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경제>창업/취업
기사사진
교육부, 이공계 미래 핵심연구자 3301명 선정 825억원 지원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은 이공분야 혁신 연구를 선도할 미래 핵심연구자 3301명을 선정하고 총 825억원을 지원한다. 내년 교육부 이공 분야 국가 연구개발 예산(안)은 총 5958억원으로 올해 예산과 견줘 약 811억원 늘어난다. ■ 석사과정생 1350명…박사과정생 822명 이번 지원은 '이공 분야 학술연구 지원사업' 일환으로 마련됐으며, ▲석·박사과정생 연구장려금 ▲박사 후 국내외 연수 ▲박사 후 성장형 공동 연구 등 세가지 사업으로 진행된다. '석·박사과정생 연구장려금'은 석·박사과정생이 학업·연구에 전념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사업으로 석사과정생 1350명, 박사과정생 822명의 총 2172명이 선정됐다. 석사과정생은 1년간 1200만원을, 박사과정생은 최대 2년 동안 총 5000만원을 학위 논문 관련 연구를 위한 연구비로 지원받는다. '박사 후 국내외 연수 사업'은 박사 후 연구원에게 초기 일자리를 제공하고 연구 활동을 단절 없이 수행할 수 있도록 국내·외 대학 및 연구기관에서의 연수·연구 기회를 제공하는 사업이다. 이번에 총 566명이 선정됐다. 이 중 국외 연수자 220명은 1년 동안 6000만원, 국내 연수자 346명은 최대 3년까지 총 1억8000만원을 지원받는다. '박사 후 성장형 공동 연구'는 박사 후 연구원이 우수 전임 교원과 멘티-멘토를 이뤄 전임 교뽑혔다. ‘박사 후 성장형 공동 연구’는 박사 후 연구원이 우수 전임 교원과 멘티-멘토를 이뤄 전임 교원의 지원·지도를 받아 공동 연구를 수행하는 사업으로 총 214팀 563명이 선정됐다. 팀당 최대 연 3억원을 3년간 지원받아 연구를 수행할 예정이다. 각 사업 대상자 선정은 8월 말 완료돼 10일간의 이의신청 절차를 거쳤으며, 9월 중 연구를 시작하게 된다. ■ 내년 교육부 R&D 예산안, 전년 대비 15.8%p 증가 아울러 교육부는 '2025년 교육부 이공 분야 국가 연구개발 예산(안)'은 총 5958억원이라고 밝혔다. 이는 2024년 예산 5147억원에 비해 약 811억원(15.8%) 증가한 규모다. 교육부는 증액된 예산을 바탕으로 대학 부설 연구소를 집중 지원하는 '국가연구소(NRL 2.0)', '글로컬 랩' 사업을 신설하고, 대학 소속 연구자의 연구 몰입을 위한 '미래 도전 연구 지원', '글로컬 연구개발(R&D) 지원' 사업을 신설한다. 학문 후속 세대의 안정적인 성장을 위해 '석·박사과정생 연구장려금' 사업을 확대하는 한편, 비전임 교원을 위한 지원도 별도로 신설한다. 또한, 세계 최고 수준의 연구를 수행할 수 있도록 국가 대표급 연구소를 양성하는 '국가연구소(NRL 2.0: National Reaserch Lab 2.0)' 사업을 추진한다. 본 사업에서 교육부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대학 강점 분야 부설 연구소에 대해 묶음형 예산(블록 펀딩) 방식으로 연구시설 장비·인력 등을 통합적으로 지원한다. 지역의 연구 거점을 키우는 '글로컬 랩' 사업도 신설한다. 기존 '대학 중점 연구소 사업'을 개선해 지역(수도권 포함) 발전을 선도할 수 있는 기초연구를 자율적으로 수행하는 사업으로, 기존 사업보다 과제당 지원금이 확대되고 연구소 운영의 자율성이 커진다. 기존 사업인 '박사 후 성장형 공동 연구' 지원 대상은 비전임 교원까지 확대하고, 기존 사업 중 '석·박사과정생 연구장려금'을 2700명으로 늘려 연구자의 안정적 연구 수행을 지원한다. 최은희 인재정책실장은 "올해 상반기 이공계 현장과 여러 차례 소통하며 2025년 예산안 마련 과정에서 현장의 다양한 의견을 반영하기 위해 노력했다"라며 "이공 분야 기초학문은 우리나라 학문 발전뿐 아니라 국가 경제 발전의 토대가 돼 온 만큼, 대학 내 기초학문 분야의 학문 후속 세대와 연구자들이 안정적으로 연구할 수 있도록 탄탄한 여건을 만들어 나가겠다"라고 밝혔다. / 이현진 메트로신문 기자

