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경제>창업/취업
기사사진
덕성여대, 2026 수시 최종 경쟁률 17.70대 1…논술전형 약학대학 404대 1

덕성여자대학교(총장 김건희)가 12일 오후 6시 2026학년도 수시모집 원서접수를 마감한 결과 총 784명 모집에 1만3879명이 지원해 평균 17.70대 1의 경쟁률을 보였다고 밝혔다. 최고 경쟁률은 올해 신설한 논술전형 약학대학의 404.00대 1이었다. 전형별 경쟁률을 살펴보면 정원내 모집은 ▲고교추천전형 5.74대 1 ▲기회균형전형Ⅰ_사회통합 5.64대 1 ▲덕성인재전형Ⅰ 8.07대 1 ▲덕성인재전형Ⅱ 10.43대 1 ▲기회균형전형Ⅱ_사회통합 17.93대 1 ▲논술전형 58.03대 1 ▲미술실기전형 32.52대 1로 나타났다. 정원외 모집은 ▲기회균형전형Ⅰ_특성화고교 6.92대 1 ▲기회균형전형Ⅰ_농어촌학생 7.14대 1 ▲기회균형전형Ⅰ_기초생활수급자 등 12.21대 1 ▲기회균형전형Ⅰ_장애인 등 대상자 6.80대 1의 경쟁률을 보였다. 이 가운데 논술전형 약학대학이 5명 모집에 2,020명이 지원해 404.00대 1의 최고 경쟁률을 기록했으며 논술전형 글로벌융합대학(인문사회)이 65명 모집에 3871명이 지원해 59.55대 1, 미술실기전형 기초디자인이 26명 모집에 1207명이 지원해 46.42대 1로 뒤를 이었다. 그 외에도 논술전형 글로벌융합대학(유아교육과) 39.60대 1, 미술실기전형 인체수채화 29.10대 1, 미술실기전형 기초소양 26.10대 1, 논술전형 과학기술대학 19.42대 1의 순으로 높은 경쟁률을 기록했다. 덕성여대는 10월 18일(토)~19일(일) 미술실기고사, 11월 15일(토)~16일(일) 면접평가, 11월 23일(일) 논술고사를 실시할 계획이며, 12월 12일(금) 최초합격자를 발표한다. 충원합격자 발표는 12월 17일(수)부터 23일(화)까지 진행될 예정이다. 자세한 사항은 덕성여대 입학홈페이지를 확인하면 된다. /이현진기자 lhj@metroseoul.co.kr

2025-09-12 20:17:24 이현진 기자
기사사진
국민대 수시모집 논술전형 부활 따라 경쟁률 128대 1 기록

국민대학교(총장 정승렬) 2026학년도 수시모집 경쟁률이 평균 23.84대 1을 기록했다고 12일 밝혔다. 이는 지난해 경쟁률 13.06대 1에 비해 대폭 증가한 수치다. 이날 18시 마감된 수시모집에는 2110명 모집정원에 총 5만305명이 지원했다. 가장 높은 경쟁률을 기록한 모집단위는 논술전형의 경영학부 경영학전공으로, 11명 모집에 총 3538명이 지원해 321.64대 1을 기록했다. 국민대 2026학년도 수시모집의 가장 큰 특징은 논술전형(226명 모집에 2만9034명 지원, 128.47대 1)이 부활했다는 점이다. 계열별 최고 경쟁률을 살펴보면 인문계에서는 경영학전공 외에도 미디어전공이 2명 모집에 596명이 지원해 298대 1, 자연계는 소프트웨어학부가 7명 모집에 934명이 지원해 133.43대 1을 기록했다. 전형별로는 교과성적우수자전형이 601명 모집에 3965명이 지원해 6.60대 1, 국민프런티어전형이 696명 모집에 1만475명이 지원해 15.05대 1의 경쟁률을 나타냈다. 이외에도 높은 지원 경쟁률을 기록한 학과는 교과성적우수자전형의 경우 미디어전공으로, 4명 모집에 60명이 지원하면서 15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국민프런티어전형의 경우 시각디자인학과가 12명 모집에 564명이 지원해 47대 1의 경쟁률을 보였다. /이현진기자 lhj@metroseoul.co.kr

2025-09-12 20:14:52 이현진 기자
기사사진
중앙대 수시모집에 7만 2807명 지원…서울캠 30.39대 1

중앙대학교(총장 박상규)는 12일 2026학년도 수시모집 원서접수를 마감한 결과 2827명 모집에 7만 2807명이 지원해 25.75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캠퍼스별로 보면 서울캠퍼스의 경쟁률이 높게 나타났다. 서울캠퍼스는 2138명 모집에 6만 4971명이 지원해 30.39대 1의 경쟁률을 보였다. 전형유형별로 보면 484명 모집에 3만 7325명이 지원한 논술전형의 경쟁률이 77.2대 1로 지난해 대비 소폭 상승했다. 이어 실기전형이 22.36대 1로 전년과 비슷한 수치를 보였으며, 학생부종합전형 18.14대 1, 학생부교과전형 8.49대 1 순으로 이어졌다. 가장 높은 경쟁률을 보인 모집단위는 논술전형에서 모집한 약학부로 133.83대 1의 경쟁률을 보였다. 동일 전형의 의학부도 127.5대 1의 높은 경쟁률을 보이며, 수험생들의 강한 의약학 계열 선호도를 다시 한번 입증했다. 이외에도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부 119.5대 1, 전자전기공학부 106.94대 1, 생명과학과 104.17대 1 등이 높은 경쟁률을 기록했다. 중앙대 연극전공의 인기도 뜨거웠다. 지난해 대비 지원자가 큰 폭으로 늘면서 지난해 98.29대 1이던 경쟁률이 121.5대 1로 대폭 상승했다. 이외에도 전형별로 높은 경쟁률을 보인 학과들이 눈길을 끌었다. 학생부종합전형인 CAU융합형인재에서는 융합공학부(61.83대 1), 에너지시스템공학부(42대 1), 화학공학과(40.4대 1)의 경쟁률이 높았으며, CAU탐구형인재에서는 생명과학과(57대 1),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부(37.2대 1), 화학과(33.75대 1)의 경쟁률이 두드러졌다. 중앙대는 "서울권 주요 대학 중에서도 단연 두드러지는 최상위권 경쟁률을 올해도 유지했다"고 말했다. /이현진기자 lhj@metroseoul.co.kr

