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국제비엔날레2018' 성공적인 도약
'강원국제비엔날레2018'가 문화올림픽으로 힘찬 도약을 했다. 지난 2일 오후 강릉녹색도시체험센터에서는 '강원국제비엔날레2018' 개막을 앞두고 프레스프리뷰 및 기자간담회가 진행됐다. 이날 자리에는 오일주 조직위원장, 김병호 운영위원장, 홍경한 예술총감독이 참석했다. 오일주 조직위원장은 "'2018 평창 동계올림픽' 개최로 인해 세계인의 시선이 온통 강원도에 쏠려있다. '강원국제비엔날레' 역시 세계인이 관심가질만한 주제로 꾸며졌으며, 한국을 대표하는 문화축제로 자리매김하길 기원한다"고 소망을 내비쳤다. '악의 사전'이라는 주제로 꾸며지는 '강원국제비엔날레2018'은 3일부터 3월 18일까지 강릉녹색도시체험센터 일원에서 만날 수 있다. 동시대 국내외 미술작가 23개국 58여 팀, 110여 작품으로 구성된 주제전시와 부대행사(개막식, 퍼포먼스, 아투미투 프로그램, 평화프로젝트155, 폐막식 등), 학술행사 총 세 카테고리로 구성됐다. 홍경한 예술감독은 "'악의 사전'이라는 주제는 올림픽과는 다소 맞지 않는 뉘앙스를 풍긴다. 하지만, 많은 분이 이면을 바라봐주시고, 호응해주셔서 전시를 구성하는 데에 별 문제가 없었다"며 "우리나라에서는 쉽게 접할 수 없는 비유럽권, 중동쪽 작가들을 많이 만날 수 있다. 그 외에 영국, 미국 작가들의 작품도 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주제인 '악의 사전'은 궁극적으로 두려움, 공포, 분노, 애도를 비롯해 마주할수록 고통스럽고 비극적인 역사와 현실, 고통으로부터의 직시와 해방을 말한다. 전시가 지향하는 지점은 '인간다움' '인간 가치'에 대한 물음이다. 보다 나은 미래를 준비하고 모든 삶을 보호할 수 있는 공동의 선善에 관한 국제적 예술적 대화를 나누고자함이다. 홍 감독은 전시가 열리는 공간인 강릉녹색도시체험센터에 대해 "원래 이 공간이 미술관을 위한 공간이 아니다. 때문에 미술관 형식으로 공간을 바꾸는데 주력했고, 건축물 인근에 가건축물을 세워 또 다른 전시공간으로 꾸몄다"며 "강릉녹색도시체험센터인 A홀은 사진과 회화, 정적인 느낌의 작품들이 주로 전시됐으며, 가건물인 B홀에는 역동적인 설치미술과 행위예술을 만날 수 있다"고 말했다. 특히 B홀은 혼돈 속에서 현실을 살아가고 있는 현대인을 투사하고자 했다고 덧붙였다. A홀에서는 라파엘 고메즈 바로스(콜롬비아) 작가의 '집 점령'을 만날 수 있다. 건물 내부에 배치된 400여 개의 개미 조각을 통해 실향과 강제 이주 이민자들의 문제를 제기한다. 탐만 아잠(시리아)의 작품 시리즈도 만날 수 있는데, 그의 작품은 파괴된 도시 풍경을 표현주의적 구성으로 그려냄으로써 그의 조국에서 일어났던 대대적인 파괴 행위를 관객에게 전할 예정이다. 국내 한효석, 이갑철, 조덕현, 장지아, 故 박종필 등 30명의 작가와 해외 28명의 작품이 전시장을 가득 채운다. 홍경한 예술감독이 참여 작가 선정 이유와 전시 만족도에 대해서도 입을 열었다. "시리아의 하람 알리 작가의 경우, 세계적으로도 왕성하게 활동하고 있는 작가입니다. 시리아 작가 20명 정도와 접촉했는데 인지도, 활동 영역의 왕성함, 그리고 '악의 사전'이라는 '강원국제비엔날레2018'의 주제와 부합하는지를 고려해 선정했죠. 그리고 콜롬비아에서 온 작가도 마찬가지다. 내전을 작품에 투사하는 것이 우리가 지향하는 주제와 부합한다고 생각해 섭외했습니다. 전시 만족도에 대해서 말씀드리자면, 부산이나 광주비엔날레에 비해 전시공간은 협소하지만, 수준이 떨어진다고는 절대 생각하지 않습니다. 다만, '강원국제비엔날레'가 열리는 강원도가 더 큰 문화적 가치를 획득하려면 물리적 발전이 있어야 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한편, '강원국제비엔날레2018'에 전시된 작품 중 신작 비중은 70% 정도다. 공간(강릉녹색도시체험센터)과 환경에 따라서 재해석된 작품도 다수 있다. 3월 18일까지 전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