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일 2차 개학… 400만명 동시 접속 준비 됐나?
16일 2차 개학… 400만명 동시 접속 준비 됐나? 교육부 "초등은 e학습터, 중·고는 EBS 온라인 클래스로 접속 분산" 유은혜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이 14일 오후 경기도 안양시 덕천초등학교에서 초등학교 온라인 개학에 따른 긴급 돌봄 및 원격수업 지원 현장 점검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순차적인 온라인 개학에 따라 원격 수업에 참여하는 학생들이 많아지면서 온라인 학습 플렛폼이 접속량을 감당할 수 있을지 우려가 나온다. 9일 1차 개학 이후 86만명이 원격 수업을 시작한 뒤 여러 차례 접속 지연 등이 발생했고, 16일 2차 온라인 개학 이후 원격 수업 참여자는 400만명으로 예상돼 교육당국에 비상이 걸렸다. 15일 교육부에 따르면, 한국교육학술정보원(KERIS)이 운영하는 온라인 학습관리시스템 e학습터와 한국교육방송공사(EBS)의 온라인 클래스에서 전날(14일) 잇따라 로그인 오류 등 접속 장애 현상이 발생해 학생들이 원격 수업에 불편을 겪었다. KERIS는 e학습터 로그인 장애 발생에 따라 서버를 재가동하는 등 긴급조처 후 모니터링하는 한편, 15일까지 관련 인프라를 증설·확대할 계획이다. KERIS는 e학습터 로그인 장애는 서버 용량 문제는 아니라고 보고 있다. KERIS 관계자는 "서버의 용량은 충분한 상황"이라면서 "일부 지역에서 교사가 ID를 발급해준 학생들은 문제가 없는데 에듀넷이라는 사이트 ID로 로그인하려는 경우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KERIS는 서비스 안정을 위해 권역별 시스템 분산과 인프라를 확충하고 서비스 이용 문의 대응을 위한 콜센터 인력 충원 등에 나서기로 했다. EBS 온라인 클래스 역시 지난 9일 온라인 개학 첫날에 이어 13~14일 이틀 연속 수시간 학생들의 접속이 지연되는 현상이 발생했다. EBS는 14일 방송자막을 통해 "일부 고교 신규접속자 온라인클래스 지연 현상이 발생했다"면서 "대부분 복구됐으며 이른 시간에 완전히 복구할 예정"이라고 알렸다. EBS는 접속단계 간소화와 로그인 처리 개선 분산 조치로 접속 지연에 대비하고 사용패턴에 따른 시스템 부하 테스트 실시, LG CNS 등이 참여하는 현장 기술상황실을 구성해 실시간 대체 체계를 마련해 운영키로 했다. 중·고 3학년만 원격 수업이 진행되면서 이 같은 접속 장애가 발생하자, 16일 고등학교 1~2학년, 중학교 1~2학년, 초등학교 4~6학년이 추가로 온라인 개학과 원격 수업이 진행될 경우 접속 장애 현상이 더 늘 것이란 우려가 나온다. 오는 20일부터는 초1~3학년이 추가 온라인 개학해 접속자는 더 증가한다. 교육부에 따르면, 지난 9일 온라인 개학 이후 원격 수업 대상자는 약 86만명이었고, 16일 2차 온라인 개학 대상자는 약 312만명으로 16일 이후 원격 수업 대상자는 398만5000여명이 될 것으로 추정된다. 교육부는 원격 수업 대상자가 큰 폭으로 증가함에 따라 초등학생은 e학습터로, 중학생과 고등학생은 EBS 온라인 클래스로 분산해 시스템 과부하를 방지키로 하고, 이를 각 시도교육청과 학교에 안내했다. 초등학생이 주로 이용하는 EBS 초등학교 국어, 수학, 사회, 과학 교과의 초등 만점왕 등의 콘텐츠를 20일까지 e학습터로 이관 탑재해, EBS 온라인클래스 접속 없이도 원격 수업이 가능하도록 조치할 예정이다. 이미 개설돼 운영 중인 초등학교 EBS 온라인클래스는 계속 사용이 가능하다. 아울러 학교 인터넷 네트워크 사전 점검을 실시하고, 학교에서 이미 편성된 학교운영비 등을 활용해 원격 수업을 위한 무선공유기(Wifi) 등 원격수업 기자재를 신속히 구입토록 지원키로 했다. /한용수기자 hys@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