2024-09-02 14:03:29 이현진 기자
기사사진
퇴직공무원 1천명 서울 학교 ‘늘봄 봉사단’ 나선다

2학기 서울 초등학교에 늘봄학교가 전면 도입되면서 1000명 이상의 퇴직 공무원이 학생 안전지도·상담 등 활동 보조에 나선다. 서울시교육청은 공무원연금공단과 연계해 퇴직 공무원 자원봉사단인 '늘봄 봉사단'을 꾸리고 초등학교 학생 돌봄 공백 해소와 학부모 양육 부담 완화를 돕는다고 2일 밝혔다. '늘봄 봉사단' 자원봉사자는 9월부터 희망학교에 배치되며, 늘봄학교 프로그램에서 1일 4시간동안 학생 안전지도, 인솔, 상담 등 늘봄학교 활동을 보조하는 봉사를 하게 된다. 서울시교육청은 이번에 출범하는 늘봄학교 지원을 위한 '늘봄 봉사단' 활동을 통해 맞벌이 가정이나 돌봄이 필요한 가정의 학부모 양육 부담 완화를 지원할 예정이다. 특히 서울시교육청은 봉사단의 출근부 관리, 활동경비 지급 등 행정사항 전반을 전담해 학교 부담을 최소화한다는 방침이다. 설세훈 서울시교육감 권한대행은 "교육에 대한 식지 않은 열정으로 서울형 늘봄학교 지원을 위해 함께 해주신 늘봄봉사단 모든 분들께 감사드린다"라며 "서울형 늘봄학교의 원활한 운영을 위해 봉사단의 전문성과 노하우가 발휘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서울시교육청과 공무원연금공은 2일 오후 서울 서초구 방배동 소재 서울시교육청교육연수원 우면관에서 자원봉사자 1000여 명이 참여하는 '늘봄봉사단' 출범식을 개최한다. / 이현진 메트로신문 기자

2024-09-02 13:24:46 이현진 기자
기사사진
“자녀 결석 신고, 온라인으로”…’나이스‘ 출결 관리 시작

학부모가 수기로 작성해 제출했던 초·중·고등학교 자녀 결석 신고 등 출결관리가 앞으로 온라인으로 이뤄진다. 교육부는 2일부터 '나이스(NEIS) 학부모 서비스'를 통해 초·중·고교에 재학 중인 자녀의 결석 신고 및 증빙 자료 제출이 가능해진다고 밝혔다. 지난해 7월 개통된 '나이스 학부모 서비스'는 학교 정보 제공, 자녀 성적 및 학교생활기록부 조회, 교외체험학습 신청 등을 제공하는 온라인 서비스다. 이번에 자녀의 결석 신고와 관련 증빙자료 제출 기능이 추가됐다. 기존에는 학부모가 직접 작성한 결석 신고서(결석계)에 증빙 자료(진료 확인서 등)를 첨부해 담임교사에게 제출하면 담임 교사가 이를 확인하고 수기 결재를 거쳐 보관해 왔다. 이에 현장에서는 서류 보관 및 결석 처리 절차 간소화 등 교원의 요청이 지속돼 왔다. 이번에 추가된 기능으로 학부모는 간편하게 결석 신고와 증빙 자료 제출을 할 수 있게 된다. 학부모는 '나이스 학부모 서비스'의 '자녀 지원' 메뉴에서 '결석신고서'를 선택하고, 자녀의 결석 기간과 사유 등을 적은 후 증빙 자료를 첨부해 제출하면 된다. 증빙 자료는 사진·문서 등 디지털 형태 파일로 첨부하며, '결석 신고' 후에 추가 제출이 가능하다. 학부모는 '나이스 학부모 서비스'의 알림을 통해 진행 상황을 확인할 수 있다. 담임교사는 나이스를 통해 학생 출결을 관리할 수 있어 행정 업무가 경감될 것으로 기대된다. 담임교사는 나이스에서 학부모가 제출한 결석 신고 내용과 증빙 서류를 확인 및 처리할 수 있으며, 모든 내용이 나이스에 저장되기 때문에 별도의 출력물이나 증빙 자료를 보관할 필요가 없다. 소은주 교육부 책임교육정책관은 "디지털 기술을 적극 활용하여 학교의 행정 업무를 간소화하고 학부모 편의가 제고될 수 있도록 지속해서 노력하겠다"라고 말했다. / 이현진 메트로신문 기자

