래형 교육혁신 도시로의 도약을 본격화하고 있다. 이번 지정은 경주시가 지난해 교육발전특구 2차 공모에서 예비지역으로 선정된 데 이어, 올해 교육부 재평가를 통과해 시범지역으로 승격된 성과다. 시범운영 기간은 2024년부터 2026년까지 3년이며, 연차평가를 거쳐 2026년 정식 특구 지정 여부가 결정된다. 교육발전특구 사업은 지자체와 교육청, 대학, 지역 기업 및 공공기관 등이 협력해 지역 특성에 맞춘 교육혁신 모델을 구축하고, 지역산업과 연계한 인재 양성, 정주 여건 개선 등을 종합적으로 추진하는 교육부 주관 공모 사업이다. 경주시는 역사·문화·관광산업과 미래차, 혁신원자력 등 지역 대표 산업 기반을 융합한 '정주형 미래인재 양성 모델'을 제안해 높은 평가를 받았으며, 이번 재평가를 통해 '선도지역'으로 지정되는 성과를 거뒀다. 시는 이번 특구 지정을 계기로 ▲경주형 돌봄체계 시스템과 유보·유초 연계 프로그램 구축을 통한 전 생애 돌봄 기반 강화 ▲MICE 산업과 연계한 특성화고 및 경북형 마이스터고 지정 협약 추진 ▲지자체·대학·기업 협업을 통한 지역특화산업 전문 인재 육성과 혁신기술 개발 ▲청년 정주 지원과 인재 관리 체계를 아우르는 '경주시 인재뱅크지원센터' 설립 등 전략 과제를 본격 추진할 계획이다. 주낙영 경주시장은 "이번 교육발전특구 지정은 경주가 지역산업과 연계한 실질적인 인재 양성에 나설 수 있는 제도적 토대를 마련한 것"이라며 "지역사회, 대학, 기업이 하나 되어 교육 혁신을 완성하고, 인구소멸 위기를 극복하는 지속가능한 성장 모델을 구축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