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인 떠나는 은행주…하반기 반등하나
실리콘밸리은행(SVB) 파산, 크레디트스위스(CS) 매각 등으로 금융업종에 대한 투자심리 악화가 지속되고 있다. 특히 외국인 투자자들은 지난 3월부터 국내 대표 은행주인 4대 금융지주 주식을 1조원가량 팔아치우고 있다. 은행주들의 실적 회복이 어려울 것으로 보이는 가운데 일부 전문가들은 실적과 주주 환원의 안정적 방어 여부가 주가 반등의 핵심이 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31일 한국거래소에 우리·신한·하나·KB 등 4대 금융지주의 주가는 부진한 흐름을 지속하고 있다. 3월 초에 비해 신한지주는 9.78% 하락했으며, 하나금융지주는 8.70% 떨어졌다. 같은 기간 KB금융과 우리금융지주는 각각 6.43%, 1.80% 내렸다. 은행주 하락세는 정부가 올해 초부터 은행의 공공성을 강조하면서 사회적 책임 이행을 지시하는 등 규제 강화 우려가 커진 데다 지난 3월 글로벌 은행 파산 사태 등의 악재로 글로벌 금융불안이 이어지고 있어 금융업종 전반에 대한 투자심리가 위축됐기 때문이다. 또한 대출 성장세가 둔화되고, 금융당국의 대출금리 인하 권고가 겹치면서 은행권 전반의 순이자마진(NIM)이 하락 추세를 보이는 가운데 경기 침체 등으로 대손비용이 증가해 실적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다. 이에 따라 외국인 투자자들은 3월부터 신한지주(3998억원), 하나금융지주(2121억원), KB금융(3051억원) 우리금융지주(1054억원)를 순매도하며 비중을 줄였다. 최정욱 하나증권 연구원은 "현 은행 평균 주가순자산비율(PBR)은 0.29배로 0.3배를 하회했다"며 "낮아진 가격에도 금리 상승 및 경기 둔화와 관련된 충당금 불확실성 우려가 계속되고 있는 데다 미국 중소 지역은행 관련 시스템 리스크 우려도 조기에 해결되지 못하면서 국내 은행주에 대한 투자심리가 좀처럼 되살아나지 못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전문가들은 당분간 은행주가 반등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고 있다. 하반기에도 금리 약세, 대출 부진, 규제 강화로 순이자마진 하락세가 이어질 것으로 전망되고, 경기 불확실성에 대비해 보수적인 충당금 적립 기조도 유지될 것으로 예상되서다. 은경완 신한투자증권 연구원은 "마진하락, 성장률 둔화, 건전성 악화 등 업황 역시 실적 훼손 우려를 키웠다"며 "극단적으로 밸류에이션이 낮은 만큼 추가적인 하방 리스크는 제한적이나 동시에 마땅한 반등 트리거(방아쇠)도 찾기 어렵다"라고 말했다. 다만 추가 실적 개선 기대 어려운 만큼 실적과 주주 환원의 안정적 방어 여부가 주가에 중요한 변수로 작용할 것으로 전망된다. 설용진 SK증권 연구원은 "주주환원의 핵심 이슈는 현재 금융당국이 추진 중인 자본적정성 제도 개선으로 구체적인 요구사항 등이 공개되기 전까지는 주주환원 관련 불확실성이 지속될 것"이라며 "현재 상황에서는 기본적인 자본력이 높아 규제 강화에도 안정적으로 주주 환원 정책을 이행할 수 있는 은행이, 실적 방어 측면에서는 은행업 하락 국면을 고려했을 때 다각화된 사업구조를 보유한 은행이 유리하다"고 분석했다. 조아해 메리츠증권 연구원은 "우려 대비 양호한 실적 고려 시 하반기 배당 기대감은 유효하다"며 "은행들의 중장기적 주주환원율은 상향 지속될 전망으로 자본 비율이 높은 은행들이 투자에 유리할 것"이라고 말했다. /원관희기자 wkh@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