2024-09-02 13:13:28 이현진 기자
기사사진
서울과기대 석사과정생, SCI급 저널 제1저자 논문 게재

서울과학기술대학교(총장 김동환, 이하 서울과기대)는 미래에너지융합학과 에너지소자제조공정연구실(지도교수 최민기) 소속 백재완 석사과정 학생이 베이지안 최적화 알고리즘을 이용한 직접 암모니아 연료 주입형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의 효율적 운전 성능에 관련한 논문을 SCI급 저널인 '저스널 오브 파워 소스(Journal of Power Sources, IF 8.1, JCR 상위 15%)'에 제1저자로 게재했다고 2일 밝혔다. 해당 연구는 이민기 조선대 기계공학과 교수 연구팀과의 공동 연구로 진행됐으며, 같은 연구실의 대학원생인 김진우, 이현호 석사과정 학생의 도움을 받아 수행했다. 논문에서는 암모니아 연료를 고체 산화물 연료전지(Solid Oxide Fuel Cell, SOFC)의 연료극에 직접 주입하여 작동시키는 Direct Ammonia SOFC(DA-SOFC)의 연료 주입 운전 과정에, 전역 최적화 알고리즘 중 하나인 베이지안 최적화(Bayesian Optimization, BO) 알고리즘를 접목시켜 시간과 비용 면에서 효율적인 운전을 수행 가능하게 한 방법론에 대한 연구결과를 보고하고 있다. 최민기 교수 연구팀은 DA-SOFC을 운전시킬 때 조절하는 여러 변수들(작동 온도, 암모니아 분율, 연료 및 공기 유량 등)에 따라 여러 복합적인 상관관계에 의해 전기화학 성능이 달라진다는 점에서, 이를 연구자가 일일이 고려하지 않으면서도 베이지안 최적화 알고리즘을 통해 시간 및 비용 효율성을 높이는 방법론을 적용하는 연구를 진행했다. 서울과기대는 "해당 연구를 통해 베이지안 최적화 알고리즘으로 사람의 의사결정 없이도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연료 주입 조건에서의 전기화학적 성능보다 높은 성능을 달성할 수 있다는 것을 실험을 통해 증명한 것"이라며 "이 방법론은 연료전지 뿐만 아니라 수전해, 배터리 등의 전기화학디바이스 그리고 더 나아가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설명했다. /이현진기자 lhj@metroseoul.co.kr

2024-09-02 10:56:10 이현진 기자
기사사진
사이버한국외대, 2024 후기 학위수여식…647명 ‘학사모’

