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2분기 고용률 OECD 38개국 중 28위
지난 2분기 우리나라는 각국 고용률 비교에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치를 또다시 밑돈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 올 들어 전체 취업자 수 증가폭이 둔화하고 40대 및 29세이하 일자리 수가 줄어드는 등 고용상황이 상대적으로 부진한 편이다. 24일 OECD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올해 4~6월에 15~64세 고용률이 69.2%로 집계됐다. OECD 평균(70.1%)에 못 미친 데다 38개 회원국 가운데 28위에 그쳤다. 코로나19 확산 초기였던 2020년에 우리나라 고용률은 1분기(66.7%)를 시작으로 2분기(65.4%), 3분기(65.6%), 4분기(65.6%) 모두 다소 주춤한 바 있다. 2021년에도 65%~67%에 머물다가 2022년과 올해 1분기에 68%대를 기록했다. 최근 69%대로 올라섰으나 여타 주요국 수치를 여전히 따라가지 못하는 모습을 보였다. 올해 2분기 기준 일본이 78.9%로 5위에 올랐다. 일본의 경우, 아이슬란드(84.7%)와 네덜란드(82.5%), 스위스(80.7%), 뉴질랜드(80.3%) 등과 함께 국민 5명 중 4명가량이 직업이 있다고 볼 수 있다. 이어 스웨덴과 호주, 독일, 노르웨이, 덴마크가 75% 이상의 고용률로 상위 10개국에 들었다. 또 에스토니아(11위·76.6%)를 비롯해 체코(14위), 헝가리(15위), 리투아니아(19위), 슬로베니아(20위), 슬로바키아(22위), 폴란드(24위), 라트비아(25위·71.8%) 등도 한국에 앞섰다. 이 밖에 캐나다(12위), 영국(13위), 미국(23위), 포르투갈(21위) 등이 72%~76%의 고용률을 기록했다. 여성에 국한한 고용률은 더 낮았다. 한국은 여성 고용률이 61.4%(30위)로 38개국 중 하위권에 머물렀다. 일본 역시 전체 고용률에 견줘 여자 고용률 순위는 상대적으로 낮았으나 캐나다와 함께 73.3%를 기록해 12위에 올랐다. 이스라엘(23위·68.7%)과 미국(25위·67.4%) 등도 한국보다 높았다. 우리나라는 남성 고용률(76.9%)에서 20위로 중위권에 속했으나 OECD 평균(77.0%)을 넘어서진 못했다. 남자 부문은 네덜란드(86.1%)가 1위, 스위스·일본(84.4%)이 3위 독일(81.0%)이 7위, 영국(79.4%)이 9위, 스웨덴(79.4%)이 10위 등이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달까지 국내 15~29세 취업자 수가 10개월(전년동월대비) 연속으로 줄었다. 40대는 1년 2개월째 감소했다. 통계청 관계자는 "20대 초반에 학업을 하는 재학 비중이 더 높아지고 있다"고 말했다. 청년층 인구가 감소하는 데다 대학 등록비율까지 커서 취업자 수가 줄었다는 설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