2025-09-12 20:10:19 이현진 기자
기사사진
경희대, 2026 수시에 총 6만7709명 지원…최종 경쟁률 22.84대 1

경희대학교(총장 김진상)이 9일 오전 10시부터 12일 오후 6시까지 '2026학년도 수시모집 원서접수'를 실시한 결과 총 2965명 모집에 6만7709명이 지원해 22.84대 1의 경쟁률이 나타났다고 12일 밝혔다. 경희대는 이번 수시모집을 통해 총 2965명을 선발한다. 전형별로는 학생부교과전형에서 615명, 학생부종합전형 1546명, 논술우수자전형 474명, 실기우수자전형 330명 등을 선발한다. 전형별 경쟁률을 살펴보면, 서울캠퍼스 논술우수자전형은 247명을 모집하는데, 2만2540명이 지원해 91.26대 1의 경쟁률을 보였다. 국제캠퍼스 실기우수자전형(연극·뮤지컬연기)는 15명 모집에 1196명이 지원해 79.73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의예과는 전반적으로 높은 경쟁률을 보였다. 논술우수자전형에서는 15명 모집에 1500명이 지원해 100.00대1, 학생부종합(네오르네상스전형)은 25명 모집에 706명 지원으로 28.24대 1, 학생부교과(지역균형전형)도 15명 모집에 115명 지원으로 7.67대 1의 경쟁률을 보였다. 서울캠퍼스 논술우수자전형에서는 한의예과(인문)가 5명 모집에 2600명이 지원해 520.00대 1의 높은 경쟁률을 보였다. 같은 전형의 치의예과는 11명 모집에 837명 지원으로 76.09대 1, 한의과대학(자연)은 16명 모집에 998명 지원으로 62.38대 1, 약학과는 7명 모집에 669명 지원으로 95.57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이 전형의 자율전공학부는 8명 모집에 743명이 지원해 92.88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서울캠퍼스 학생부종합(네오르네상스전형)은 567명 모집에 9289명이 지원해 16.38대 1의 경쟁률이 나타났다. 이 전형에서 자율전공학부는 18명 모집에 393명이 지원해 21.83대 1, 한의예과(인문)이 9명 모집에 228명 지원으로 25.33대 1, 치의예과는 19명 모집에 408명 지원으로 21.47대 1, 약학과는 9명 모집에 466명이 지원해 51.78대 1의 경쟁률이 나타났다. 국제캠퍼스 학생부종합(네오르네상스전형)은 501명 모집에 8558명 지원으로 17.08대 1의 경쟁률을 보였다. 이 전형의 자유전공학부는 12명 모집에 304명이 지원해 25.33대 1, 기계공학부는 22명 모집에 550명 지원으로 25.00대 1, 환경학및환경공학과는 9명 모집에 236명 지원으로 26.22대 1, 컴퓨터공학부 컴퓨터공학과는 7명 모집에 141명이 지원해 20.14대 1, 컴퓨터공학부 인공지능학과는 4명 모집에 93명이 지원해 23.25대 1, 우주과학과 12명 모집에 235명 지원으로 19.58대 1, 디지털콘텐츠학과는 3명 모집에 87명 지원으로 29.00대 1의 경쟁률을 보였다. 올해 처음 모집하는 경영회계계열은 학생부교과(지역균형전형)에서 38명 모집에 280명이 지원해 7.37대 1의 경쟁률을 보였다. 학생부종합(네오르네상스전형)에서는 63명 모집에 969명 지원으로 15.38대 1, 학생부종합[기회균형전형Ⅰ(국가보훈·농어촌·수급자·자립아동 등)]에서 9명 모집에 123명이 지원해 13.67대 1, 학생부종합(기회균형전형Ⅱ)은 6명 모집에 139이 지원해 23.17대 1, 논술우수자전형에서는 28명을 모집하는데 2621명이 지원해 93.61대 1의 높은 경쟁률을 보였다. 기계공학부는 학생부교과(지역균형전형)는 2명 모집에 10명이 지원해 5.00대 1, 학생부종합(네오르네상스전형)은 22명 모집에 550명 지원으로 25.00대 1, 학생부종합[기회균형전형Ⅰ(국가보훈·농어촌·수급자·자립아동 등)]에서는 3명 모집에 49명 지원으로 16.33대 1, 학생부종합(기회균형전형Ⅱ)은 4명 모집에 87명 지원으로 21.75대 1, 논술우수자전형은 30명 모집에 1,038명 지원으로 34.60대 1을 기록했다. 송주빈 경희대 입학처장은 "의대 정원 조정에 따라 의학계열과, 개업 효과가 사라진 열린전공 자율/자유전공학부 지원자가 전체적으로 줄어 전체 경쟁률이 소폭 하락한 것으로 보인다"라고 밝혔다.