사이버한국외국어대학교(총장 장지호)는 지난달 31일 11시 대학 사이버관 대강당에서 2024년 후기 학위수여식을 개최했다고 2일 밝혔다. 사이버한국외대 박헌일 교학처장의 사회로 진행된 이날 학위수여식에서는 학사 615명, 석사 32명 등 총 647명이 학위를 받았다. 행사에 참석한 졸업생 전원은 단상에 올라 장지호 총장 및 각 학부 교수진과 악수를 하며 졸업의 기쁨을 나눴다. 이어 상장수여 순서에서는 산업안전·주택관리학부 변만 졸업생이 총장상을 받았으며, 우수한 학업성적과 성실한 학교생활로 타의 모범이 된 학생들이 학장상, 대학원장상, 학업성적우수상, 모범상, 공로상을 수상하는 영예를 안았다. 장지호 총장은 축사에서 "사회생활과 가정생활을 병행하며 학업에 매진한 졸업생의 강인한 의지와 성실함에 깊은 존경을 표한다"라며 졸업생들의 새로운 출발에 격려의 메시지를 전했다. 학위수여식에 이어 오후에는 2024학년도 2학기 신·편입생 오리엔테이션이 열렸다. 이종봉 입학처장의 개식사로 시작된 오리엔테이션에서는 각 학부 교수진과 신·편입생들의 첫 대면이 이뤄졌다. 행사는 이어 ▲장지호 총장의 환영사 ▲신·편입생들의 대학생활 설계와 온라인 학습환경 적응에 도움이 될 학사·콘텐츠·대학생활 안내 ▲총학생회 소개 순으로 진행됐다. 또한 신·편입생들은 전체 행사가 마무리된 후 별도로 마련된 학부별 오리엔테이션에도 참석해 소속 학부 교수진 및 선배들과 만나 친목과 화합을 다지는 시간을 가졌다. /이현진기자 lhj@metroseoul.co.kr

2024-09-02 10:44:32 이현진 기자
기사사진
경희사이버대, 2024 후기 입학식 개최…1916명 입학

경희사이버대학교(총장 변창구)는 지난달 31일 2024학년도 후기 입학식을 온라인으로 개최했다고 2일 밝혔다. 이번 입학식으로 경희사이버대에는 대학원생 36명과 학부생 1880명의 신입생이 대학 생활을 시작한다. 이번 입학식은 총 2부로 나눠서 진행됐다. 먼저 1부 본행사는 ▲개식선언 ▲입학생 선서 및 경희 Honor Code 선언 ▲총장 입학식사 ▲학교 소개(학사 및 수강 안내, 캠퍼스 프로그램, 도서관/의료원 이용 안내) ▲축하공연 ▲교가제창 ▲폐식선언 등의 순서로 진행됐다. 행사의 진행을 맡은 이정민 입학·학생처장의 개식선언에 이어 입학생 선서 및 경희 Honor Code 선언이 진행됐다. 경희 Honor Code 선언은 경희사이버대 설립이념인 '문화세계의 창조'를 바탕으로 하며, 학문 탐구자로서의 정직하고 성실한 마음을 함께 다짐하는 순서다. 2부 행사로는 대면으로 학부(과)별 신·편입생 오리엔테이션을 진행했다. 학교 및 학부(과) 소개, 학사, 수강 안내, 과목 소개 등 대학생활 관련 내용을 안내하며 소속 학과 구성원과 교류하는 시간을 가졌다. 변창구 총장은 "최근 사회의 극단적인 사고에 반해, 조선의 박제가는 모든 생명이 각자의 다양한 방식으로 살아간다고 강조했다"라며 "경희학원은 평화와 통합의 정신을 바탕으로 존엄성을 지키며 학업을 이어가는 문화를 만들어왔다. 편견을 넘어서 호기심과 창의성을 갖고 도전하는 여러분의 젊음이 사회의 미래를 밝힐 것"이라며 입학생들을 격려했다. /이현진기자 lhj@metroseoul.co.kr

