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카카오, 정부·기업 반박 댓글 시행 논란 "정부가 포털 댓글까지 통제"
[메트로신문 정문경 기자]다음카카오가 자사의 사이트에 유통되는 모든 언론사 기사에 대해 정부, 기업 등 이해 당사자가 직접 댓글을 달 수 있는 서비스를 도입한다. 다음카카오는 "이해 집단간 양방향 소통 창구로 이용할 수 있을 것"이라 밝혔지만 언론의 자유 침해 등과 같은 부정적인 측면도 지적되고 있다. 다음카카오는 온라인 기사에 정부, 기업 등이 기사에 직접 댓글을 다는 '오피셜 댓글' 서비스를 정식으로 도입한다고 22일 밝혔다. 이 서비스는 정부나 기업이 직접 반론을 달고 해명할 수 있도록 뉴스 화면에 별도의 공식 댓글난을 신설한 뒤, 당사자들에게 공식 댓글용 아이디(ID)를 부여하는 방식으로 운영된다. 정부나 기업 등은 이 공식 아이디를 활용해 기사와 관련한 해명이나 반론, 설명 등을 자유롭게 개재할 수 있다. 이 서비스는 해당 기사를 작성한 기자도 이용할 수 있다. 댓글을 통해 기자와 독자, 이해당사자 등이 함께 소통하는 장으로 활용한다는게 다음카카오의 생각이다. 다음카카오는 "언론사는 취재 후일담이나 후속보도를 독자와 나누는 쌍방향 소통창구로, 기업이나 정부는 기사에 대한 입장을 밝히는 칭구로 이용할 수 있을 것"이라며 "모바일의 특성상 생기는 잘못된 정보의 빠른 확산을 어느 정도 예방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소통이 목적이라는 다음카카오의 설명과는 달리 이 서비스가 언론과 표현의 자유를 훼손할 것이라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한 포털업계 관계자는 "정부나 기업은 이미 별도의 홍보조직 등을 통해 반박자료 등 언론 대응이 충분히 가능한데, 공식 댓글을 달 수 있도록 허용하는건 정부나 기업의 입장을 과도하게 배려한 조치"라며 "기사를 작성하는 언론사의 경우 정부와 기업의 즉각적인 대응에 부담을 느껴 취재나 기사 작성에 큰 제약을 받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번 발표는 언론과 온라인 여론을 다스리려는 현 집권세력의 움직임에 연관선상에 있다는 의혹도 제기되고 있다. 포털 사이트 중에서 현재 세무조사 중인 다음카카오만 먼저 댓글 서비스를 시행 발표한 부분이 오비이락치고는 공교롭다는 것이다. 한 IT업계 관계자는 "다음카카오의 경우 작년부터 감청 논란 등으로 줄곧 정부와 불편한 관계였고, 최근에는 대규모 세무조사도 받고 있다"며 "다음카카오가 정부와 대기업 등에 유리하게 댓글 제도를 바꾸는 것에 대해 정부가 통제한다는 의혹을 가질 수 밖에 없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지난 11일 현 정권의 언론장악 의혹을 제기한 언론개혁시민연대(언론연대)도 이번 다음카카오의 서비스 발표에 대해 "다음카카오와 같은 포털 사업자에게는 이용자 유입을 막을 수 있는 부정적인 서비스이고 자해행위와 마찬가지인 결정이라고 생각된다"며 "이 같은 결정을 시민단체에 설명 공청회 한번 없이 독단적으로 결정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못하다"고 비판했다. 또한 언론연대는 "공식 댓글을 달 수 있는 이해 관계자들은 보도에 대해 언중위와 같은 반론권을 행사할 수 있는 제도적 방안들이 충분히 마련된 상태인데 포털의 댓글까지 통하고 싶어하는 듯 하다"며 "공개 댓글로 인해 인터넷 공간에서 표현의 자유를 억압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