2025-09-12 20:07:47 이현진 기자
기사사진
[대학가 오늘]서울사이버대, 학생역량 관리시스템 오픈 外

서울사이버대학교(총장 이은주)가 지난 1일부터 사이버대학 최초로 AI 추천 기능을 탑재한 '학생역량(이력) 관리 시스템'을 개발, 재학생과 휴학생 및 졸업생에게 시범 서비스를 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번에 개발된 시스템은 학생들이 자신의 강점과 역량을 객관적으로 진단하고, 이를 기반으로 맞춤형 학습과 진로 설계를 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특히 포트폴리오 작성 기능을 통해 교과 및 비교과 활동, 자격증, 수상 내역 등을 체계적으로 기록하고 관리할 수 있어 향후 취업이나 대학원 진학 시 경쟁력을 높일 수 있다. 더불어 생성형 AI 추천 기능을 새롭게 적용, 학생들의 성향 진단 결과를 기반으로 교과, 비교과, 진로, 취업 분야를 맞춤 추천한다. 이외에도 역량관리, 학습/경력관리, 진로탐색, 통합상담(멘토링), 취업지원, 학생자치활동 등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며, 전문 커리어코치(상담사)의 지원을 통해 학업 및 진로 고민 해결에도 실질적인 도움을 받을 수 있다. 향후 서울사이버대학은 이번 시범 운영을 통해 학생 의견을 반영한 후 내년에 정식 서비스를 선보일 예정이다. 서울사이버대는 "이번 시스템이 학생 개개인의 성장을 촉진하는 것은 물론 대학의 교육 경쟁력 강화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밝혔다. ◆인하대, 中 하남공업대학과 합작판학기구 운영… 글로벌 인재 양성 거점 확대 인하대학교(총장 조명우)는 최근 중국 하남공업대학과의 중외합작 판학기구를 중국 정부로부터 승인받으면서 글로벌 인재 양성 거점을 확대했다고 11일 밝혔다. 인하대는 지난 2020년 12월 중국 하남공업대학과 중외합작 판학기구 설립에 합의하면서 사업을 본격적으로 추진했다. 중외합작 판학사업은 중국 교육부의 승인을 바탕으로 교육·연구 역량이 우수한 중국 대학과 외국 대학이 협력해 공동 교육과정을 운영하는 내용이다. 인하대와 하남공업대학은 참여학과, 모집 정원, 운영 방식·형태 등을 세부적으로 논의한 뒤 중국 교육부에 중외합작 판학기구 설립을 신청해 지난 8일 최종 승인을 받았다. 중국 하남공업대학은 현지에서 가장 산업적 특색을 갖추고 있는 4대 지방 우수대학으로 꼽힌다. 국가 과학기술 진보 1등 수여를 받고, 교육부로부터 '우수 엔지니어 교육 배양 프로젝트' 대학으로 선정되는 등 우수한 교육 인프라와 연구능력을 인정받고 있다. 인하대와 중국 하남공업대학의 중외합작 판학기구인 하남공업대학 인하이공학원은 학부과정 4+0 복수 학위 제도로 운영할 예정이다. 하남공업대학 인하이공학원은 생명공학, 공간정보공학, 화학공학 등 총 3개 전공으로 구성되며, 내년 9월 첫 신입생 선발을 목표로 운영을 준비하고 있다. 인하대에선 소속 전공 교수진이 직접 중국 현지에 파견돼 강의를 진행하면서 학생들에게 우수한 교육 콘텐츠를 체계적으로 이수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중국 학생들은 현지의 수험제도를 거쳐 하남공업대학 인하이공학원에 입학하게 된다. 오는 2037년까지 매년 270명의 학생이 선발되며, 이들은 인하대의 교육 프로그램을 함께한 뒤 두 대학의 학위를 모두 받게 된다. 인하대는 지난 2014년 우리나라 최초로 대학 단위 교육 시스템을 수출한 우즈베키스탄 타슈켄트의 타슈켄트 인하대학교(Inha University in Tashkent·IUT)의 성공을 시작으로 글로벌 인재 양성을 위한 거점을 꾸준히 확대해 나가고 있다. 인하대는 앞서 중국에선 지난 2020년부터 하남예술직업학원과 '3+0 프로그램'과 '3+2 편입프로그램' 등 중외합작 프로그램을 각각 운영하고 있다. 3+0 프로그램은 하남예술직업학원에서 3년 동안 인하대학교의 교육 프로그램을 받고 하남예술직업학원의 학위를 받는 내용이다. 3+2 편입프로그램은 하남예술직업학원에서 3년을 공부한 뒤 인하대학교에 편입해 복수 학위를 받는다. 현재 문화콘텐츠문화경영학과 아동심리학 등 2개 학과를 대상으로 프로그램을 운영되고 있다. 인하대는 앞으로도 세계 유수 대학과의 교육 협력을 지속적으로 펼치며 미래 가치 창출을 선도하는 글로벌 멀티버시티를 구축해 나가겠다는 구상이다. 조명우 인하대 총장은 "이번 중외합작 판학기구 승인은 현지 학생들에게 인하대의 우수한 교육을 전파하면서 국제적 경쟁력을 갖춘 복수 학위의 기회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며 "하남공업대학과 긴밀히 소통하면서 프로그램을 잘 준비해 학생들에게 양질의 교육을 제공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세종대, 2025 소수정예 웹툰작가 양성사업 '만화창작지옥캠프' 성료 세종대학교(총장 엄종화)는 지난 8월 25일부터 29일까지 경기도 양평 소재 코바코연수원에서 '만화창작지옥캠프'를 진행했다고 11일 밝혔다. 이번 캠프는 한국콘텐츠진흥원(원장직무대행 유현석)의 '2025 소수정예 웹툰작가 양성사업' 플랫폼 기관으로 선정된 세종대가 지난 5월부터 수행 중인 사업의 일환으로 마련됐다. 5박 6일 합숙 프로그램으로 운영된 이번 지옥캠프는 멘토 8명과 멘티 15명이 참여해 트렌드를 선도할 오리지널 IP 창출을 위한 웹툰 작업에 집중했다. 특히 참가한 멘티 전원이 연재 경험을 보유한 기성 작가들로 구성돼, 차기작 준비에 최적화된 창작 환경이 조성됐다. 8월 29일 성과발표회에는 멘토진뿐만 아니라 한국웹툰산업협회 협력사인 ▲케나즈 ▲카카오엔터테인먼트 ▲투유드림 ▲핑거스토리 ▲웹툰창고 등 주요 웹툰 기업 전문가들이 참석해 작품 심사와 그룹 멘토링을 진행했다. 이 자리에서는 작품별 발전 방향이 제시됐으며, 레벨2 우수 멘티 선정 심사도 함께 이뤄졌다. 이번 캠프를 주관한 세종대 만화애니메이션텍전공은 2026년 학과 창립 30주년을 앞두고 있으며, 이번 사업을 통해 쌓은 교육 노하우와 창작 지원 성과를 바탕으로 오는 12월 열릴 비전아트쇼 및 IP 피칭쇼에서 결과물을 공개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국내외 플랫폼 및 제작사와의 협력을 강화하고, 차기작 연재 기회를 확대하며, 나아가 IP 확장과 사업화로까지 이어질 것으로 기대된다 한창완 세종대 만화애니메이션텍전공 교수는 "이번 지옥캠프는 세종대가 웹툰 분야에서 축적해온 창작 인큐베이팅 시스템을 토대로 멘티들이 작품 세계를 더욱 선명하게 다듬고, 실질적인 연재 기회를 준비할 수 있는 계기가 됐다"며 "남은 사업 기간 동안에도 멘티 교육생들의 연재 기회 창출과 취업 지원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숭실대, 한국경영혁신중소기업협회와 산학협력 및 RISE 사업 업무협약 체결 숭실대학교(총장 이윤재)는 10일 숭실대 베어드홀 4층 회의실에서 (사)한국경영혁신중소기업협회(이하 메인비즈협회, 회장 김명진)와 산학협력 및 RISE(지역혁신중심 대학지원체계) 사업 추진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11일 밝혔다. 메인비즈협회는 경영혁신형 중소기업 확인제도를 운영하는 기관으로 현재 2만5000여 개 경영혁신형 중소기업을 발굴·확인하고, 전국 6개 연합회 96개 지회를 갖춘 중소기업 경제단체이다. 이번 협약을 통해 양 기관은 ▲산학협력 및 공유·협업 생태계 조성 ▲특화 분야 산학연 연구개발 공동 기획 및 기술개발 협업 ▲산학협력을 통한 국가 미래산업 선도 및 지역산업 진흥 ▲현장 실무형 인재 양성을 위한 현장실습 및 취업 연계 ▲협회와 대학에서 진행하는 실무 역량 강화 프로그램 등 다양한 분야에서 상호 협력하기로 했다. 양 기관은 서울시의 RISE 사업과 연계해 메인비즈협회 회원사 맞춤형 단기 교육과정 개설, 연구자 매칭, 인턴십 프로그램 운영, 연구 인프라 활용 등의 산학연 연계 지원을 추진할 계획이다. 또한, 숭실대 중소기업대학원 석사과정 진학 지원과 장학 연계 프로그램을 통해 회원사 임직원의 전문 역량 강화도 도모할 예정이다. 아울러 현직 및 퇴직 교수, 연구원 등 전문가들과 협회 회원사 간 연구 및 자문 활동을 활성화하는 'Think Tank 1,000 사업'을 통해 중소기업의 기술 경쟁력 강화를 적극 지원할 계획이다. 이윤재 숭실대 총장은 "이번 협약을 통해 대학과 기업이 협력해 실질적인 성과를 도출하고, 회원사 맞춤형 교육과 인턴십 등 산학연 연계를 강화해 지역산업과 기업의 경쟁력 향상에 기여할 것"이라며 "숭실대학교는 기업과 함께할 수 있는 역량과 자질을 갖춘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체계적인 교육과정 개발에 힘쓰고 있다. 앞으로도 산학연 협력을 통해 지역과 산업이 함께 성장하는 모델을 만들어 나가겠다"고 말했다. ◇

2025-09-12 20:06:45 이현진 기자
기사사진
2026 수시 의대 지원자 급감…서울대 18.6%↓·고려대 24.8%↓

서울대와 고려대 수시모집에서 의대를 비롯한 주요 학과의 경쟁률이 일제히 하락했다. 지난해 의대 모집정원 대폭 확대에 따른 여파와 올해 정원 축소가 맞물리며 상위권 학생들의 지원 전략에 변화가 생긴 것으로 분석된다. 11일 대학가와 종로학원에 따르면, 10일 서울대 2026학년도 수시 원서접수를 마감한 결과 경쟁률은 8.12대 1로, 전년도 9.07대 1보다 하락했다. 수시 지원자 수 역시 전년 대비 1890명 감소한 1만7986명으로, 9.5% 줄었다. 의대는 충격이 더 컸다. 서울대 의대 수시 경쟁률은 10.92대 1로, 지난해 13.56대 1보다 크게 떨어졌다. 지원자 수 역시 240명(18.6%) 줄어 1052명에 그쳤다. 이는 전국 의대 모집정원 확대 이전인 2024학년도(12.66대 1) 1215명보다도 낮은 수치로, 당시보다 지원자가 167명(13.7%) 적었다. 학과별로는 인문계 일반전형에서 사회학과(16.50대 1), 사회복지학과(15.57대 1), 철학과(15.56대 1) 등이 높은 경쟁률을 기록했으며, 자연계 일반전형에서는 응용생물화학부(19.27대 1), 바이오시스템소재학부(18.31대 1), 생물교육과(14.86대 1) 등이 지원 열기가 상대적으로 높았다. 고려대는 2026학년도 수시모집에서 2703명 모집에 5만5009명이 지원, 평균 경쟁률 20.35대 1을 기록했다. 이는 전년(20.30대 1)과 비슷한 수준이다. 그러나 의대 경쟁률은 크게 떨어졌다. 고려대 의과대학의 경쟁률은 22.97대 1로, 전년도 30.55대 1에서 하락했다. 지원자 수도 1539명으로 전년도 2047명보다 508명(24.8%) 줄었으며, 2024학년도(1812명)와 비교해도 273명(15.1%) 감소했다. 반면 논술전형에서는 일부 학과의 경쟁률이 치솟았다. 경영학과 논술전형은 170.58대 1을 기록했는데, 수능 최저학력기준이 전년 '4개 영역 등급 합 5'에서 올해 '합 8'로 완화된 것이 주요 요인으로 분석된다. 철학과(87.75대 1), 자유전공학부(86.67대 1), 전기전자공학부(93.80대 1), 기계공학부(77.54대 1), 산업경영공학부(74.57대 1) 등도 높은 경쟁률을 나타냈다. 서울대와 고려대 사례에서 보듯 2026학년도 의대 지원자 수는 전반적으로 큰 폭 감소했다. 이는 의대 모집정원 축소로 인해 상위권 학생들이 상향 지원보다 안정 지원을 택한 점, 지난해 정원 확대 시 최상위권 내신 학생들이 대거 의대에 합격해 금년 재수생 풀(pool)이 줄어든 점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라고 종로학원 측은 분석했다. 임성호 종로학원 대표이사는 "올해 의대 모집정원 대폭 축소로 인해 지원자 수가 큰 폭으로 감소하는 흐름이 나타났다"며 "대학별로는 의대 모집 확대 전인 2024학년도보다 지원자 수가 더 줄어드는 경우도 상당수 발생할 것으로 보인다"고 전망했다. /이현진기자 lhj@metroseoul.co.kr

