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학 연기 중 학생 생활관리 안됐다"… 학원 못가니 재택 사교육 증가
"개학 연기 중 학생 생활관리 안됐다"… 학원 못가니 재택 사교육 증가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초중고 학생·학부모 9만4624명 '개학 연기에 따른 원격학습 현황조사' 결과 초중고 학생 40.3% "하루 4시간 이상 휴대폰 사용" 전국 초등학교 1~3학년이 온라인으로 입학과 개학을 하는 20일 서울 용산초등학교 1학년 교실 모니터에 쌍방향 온라인 입학식을 하는 학생들의 모습이 보이고 있다. /뉴시스 코로나19에 따른 초중고 학생들의 학원, 가정 학습시간 변화 /Keris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에 따른 개학 연기 기간 중 초중고 학생들은 평소 방학때보다 학습시간은 줄고 잠을 자거나 휴식하는 시간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시간 중 학원 대신 집에서 하는 사교육이 늘었고, 학생 10명 중 4명은 하루 4시간 이상 휴대폰을 사용했다. 개학 연기 기간 동안 학생들의 생활 관리가 방학 기간보다 미흡했다는 지적이 나온다. 21일 한국교육학술정보원(KERIS)이 최근 학부모 5만5380명과 초중고 학생 3만9244명 등 총 9만4624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코로나19 개학 연기에 따른 원격학습 현황조사' 결과 이 같이 나타났다. 조사는 코로나19 이후 개학이 재차 연기되던 3월 27일∼4월 3일 온라인으로 진행됐다. 설문 문항은 학생들이 처음 겪는 장기간 개학 연기 중 일과시간을 어떻게 활용하고 휴대폰이나 컴퓨터를 얼마나 사용하는지, 원격 학습은 어떻게 하는지 등 개학시와 방학 기간으로 구분해 비교해 볼 수 있도록 구성됐다. 조사 결과 학생들은 평소 개학시 학습 시간은 9.0시간, 휴식 3.2시간, 계발 1.9시간을 썼고, 수면시간은 8.1시간이었다. 학습 시간 중 학교 학습이 5.6시간으로 가장 많았고, 휴식 시간 중엔 유튜브 등 영상시청이 1.5시간으로 가장 많았다. 방학 기간 중에는 학습시간(4.5시간)이 절반 수준으로 감소한 대신 휴식(4.6시간)이나 계발(2.5시간)에 더 많은 시간을 할애했고 수면시간(9.0시간)도 학기중보다 늘었다. 휴식 시간 중 유튜브 등 영상시청(2.1시간)이 더 많아졌고, 학습 시간 중엔 학원에서 학습(1.8시간)이 가장 많았다. 반면, 코로나19에 따른 개학 연기 기간 중 학생들의 일과는 학습시간(4.4시간), 휴식(4.9시간), 계발(2.4시간) 등 방학 기간과 대체로 비슷했으나, 수면시간(9.1시간), 휴식은 늘고 학습시간은 줄었다. 휴식 시간 중 가장 많은 시간은 유튜브 등 영상시청(2.2시간)이었고, 학습시간 중 가정에서 디지털 기기로 학습하는 시간(1.7시간)이 가장 많았다. 특히 개학 연기 기간은 방학과 비교해 학원에서 학습하는 시간(-0.7시간)이 가장 많이 감소하고 가정에서 디지털 기기를 활용한 학습(+0.5시간)이 가장 많이 증가한 것은 상당수 오프라인 학원이 휴업한데 따른 것으로 보인다. 개학 연기 기간 중 학생들은 휴식시간은 방학과 비교해 0.3시간 늘었는데, 그 가운데 유튜브 등 영상시청시간이 2.2시간으로 가장 많았고, 이어 온·오프라인 게임(1.8시간)이 많았다. 유튜브 등 영상시청시간과 온·오프라인 게임 시간은 방학과 비교해 0.1시간씩 증가했고, 평소 학기중과 비교하면 각각 0.7시간씩 늘었다. 독서나 취미활동 등 계발시간은 방학과 비교해 총 0.1시간 감소했는데, 독서(0.6시간)나 취미활동(1.0시간)은 변화가 없었으나, 운동 시간(0.8시간)은 0.1시간 줄었다. 학생 10명 중 4명(40.5%)은 개학 연기 기간 중 하루 4시간 이상 휴대폰을 사용한다고 답해 방학 기간 대비 12.1%포인트 증가했다. 하루 평균 휴대폰 사용시간은 평균 2.8시간으로 일반학기(1.8시간), 방학중(2.6시간)보다 많았다. 컴퓨터 사용 시간도 하루 4시간 이상 사용한다는 학생이 20.0%로 방학기간과 비교해 9.1%포인트 증가했고, 하루 평균 컴퓨터 사용 시간은 2.0시간으로 학기중(0.9시간), 방학중(1.5시간)보다 길었다. 개학 연기 기간에 집에서 온라인으로 학습한 학생들은 주로 'e학습터'나 디지털교과서 등 교육당국이 제공하는 학습자료(26.2%)나 EBS(24.9%)를 이용했다고 답했다. 민간 사교육 업체가 제공하는 인터넷 강의나 유튜브·학습지 등으로 공부했다는 답변 비율도 22.6% 수준이었다. '개학 연기 기간을 알차게 보낼 수 있는 아이디어'를 물은데 대해 학생들은 '책을 읽고 풀 수 있는 문제를 제출한 다음에 온라인에서 선생님과 실시간 독서 토론 형태의 수업을 하는 방식', '교육부가 일괄적으로 강의를 제공해 전국 같은 학년 학생들이 일별로 같은 시간표로 공부하면 좋을 것 같다', '수행평가에 반영하기에는 타인(학원 선생님이나, 부모님 등)의 도움을 받을 수 있어 무리가 있다. 출석하지 않으면 결석 처리가 되는 온라인 화상 강의가 적합하다' 등의 의견을 냈다. /한용수기자 hys@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