2024-09-02 10:39:28 이현진 기자
기사사진
건국대 글로컬캠퍼스, ‘성인·재직자’ 신입생 모집…수능 없이 고교 서류 평가

건국대학교 글로컬캠퍼스(부총장 최영근)는 오는 9일부터 13일까지 기업·기관 재직자 및 사업자, 일반성인을 대상으로 정규 학사학위 과정의 신입생을 모집한다고 2일 밝혔다. 모집 단위는 반도체, 이차전지, 빅데이터 전공의 첨단산업융합학과와 사회복지상담심리, 다문화·한국어교육, 창업경영 전공의 라이프설계융합과이다. 건국대의 정규 4년제 학사 학위 취득 과정에 해당된다. 이번 학위 모집은 만 30세 이상 고등학교 졸업자 또는 특성화고 등을 졸업하고 산업체에서 3년 이상 재직하고 있는 자를 대상으로 진행된다. 수능 시험 없이 고교 서류만으로 선발이 이뤄진다. 신입생 전원에게는 등록금의 최소 50%에서 전액에 이르는 장학금을 지원하며 입학 이후 재학 중에도 장학혜택이 제공된다. 건국대 글로컬캠퍼스의 성인·재직자 학위 과정은 3無(무) 3有(유) 교육을 표방한다. 3無는 ▲나이에 상관 없이 성인재직자 지원 가능 ▲수능시험 없이 고교서류로 입학전형 실시 ▲업무시간 수업 없이 온라인·주말·야간 수업 진행 등을 말한다. 3有는 ▲건국대 정규학사 학위 취득 ▲선행학습경험 인정 졸업이수학점의 최대 50% 인정 ▲전원 장학금 혜택(최소 50% ~ 전액) 등을 말한다. 최영근 건국대 글로컬캠퍼스 부총장은 "학령기 학생 중심의 대학 교육체계를 성인학습자까지 확대해 평생학습 거점으로서 대학의 기능과 역할을 강화하고, 언제든 대학을 통해 자신의 역량을 향상할 수 있도록 대학을 평생학습 상시 플랫폼으로 개방하겠다"라고 말했다. 신입생 지원 및 학사 관련 사항은 건국대 글로컬캠퍼스 행정실로 전화 문의하거나 입학처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이현진기자 lhj@metroseoul.co.kr

2024-09-02 10:28:51 이현진 기자
기사사진
“반수해서 의대로”…서·연·고 중도 탈락자 ‘2126명’ 5년 새 최고

지난해 서울대·고려대·연세대 등 이른바 SKY대학에서 자퇴 등으로 학교를 중도 탈락한 학생이 5년 새 가장 많은 것으로 집계됐다. 문과 전공으로 교차 지원해 대입에 성공한 뒤 반수를 통해 의대로 이탈한 것으로 추측된다. 1일 종로학원이 최근 교육부·한국대학교육협의회 대학알리미에 공시된 서울대·고려대·연세대의 2023학년도 중도 탈락자 현황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서울대 436명 ▲연세대 830명 ▲고려대 860명 등 3개 대학에서 총 2126명이 학교를 중도 탈락했다. 중도 탈락자는 자퇴뿐만 아니라 미등록·미복학·유급·학사경고 등도 포함한다. 특히 서울대와 연세대의 중도 탈락자는 최근 5년 새 최고치다. 서울대 중도 탈락자는 ▲2019년 273명 ▲2020년 317명 ▲2021년 405명 ▲2022년 412명에서 지난해 436명으로 5년 새 59.7%p 증가했다. 연세대 중도 탈락자는 ▲2019년 511명 ▲2020년 561명 ▲2021년 700명에서 2022년 822명, 2023년 830명으로 급증했다. 단, 고려대는 897명이던 직전년도(2022년)보다 37명(4.1%p) 줄어 2023년 860명이 학업을 관뒀다. 전공 계열별로 살펴보면, 특히 인문계의 중도 탈락자 증가세가 두드러진다. 지난해 SKY 대학 중도 탈락자 중 인문계와 자연계 중도 탈락자는 각각 763명, 1321명으로, 인문계 중도 탈락자는 최근 5년 새 최고치다. 대학 계열별로, 서울대 인문계열 중도 탈락자는 112명으로 5년전(61명)에 비해 51명 증가했다. 연도별로 서울대 인문계열 중도 탈락자는 2019년 61명 ▲2020년 55명 ▲2021년 67명 ▲2022년 83명 ▲2023년 112명이다. 자연계열도 중도 탈락자는 크게 늘었다. ▲2019년 191명 ▲2020년 248명 ▲2021년 326명 ▲2022년 318명 ▲2023년 316명으로, 5년 새 65.4%p 증가했다. 연세대 인문계열 중도 탈락자 추이를 살펴보면, ▲2019년 184명 ▲2020년 194명 ▲2021년 187명 ▲2022년 338명 ▲2023년 365명으로, 5년 새 2배가량 늘어 오름폭이 가장 컸다. 자연계열은 ▲2019년 309명 ▲2020년 347명 ▲2021년 504명 ▲2022년 453명 ▲2023년 448명으로 5년 새 45%p 늘었다. 고려대도 인문계열 중도 탈락자가 ▲2019년 205명 ▲2020년 199명 ▲2021년 202명 ▲2022년 267명 ▲2023년 286명으로 나타나 지난해 가장 많은 인원인 것으로 나타났다. 단, 고려대 자연계열의 지난해 중도 탈락자는 557명으로, 직전년도보다 617명 감소했다. SKY 대학의 인문계열 학과 중도 탈락자는 3개 대학 모두 증가세를 보임과 동시에 최근 5년 새 최고치를 기록한 셈이다. 이는 통합수능에 따라 고교 이과생이 대학은 문과로 교차지원해 대입 성공 효과를 누린 뒤 반수를 통해 자연계열 학과나, 의대 등으로 빠져나간 것으로 추정된다. 임성호 종로학원 대표이사는 "인문계 중도 탈락은 통합수능으로 이과, 문과 교차지원에 따른 현상으로 추정된다"라며 "서울대와 고려대, 연세대 자연계열학과 중도 탈락자도 대부분 의학계열 등으로 빠져나갔을 것"으로 추정했다. 2025학년도 입시부터 의대 모집정원 확대로 이들 대학의 중도 이탈은 더 늘어날 전망이다. 임 대표는 "당장 올해부터 중도 탈락은 더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라며 "인문계 중도 탈락은 통합수능 마지막 해인 2027학년도까지 지속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 이현진 메트로신문 기자