2025-09-11 14:19:41 이현진 기자
기사사진
서울시교육청, 13일 ‘서울혁신교육 포워드 2025’ 개최

서울시교육청(교육감 정근식)은 13일 오후 1시 30분 서울시교육청교육연수원에서 '서울혁신교육 포워드(FORWARD) 2025'를 개최한다고 11일 밝혔다. 이번 행사는 서울혁신교육의 실천 성과를 돌아보고, 교육 대전환 시기에 놓치지 말아야 할 학교 교육의 본질에 대해 교육공동체가 함께 토론하고 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모두를 위한 서울교육, 함께 톺아보는 혁신교육, 미래를 여는 협력교육을 주제로 총 3부 15개 세션이 열리는 이번 포럼에는 교원, 교육전문직, 연구자, 학생, 학부모 등 약 700여 명이 참여해 현장의 실천과 연구 성과를 공유하고 토론하다. 1부'모두를 위한 서울교육'에서는 어려운 교육 여건에서도 희망의 교육을 일궈가는 교사들을 응원하는 밴드 공연이 진행될 예정이며, 이어서'교사, 협력으로 만들어가는 미래혁신교육'을 주제로 한 양성관 건국대학교 교수의 기조강연과'지속가능한 혁신을 위한 협력교육'을 주제로 정근식 교육감과의 대화가 진행된다. 2부'함께 톺아보는 혁신교육'은 교육과정·수업·평가 혁신, 학생주도성 기반 교실과 학교 변화, 학생 돌봄, 디지털 전환과 수업 혁신, 학부모-교사 협력 등 8개 세션으로 구성됐다. 각 세션에서는 오랜 기간 실천적 성과를 쌓아온 혁신 교육의 주요 과제들에 대해 참여자들이 함께 공유하고 토론하는 시간을 가질 예정이다. 3부'미래를 여는 협력교육'에서는 혁신교육전공 대학원 교사 연구자들의 논문 및 연구 결과 발표, 학교공동체를 위한 협력, 학교와 마을의 협력적 교육 활동, 다양성을 품는 다문화 시대 협력교육, 민주시민교육 등 7개 세션이 진행된다. 정근식 서울시교육감은 "이번 행사는 교원과 학생, 학부모가 함께 서울혁신교육의 성과를 나누고 미래학교의 방향을 모색하는 장"이라며"미래를 향한 혁신교육의 비전과 교원, 학부모들의 실천 경험이 학교 혁신과 모두의 성장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이현진기자 lhj@metroseoul.co.kr

2025-09-11 12:00:11 이현진 기자
기사사진
경희학원, 19~20일 제44회 세계평화의 날 PBF 개최…세계 석학 참여

학교법인 경희학원(이사장 조인원)은 오는 9월 19일과 20일 양일간 제44회 유엔 세계평화의 날 기념 국제회의 'Peace BAR Festival'(이하 PBF)을 개최한다고 11일 밝혔다. 올해 주제는 '혼돈의 순간, 행성 의식과 미래 정치(The Moment of Chaos: Planetary Consciousness and Future Politics)'다. 기후 위기, 핵전쟁의 위험, 과학기술의 불확실성 등 문명사적 난제와 기회가 겹쳐 있는 현재를 성찰하며, 인류가 나아갈 새로운 길을 모색하는 행사다. '행성 의식'은 민족이나 국가의 경계를 넘어 인류 공동의 의식에 기초한 사유 체계를 뜻한다. 경희학원은 설립자 고(故) 미원(美源) 조영식 박사가 제안한 '세계평화의 날과 해' 제정을 기념해 매년 세계평화의 날 기념 국제회의 PBF를 열고 있다. 조 박사는 1981년 코스타리카 산호세에서 열린 세계대학총장회(International Association of University Presidents, IAUP) 제6차 총회에서 유엔에 '세계평화의 날과 해' 제정을 제안했다. IAUP는 이를 유엔에 전달했고, 유엔은 그해 11월 30일 제36차 총회에서 만장일치로 세계평화의 날과 해를 제정했다. 이후 유엔은 매년 9월 셋째 화요일을 세계평화의 날로, 1986년을 '세계평화의 해'로 정했다. 세계평화의 날은 2001년부터 매년 9월 21일로 확정됐으며, 냉전 완화와 인류 평화에 기여했다. ■ 제44회 세계평화의 날 기념식: 혼돈의 시대 넘어 평화와 공존 모색 9월 19일 평화의 전당에서는 제44회 세계평화의 날 기념식과 특별대담, 하벨 다이얼로그, 라운드테이블이 열린다. 오전 기념식은 혼돈의 시대를 넘어 평화와 공존의 길을 찾는 자리다. 순서는 ▲세계평화의 날 제정 경과보고 ▲기념사(조인원 경희학원 이사장) ▲기조연설(나오미 오레스케스 하버드대 교수)다. 조 이사장은 '혼돈의 순간: 전일적 실존의 활로'라는 제목으로 오늘의 위기와 내일의 가능성을 성찰하고 평화를 향한 새로운 사유를 제안한다. 기조연설은 나오미 오레스케스 교수가 맡는다. 그는 '글로벌 사회에서 행성 사회로: 미래 문명의 새 항로를 찾아'라는 주제로 행성적 전환과 문명의 새로운 방향을 모색한다. 이어지는 특별대담의 주제는 '혼돈의 순간, 행성 의식과 미래 정치의 활로'다. 조인원 이사장, 오레스케스 교수, 존 아이켄베리 프린스턴대 교수(경희대 ES)가 패널로 참여한다. 이들은 2020년 PBF 대담에서 논의했던 '긴급성의 시대'를 출발점으로, 인류 일상에 구조화된 긴급성을 다시 진단하고 문명사적 혼돈을 극복할 미래 정치와 시민 의식, 새로운 패러다임의 가능성을 찾는다. ■ 하벨 다이얼로그와 라운드테이블: 세계시민과의 연대 같은 날 오후에는 하벨 다이얼로그와 라운드테이블이 이어진다. 하벨 다이얼로그는 체코 민주화의 상징 바츨라프 하벨의 사유와 정신을 재조명한다. 주제는 '시민적 가치와 참여, 하벨 정신의 재조명'이다. 토마시 세들라체크 하벨도서관 관장, 마틴 리터 체코 고등학술원 철학연구소 부소장, 박영신 전 경희학원 고황석좌, 신진숙 경희대 미래문명원 부원장이 패널로 나선다. 라운드테이블의 주제는 '돌파 혹은 붕괴: 행성 의식과 미래 정치의 향배'다. 패널에는 폴 쉬리바스티바 로마클럽 공동회장, 엘리스테어 페르니 The Elders CEO, 조르지 스자보 전 라즐로연구소 소장, 토마시 세들라체크 관장, 요코이 아츠푸미 오카야마대 부총장, 마허 나세르 유엔 사무차장보, 천 즈민 푸단대 부총장, 미리안 빌렐라 Earth Charter International 사무총장 등이 참여한다. 인류가 다시 출발해야 할 지점을 묻고 새로운 지구적 연대를 모색한다. ■ 콜로키엄과 청년포럼: 행성 사회의 비전 탐색 9월 20일 평화의 전당에서는 콜로키엄이 열린다. 주제는 '기후 정의, 세대 간 정의: 행성 시민으로 가는 길'이다. 서재영 성철사상연구원장, 이우균 한국지속가능발전해법네트워크 회장, 이명현 과학책방 갈다 대표, 신충식 경희대 인류사회재건연구원 부원장, 학생 대표 2명이 참여해 '행성 사회(Planetary Society)'의 비전을 논의한다. 종교·과학·시민사회·지속 가능 발전 전문가와 청년세대가 함께 새로운 시민성·공동체·사회를 모색한다. 같은 날 오전 8시 30분부터는 시민사회·학생 기념행사가 진행된다. 주제는 '평화로운 세계를 위한 지금 행동: 지구 열대화 시대에 평화를 재정의하고 우리의 미래를 다시 설계하다'다. 세계시민 의식을 높이고 세대 간 대화를 통해 지속 가능한 발전의 길을 찾는다. 오후에는 청년평화포럼이 열린다. 주제는 '기후 정의, 세대 간 정의: 국가는 기후 대응의 의무를 다하고 있는가'다. UNAI ASPIRE Kyung Hee, UNAI ASPIRE KOREA, 유엔세계평화의날 한국조직위원회(KOCUN-IDP), 유엔한국학생협회(UNSA), 한국유네스코학생회(KUSA)가 주관하며, 박수연 환경부 환경교육팀 전문위원이 강연과 토론을 진행한다. ■ 세계평화주간 행사: 경희의 평화운동 조명 경희학원은 9월 15일부터 20일까지를 세계평화주간으로 정하고 다양한 행사를 연다. 경희여중·경희중·경희여고·경희고 등은 제2회 미래세대 디지털 숏폼 공모전을 열어 경희의 평화운동과 미원평화상의 의미를 미래세대 시선으로 조명한다. 9월 16일부터 17일까지는 서울캠퍼스 청운관 앞마당에서 '행성 시민으로 가는 길' 지구시민 부스가 운영된다. 한국지속가능발전해법네트워크, 굿네이버스, 메디피스, 미래희망기구, 원더스 인터내셔널, 경희의료원·경희기독치과봉사단, 후마니타스칼리지 학생위원회 등이 참여한다. 후마니타스칼리지는 '제11회 후마니타스 글쓰기의 날' 백일장을 연다. 세계평화의 날의 의미와 하벨의 행적을 되새기는 'Peace BAR 시네마 주간과 하벨 다큐멘터리 상영회', 'PBF 2025 경희 평화운동과 바츨라프 하벨 사진전'도 마련된다. 경희사이버대는 '디지털 데이터 클린업 캠페인'을 진행한다.

2025-09-11 11:36:57 이현진 기자
기사사진
성신여대, 2026학년도 신입학 수시모집 원서접수 11일까지

성신여자대학교(총장 이성근)는 9월 8일부터 2026학년도 신입학 수시모집 원서접수를 온라인으로 진행 중에 있다. 원서접수 마감은 11일 오후 6시까지다. 성신여대는 이번 2026학년도 신입학 수시모집에서 <학생부종합전형>, <학생부교과전형>, <논술전형>, <실기/실적전형> 등 총 4개 전형을 통해 정원내로 총 1440명을 선발한다. 올해 처음 논술고사 반영비율을 100%로 확대한 성신여대는 <논술전형>에서 160명을 선발한다. 논술고사 반영비율을 전년 90%에서 100%로 확대했다. 논술고사는 인문계와 자연계로 구분해 실시하며 수능 최저학력기준은 국어, 수학, 영어, 탐구 중 2개 등급 합이 7등급 이내를 충족하면 된다. 769명을 선발하는 성신여대 '학생부종합전형'은 지원자들의 다양성을 고려하여 '자기주도인재전형'과 '기회균형Ⅰ전형'으로 구분하여 신입생을 선발하며, 정원외로 '특성화고 등을 졸업한 재직자전형'과 '특수교육대상자전형'이 있다. '학생부종합전형'에서 가장 많은 신입생을 선발하는 '자기주도인재전형'은 모집인원이 660명으로 작년 대비 두배 가까이 늘었다. 1단계 서류평가 100%로 모집인원의 3배수를 선발한 후, 2단계에서 1단계 서류평가 점수 60%와 면접 40%를 합산하여 최종합격자를 결정한다. 2단계 면접 반영비율은 작년 30%에서 40%로 확대됐다. 성신여대 '학생부교과(지역균형)전형'은 전공 선발과 무전공 선발을 병행하는 것이 특징이다. 간호학과 및 사범대학 모집학과에서 34명과 창의융합학부 무전공에서 206명 등 총 240명을 선발한다. 특히 무전공으로 선발하는 창의융합학부의 경우 기본적으로 수능최저학력기준을 적용하나 예체능전공계열의 경우 미적용하므로 지원 시 유의해야 한다. 국내 고등학교에서 3개 학기 이상 성적을 취득하고 소속 학교장의 추천을 받은 졸업(예정)자에 한해 지원 가능하며, 마이스터고, 특성화고, 방송통신고 등은 지원이 불가하다. 학생부 교과 90%와 비교과(출결) 10%를 반영하며 수능 최저학력기준으로 국어, 수학, 영어, 탐구 중 2개 등급 합이 7등급 이내를 충족해야 한다. 성신여대 '실기/실적전형'은 수능 최저학력기준 적용 없이 모집단위별 실기성적과 학생부를 함께 반영해 271명을 선발한다. 실기성적의 반영비율은 모집단위에 따라 55%에서 80%까지 다양하며 미디어영상연기학과는 1단계에서 실기 100%로 모집인원의 5배수를 선발하고, 2단계에서 실기 70%와 학생부 30%를 반영해 최종 합격자를 선발한다. 9월 11일 오후 6시까지 진행되는 2026학년도 신입학 수시모집 원서접수와 관련하여 보다 자세한 사항은 성신여대 입학 홈페이지를 참고하거나 입학관리실(02-920-2000)로 문의하면 안내받을 수 있다. /이현진기자 lhj@metroseoul.co.kr