2024-09-01 14:40:42 이현진 기자
기사사진
교사 제작 수업 자료 공유 ‘수업의 숲’ 개통…우수 콘텐츠 교사에 인센티브

교사들의 자체 제작 수업자료를 공유하는 '수업의 숲' 서비스가 시작된다. 우수 콘텐츠를 공유하는 교사에게는 다운로드 실적에 따라 인센티브가 지급된다. 교육부는 2일 '함께학교' 플랫폼에 우수 수업 자료를 공유하는 '수업의 숲' 서비스를 개통한다고 1일 밝혔다. '수업의 숲'은 선생님들이 제작한 우수 수업 자료를 시·공간 제약 없이 공유하고 수업 나눔을 활성화하기 위해 마련됐다. 희망하는 교사는 누구나 AI·교육정보기술(에듀테크) 활용 수업, 토의·토론 및 과제 수행(프로젝트) 수업 등 다양한 방식의 수업에 필요한 자료를 내려받아 그대로 활용하거나 학급·학생 여건에 따라 일부 변형해서 사용할 수 있다. 수업 자료와 수업 영상에 대한 상호 의견 교류할 수 있다. 교육부는 선생님들이 저작권 침해 등의 걱정 없이 '수업의 숲'에 수업 자료를 게시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수업 자료 제작 및 활용 지침서(가이드라인)'를 제공하고 운영지원단을 운영한다. 운영지원단은 학교급·교과별 특성을 고려해 초·중등 교사 79명으로 구성됐으며, 수업 자료의 교육과정 부합성 및 현장 적합성을 검토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다양한 우수 수업 자료가 공유될 수 있도록 수업 자료를 올리는 교사에게는 내려받기(다운로드) 실적에 따라 이용 실적(마일리지)을 제공하고, 누적된 이용 실적에 따라 수업 혁신 연구비와 명예 배지(디지털·실물 배지)를 제공할 예정이다. 김연석 책임교육정책실장은 "교사가 제작한 우수 수업 자료와 수업 사례는 실질적인 교실 수업의 변화에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라고 밝혔다. /이현진기자 lhj@metroseoul.co.kr

2024-09-01 12:44:30 이현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