2025-09-10 20:57:14 이현진 기자
기사사진
[대학가 오늘] 중앙대-선플재단, 선플 및 ESG 실천 맞손 外

중앙대학교(총장 박상규)와 재단법인 선플재단(이사장 민병철, 중앙대 석좌교수)이 건강한 인터넷 문화 조성과 ESG 실천을 위해 손잡았다. 중앙대는 10일 오전 10시 서울캠퍼스 본관 총장실에서 선플재단과 선플달기 운동 확산 및 ESG 실천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날 협약식에는 박상규 총장, 박광용 교학부총장, 이장한 학생처장, 최재오 대외협력처장, 문경란 학생지원팀장, 신중범 대외협력팀장 등 중앙대 관계자들과 선플재단 민병철 이사장, 시바니 아후자 매니저, 김유미, 황인희 연구원과 선플재단 홍보대사인 뮤지컬 배우 선우림 등이 참석했다. 또한, The C.Z. Media 안진형 대표, ㈜프롭텍 김근환 대표도 함께 참석해 협약식을 축하했다. 재단법인 선플재단은 실용 영어 교육으로 잘 알려진 민병철 이사장이 2007년, 한 유명 가수가 악성 댓글로 인해 극단적 선택을 한 사건을 계기로 '선플운동본부'를 발족하며 시작됐다. 이후 재단법인 선플재단으로 발전하며, 지속적인 선플 운동을 통해 2023년 11월 선플 천만 개를 달성하는 등 온라인 상호존중 문화를 조성하며 사회적 가치 실현에 앞장서고 있다. 양 기관은 이번 협약을 계기로 사회봉사 및 공헌 저변을 확대하고, 다양한 선플 활동과 ESG 실천을 위해 상호 적극적인 협력 체계를 구축하기로 협의했다. 박상규 중앙대 총장은 "인식의 변화를 통해 건강한 사회를 만들고자 하는 민병철 이사장님의 생각에 공감한다. 선플 활동이 더욱 확산될 수 있도록 중앙대학교도 적극적으로 지원하고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국민대, 아시아 최초 OCA 인증 '아시아올림픽대학원' 공식 출범 국민대학교(총장 정승렬)가 아시아올림픽평의회(OCA)와 협력해 설립한 아시아올림픽대학원이 지난 6일 본부관 학술회의장에서 개원식을 열고 공식 출범했다. 국민대 아시아올림픽대학원은 아시아 지역 최초로 OCA 인증을 받은 올림픽대학원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이날 개원식에는 학교법인 국민학원 김지용 이사장, 국민대 정승렬 총장, 나창순 아시아올림픽대학원 원장(교학부총장)을 비롯해 유승민 대한체육회 회장 등 학계·체육계 주요 인사 200여 명이 참석했다. 세계수영연맹 회장이자 OCA 사무총장인 후세인 알 무살람 명예원장은 영상 축사를 통해 "아시아올림픽대학원이 스포츠와 사회적 가치를 선도하는 상징적 기관이 될 것"이라며 개원을 축하했으며, 오는 11월 한국을 방문해 명예원장 위촉식에 참석할 예정이다. 국민대 정승렬 총장은 환영사에서 "아시아올림픽대학원은 국민대의 그랜드 비전인 '기업가정신 대학'을 구현하는 중요한 도전"이라며 "스포츠와 ESG 경영을 융합한 교육 과정을 통해 세계적 인재를 육성하겠다"고 밝혔다. 나창순 원장도 "국제스포츠 거버넌스와 지속가능경영 분야를 아우르는 교육의 중심지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병준 국제교류처장은 설립 연혁을 발표하며 대학원의 추진 과정을 소개했다. 특히 이날 행사에는 이정수(쇼트트랙·2010 밴쿠버동계올림픽 금메달), 서영우(봅슬레이·2018 평창동계올림픽 은메달), 김소영(배드민턴·2023 항저우아시안게임 금메달), 이남용(하키·2006 도하아시안게임 금메달), 정준용(크라쉬·2023 항저우아시안게임 은메달) 등올림픽과 아시안게임에서 메달을 획득한 국가대표 출신 선수들이 첫 신입생으로 등록해 눈길을 끌었다. 아시아올림픽대학원은 ▲'아시아올림픽거버넌스·정책(정책학 석사, MPP)' ▲'글로벌 스포츠 지속가능·ESG경영(ESG경영학 석사, MEM)' 두 전공을 개설해 국제스포츠와 ESG 융합 교육을 선도할 계획이다. 국민대 관계자는 "아시아올림픽대학원은 글로벌 스포츠 거버넌스와 ESG 분야를 선도하며, 국제스포츠 기구와 협력한 연구와 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세계 체육 발전에 기여할 것"이라며 "향후 대학원은 2026년 외국인 전형 도입과 박사과정 개설을 추진하고, 국제 교육·연구 협력 플랫폼 구축, 학술 세미나 활성화, ESG와 인공지능(AI) 융합 과정 개설, OCA 및 국제기구와의 협력을 통한 국제 인증 확대 등 중장기 과제를 단계적으로 실현해 나갈 것"이라고 포부를 밝혔다. ◆성신여대, WISA 2025 및 ICT 핵심인재 성과교류회에서 다수 수상 성신여자대학교(총장 이성근)는 융합보안공학과와 미래융합기술공학과 연구팀이 '제26회 국제정보보호응용워크숍(WISA, World Conference on Information Security Applications) 2025'와 'ICT 핵심인재 성과교류회'에서 잇따른 성과로 우수한 연구 역량을 입증했다고 10일 밝혔다. WISA는 국내외 보안 전문가들이 매년 한자리에 모여 최신 정보보호·보안 트렌드를 공유하는 국제 학술대회로 올해 '제26회 WISA 2025'는 지난달 8월 20일부터 22일까지 전세계 600여 명의 보안 전문가들이 참석한 가운데 제주 메종글래드 호텔에서 개최됐다. 성신여대 융합보안공학과와 미래융합기술공학과는 이번 국제학술대회에 소속 학부생·석사·박사과정생 등 총 54명이 참석해 총 32편의 논문을 발표했으며 융합보안공학과 정예림, 김연진, 박채연 학생팀(지도교수 이일구)이 "Air-Gap Exfiltration via High-Order Modulation-Based Screen Saver Covert Channels: Design, Implementation, and Defense"를 주제로 연구 성과를 발표해 최우수 포스터논문상을 수상했다. 이는 4년 연속 해당 부문 최우수상을 수상하는 쾌거다. 한편 성신여대 융합보안공학과와 미래융합기술공학과는 지난 8월 19일, 성신여대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정보통신기획평가원(IITP)와 공동 주관으로 제주 메종 글래드 호텔에서 개최한 'ICT 핵심인재양성사업 성과교류회'에서도 뛰어난 성과를 인정받았다. ICT 핵심인재양성사업을 통해 창출된 성과를 공유하고 산·학·연 간 교류와 협력을 확대하기 위해 마련된 성과교류회에서 ▲성신여대 미래융합기술공학과 박사과정 김소연 학생과 융합보안공학과 학석사과정 박채연 학생이 대상(성신여대 총장상) ▲미래융합기술공학과 박사과정 전유란 학생과 융합보안공학과 학석사과정 정예림 학생이 최우수상(한국정보보호학회 학회장상) ▲미래융합기술공학과 박사과정 이진민 학생과 융합보안공학과 학부생 유정은 학생이 우수상(한국정보보호학회 6G보안연구회 위원장상) ▲미래융합기술공학과 박사과정 심혜연 학생이 우수상(한국정보보호학회 클라우드보안연구회 위원장상) ▲융합보안공학과 박사과정 이연지 학생이 특별상(한국정보보호학회 클라우드보안연구회 위원장상)을 각각 수상하는 쾌거를 이뤘다. 성신여대 융합보안공학과와 미래융합기술공학과는 2022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주관 ICT 혁신인재 4.0사업에 이어 정보보호 특성화대학 지원사업, 2024년 4월 첨단산업 기술보호 전문인력양성사업(산업통상자원부 주관), 6월 정보보호핵심원천기술개발사업(과학기술정보통신부 주관) 등에 연이어 선정되며 정보보호 분야 연구 역량을 지속적으로 강화하고 있다. ◆삼육대 한가은 학생, '경기도서관 크리에이티브 공모전' 대상 삼육대학교는 아트앤디자인학과 한가은(4학년) 학생이 '2025 경기도서관 크리에이티브 시너지 공모전'에서 미디어아트영상 부문 대상(상금 300만원)을 수상했다고 10일 밝혔다. 경기도서관은 수원시 영통구 광교신도시 경기융합타운에 들어서는 광역대표도서관으로, 연면적 2만 7775㎡, 지하 4층·지상 5층 규모의 대형 문화시설이다. 오는 10월 개관을 앞둔 이 도서관은 단순한 자료 열람 공간을 넘어 도민이 다양한 감각을 통해 경험하고 교류하는 복합문화 플랫폼으로 자리매김할 예정이다. 이번 공모전은 개관을 앞두고 도민의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도서관 운영과 공간 연출에 반영하기 위해 기획됐으며, △시그니처 향 △미디어아트영상 △인스타툰 △시그널 뮤직 등 4개 부문으로 진행됐다. 4월 9일부터 6월 30일까지 총 126점의 작품이 접수됐고, 전문가 심사와 공개 검증을 거쳐 최종 수상작이 가려졌다. 한가은 학생의 출품작 제목은 '상상이 피어나는 곳, 경기도서관'이다. 이 작품은 도서관이 단순히 '책을 읽는 곳'이라는 고정관념에서 벗어나, 상상·놀이·배움·창작이라는 네 가지 키워드를 통해 새로운 문화 공간으로 재해석했다. 영상은 한 아이가 도서관에 들어서며 책을 펼치는 순간, 우주와 미지의 세계가 펼쳐지는 장면으로 시작한다. 이어 놀이 공간, 학습 공간, 창작 공간을 차례로 비추며, 도서관이 세대와 연령을 아우르는 열린 플랫폼임을 시각적으로 풀어냈다. 특히 작품은 경기도서관의 실제 공간 요소를 3D 모델링으로 재현해 현실성과 상상력을 동시에 담아냈다. 밝고 따뜻한 색감, 동화 같은 연출은 도서관을 딱딱한 공간이 아닌 친근하고 즐거운 문화 공간으로 그려낸다. 이번 수상은 전공수업에서의 학습이 공모전 성과로 결실을 맺은 대표적 사례다. 작품은 지난 학기 아트앤디자인학과 교과목인 '메타버스 콘텐츠'(지도교수 노주희)와 연계해 제작됐다. 이 교과목은 3D 디자인 툴 블렌더(Blender)를 활용해 모델링, 스컬핑, 텍스처링, 리깅, 애니메이션 등 3D 제작 전 과정을 학습하고, 학기 말에는 짧은 영상을 결과물로 완성하는 프로젝트 기반 수업이다. 특히 공모전 출품과 연계해 학생들이 배운 내용을 실제 결과물로 발전시킬 수 있도록 설계됐다. 한가은 학생은 학기 초 공모전을 직접 리서치해 참여를 결심했고, 지도교수의 밀도 있는 피드백과 동료 평가 과정을 거쳐 작품 완성도를 높였다. 결과적으로 기말 프로젝트 결과물이 전국 규모 공모전에서 대상을 차지하는 성과로 이어졌다. 노주희 지도교수는 "개인 상담에서 한가은 학생은 저학년 시절 처음 3D를 접했을 때 매우 어렵게 느꼈다고 말한 바 있다"며 "그러나 이번 공모전을 목표로 기획부터 제작까지 차근차근 과정을 밟으며 눈에 띄게 성장했다. 꾸준히 피드백을 반영하고 몰입한 결과, 전국 규모 대회에서 큰 성과를 거둔 것은 학생 본인뿐 아니라 교육과정에도 큰 의미가 있다"고 평가했다. 한가은 학생은 "작품을 선보일 수 있었던 것만으로도 값진 경험이었는데, 수상까지 하게 되어 영광스럽다"며 "준비 과정에서 많은 시행착오를 겪었지만 그 자체가 값진 배움이었다"고 소감을 밝혔다. 이어 "3D와 미디어아트를 접목한 창작에 큰 자신감을 얻게 됐다"며 "앞으로도 사회에 긍정적인 메시지를 담아내 많은 이들이 공감할 수 있는 작품을 만들어 나가고 싶다"고 포부를 밝혔다. 수상작은 향후 경기도서관 내부에서 송출되는 영상 콘텐츠로 활용된다. 개관을 앞둔 도서관의 차별성과 매력을 널리 알리는 데 기여할 예정이다. ◆세종대, 유창준 前 국정원 방첩국장 초청 특강 성료 세종대학교(총장 엄종화)는 유창준 국가정보원 前 방첩국장(1급)을 초청해 지난 9일 두 차례에 걸쳐 '경제안보와 대한민국의 미래'를 주제로 특강을 진행했다고 10일 밝혔다. 이번 특강에서 유 전 국장은 국가핵심기술과 같은 산업기술유출이나 글로벌 공급망 위기 등 각국이 펼치는 경제전쟁의 실상과 함께 우리의 경제안보 심각성과 중요성을 학생들에게 생동감 있게 전달하며 관심을 촉구했다. 그는 "특히 2018년부터 미·중간 기술패권 경쟁이 심화된 이후 중국이 우리 첨단기술을 빼내려 혈안이 되고 있는 현실을 감안할 때 외부의 군사적 침략으로부터 국가의 안전과 국민의 생명을 보호하는 이른바 전통적 의미의 국가안보 못지 않게 이제는 우리의 첨단기술을 지키는데 보다 많은 국가 역량과 국민적 노력을 투입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우리 형법의 간첩죄 규정(98조)에는 '적국'을 위한 간첩만을 대상, 사실상 사문화돼 산업스파이와 같은 간첩 처벌이 불가능해 법·제도 보완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고려대, '2025 후기 SK Global Scholarship Program 2기' 장학증서 수여식 개최 고려대학교(총장 김동원)는 지난 9일(화) 대학원 중앙도서관에서 '2025학년도 후기 SK Global Scholarship Program(이하 SK GSP) 2기 장학증서 수여식'을 개최했다. 올해 2기 장학생은 기존 동유럽 19개국에서 동남아시아, 인도, 파키스탄 등으로 지원 국가가 확대되면서, 총 32개국 출신 학생들이 선발됐다. 리투아니아, 슬로바키아, 폴란드뿐 아니라 말레이시아, 베트남, 인도, 파키스탄 등 신규 국가 출신 학생들이 포함되어, 첨단분야 글로벌 인재 유치를 위한 장학 프로그램의 범위가 한층 넓어졌다. 이날 행사에서 송진원 고려대 대학원장은 "오늘 이 자리는 단순한 장학 증서 수여를 넘어, 여러분의 노력과 열정, 그리고 가능성을 함께 축하하는 뜻깊은 자리"라며 "본 장학 프로그램이 단순한 재정 지원을 넘어, 학생들이 한국에서 학문과 연구에 전념할 수 있는 든든한 기반이 되기를 바란다"고 강조했다. 이어 오민규 대학원혁신본부장은 축사에서 "고려대학교 대학원은 여러분이 학문적 성장뿐 아니라, 사회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연구자이자 리더로 성장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며 장학생들에게 축하의 뜻을 전했다. 고려대는 지난해부터 매년 일반대학원 석사과정에 입학하는 32개국 학생들을 대상으로 전기전자공학(반도체·물리학), 정보기술(IT), 인공지능(AI) 분야의 교육 기회를 제공하며, 글로벌 첨단 인재 양성의 거점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한편, SK는 장학생들에게 4주간의 한국어 연수 비용과 4학기 등록금(입학금 포함) 전액을 지원하며, 왕복 항공료와 생활비까지 후원해 학생들이 안정적으로 학업에 전념할 수 있도록 돕고 있다. ◆한신대, 설립자 노석(老石) 김대현 장로 추모예배 드려 한신대학교(총장 강성영)는 10일 오전 11시 30분 서울캠퍼스 예배당에서 설립자 노석(老石) 김대현 장로 추모예배를 드렸다고 밝혔다. 김희헌 신학대학원장서리의 인도로 시작된 추모예배는 신학대학원 부학생회장 이평화 원우의 기도, 이상은 원우의 말씀봉독, 오용균 학교법인 한신학원 이사장의 말씀 선포, 추모의 시간, 축도 순으로 진행됐다. 오용균 학교법인 한신학원 이사장은 '하나님 나라를 위해 드린 금필헌'이라는 제목으로 "김대현 장로님은 십일조 생활을 철저히 지킴으로써 조선신학원 설립 기여금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셨다"며 "한신대학교를 통해 민주주의와 훌륭한 목사님들이 많이 양성된 것은 적은 것을 심어서 크게 이루는 하나님의 놀라운 역사라고 믿는다"고 말씀을 선포했다. 예배 후에는 김대현 장로와 그의 아들 강제 김영철 장로, 백석 김영환 장로의 묘비가 있는 노석공원으로 이동해 이들을 추모하는 시간을 가졌다. 강성영 총장은 "조선신학교는 우리 민족이 주체적으로 기독교를 세운 것이기 때문에 이러한 전통을 우리가 기억하고 한신의 신학생으로써 귀한 다짐을 하는 시간이 되길 바란다"며 "오늘 이렇게 귀한 걸음을 해주신 김흥수 대사님께 감사드린다"고 말했다. 이날 노석(老石) 김대현 장로 추모예배에는 김대현 장로의 손자인 김흥수 전 교황청대사가 참석했다. ◆ 한국외대 GTEP 사업단, '팀 전시회' 프로그램 통해 중소기업 해외 진출 지원 한국외국어대학교(총장 박정운) GTEP(Global Trade Expert incubating Program, 단장 백재승) 사업단은 지난 8월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베트남에서 열린 국제 전시회에 참가해 국내 중소기업의 글로벌 시장 개척을 지원했다. 이번 활동은 한국외대 GTEP 사업단이 자체적으로 운영하는 차별화된 프로그램인 '팀 전시회'의 일환으로 진행됐다. 단원이 개별 파견되는 기존 방식과 달리, 한 팀이 기업과 장기간 협력하며 전시회 전 과정을 함께 준비하고 수행하는 방식이다. 학생들은 기업의 해외 대리인으로서 전시 전략 기획, 마케팅, 바이어 상담, 사후 관리 등 실질적인 무역 업무 전반을 경험했다. 전국 GTEP 사업단 가운데 한국외대 GTEP 사업단만이 유일하게 운영하는 이 프로그램은 학생들의 현장 역량 강화와 기업의 실질적 성과 창출을 동시에 이끌어내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받고 있다. 이번 전시회에서 단원들은 ▲말레이시아 식품 전시회에서 콤부차·김스낵 등 K-푸드 제품을, ▲인도네시아 뷰티 박람회에서 바디케어·뷰티 디바이스 등 K-뷰티 제품을, ▲베트남 식품 전시회에서 먹태·김부각·다이어트 젤리·쿠키 등 다양한 제품을 선보이며 현지 바이어와 소비자들의 큰 관심을 끌었다. 특히 전시에 참여한 기업들은 단원들이 직접 시장조사와 기업 미팅을 통해 발굴한 파트너사라는 점에서 의미가 깊다. 학생들은 사전 협약(MOU) 체결부터 전시 운영까지 전 과정을 주도하며 중소기업 맞춤형 해외 진출 플랫폼 역할을 수행했다. 현장에서는 다수의 바이어 상담과 수출 협의가 이뤄져 실질적인 성과로 이어졌다. 참가 학생들은 단순한 보조자가 아닌 '기업의 해외 파트너'로서 부스 기획·운영, 시식·체험 프로그램, SNS 홍보 이벤트까지 직접 진행하며 글로벌 무역 전문가로 성장할 수 있는 기회를 가졌다. 김도원 단원(Global Business & Technology학부 22)은 "6개월간 준비해 온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마무리해 뜻깊다"며 "중소기업과 협력해 목표를 설정하고 함께 논의하며 추진한 과정 자체가 값진 경험으로 남았다"고 소감을 전했다. ◆인하대, 한국인 대사증후군 새로운 생체지표 발견 인하대학교(총장 조명우)는 최근 신다연 식품영양학과 교수 연구팀이 한국인 대사증후군과 관련한 새로운 생체지표를 발견했다고 10일 밝혔다. 신다연 교수 연구팀은 한국인 유전체 역학조사사업(KoGES) 참가자 2306명을 대상으로 한 대규모 연구를 통해 이번 성과를 발표했다. 연구팀은 혈장 내 135개의 대사체와 23개 영양소를 종합 분석한 결과 대사증후군과 밀접하게 연관된 11개 대사체와 3개 영양소를 확인했다. 이중 포도당 등 단당류인 헥소스가 가장 두드러진 연관성을 보였고, 실제 혈당 수치와도 강한 상관관계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연구에서는 '아르기닌 생합성'과 '아르기닌-프롤린 대사' 경로가 대사증후군과 가장 뚜렷한 연관성을 갖는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아르기닌 생합성은 혈관 확장 물질인 산화질소(NO)의 원료가 되는 아르기닌을 만드는 과정이고, 아르기닌-프롤린 대사는 에너지 대사가 혈당 조절에도 관여하는 아미노산 대사 경로다. 이같은 대사 경로에 이상이 생기면 혈관 기능이 떨어질 수 있다. 실제로 기존 임상연구에서도 대사증후군 환자에서 아르기닌 부족으로 인한 산화질소 생산 감소가 혈관 확장 장애, 고혈압, 포도당 내성 저하, 비만 등 대표적 증상과 직결된다는 점이 보고된 바 있다. 임상연구 차원에서 나온 결과를 이번 연구를 통해 체계적이고, 객관적 데이터로 입증한 것이다. 대사증후군 환자에게서만 나타나는 고유한 대사체-영양소 상호작용 6개도 규명했다. 특히 '이소류신-지방', '프롤린-지방', '류신-지방' 등 조합에서 대사증후군 환자는 정상인과 완전히 다른 반응을 보였다. 이러한 차이는 가지사슬아미노산(BCAA)인 류신, 이소류신, 발린과 관련이 깊다. BCAA는 근육 단백질 합성과 에너지 대사에 필수적인 아미노산이다. 하지만 대사증후군 환자에서는 아미노산이 지방 섭취와 비정상적으로 강한 연관성을 보였다. 대사증후군 환자의 독특한 대사 교란 상태를 보여주는 중요한 증거인 셈이다. 연구팀은 이번 성과를 토대로 머신러닝 기반 조기 진단 가능성도 확인했다. 혈액 내 대사체 데이터를 활용해 서포트 벡터 머신, 랜덤 포레스트, 딥러닝 등 8개 머신러닝 알고리즘을 비교 분석한 결과 확률적 경사하강법 모델이 AUC 0.84라는 높은 예측 성능을 보였다. AUC는 의료·머신러닝 분야에서 예측 모델의 성능을 평가하는 대표 지표다. 학계에서는 2000명 이상의 데이터를 이용한 대규모 연구에서 이 같은 정확도를 보였다는 점에서 앞으로 간단한 혈액 검사만으로도 대사증후군 진단이 가능할 수 있다는 기대감을 나타내고 있다. 이번 연구는 한국연구재단 우수신진연구 지원을 받아 신다연 식품영양학과 교수 연구팀 소속 김민영 임상영양사과정 대학원생(석사과정), 노스다코타 대학교 의과대학 (UND School of Medicine) 생물정보학 분야 연구팀과의 국제공동연구로 진행됐다. 영양학 분야 국제 학술지 'Nutrition Journal' 최신호에 게재됐다. 신다연 인하대 식품영양학과 교수는 "이번 연구는 대사증후군 환자에서 나타나는 독특한 대사 특성을 과학적으로 규명한 의미 있는 결과"라며 "개인의 대사체 프로필에 따른 BCAA 제한 식단, 당질 섭취 조절, 나이아신 함유 단백질 섭취 관리 등 맞춤형 영양 치료법 개발의 토대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2025-09-10 16:17:06 이현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