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금융지주 실적, 코로나에 희비 갈렸다?
(왼쪽부터) BNK금융지주, DGB금융지주, JB금융지주 사옥 전경/각 사 신종코로나 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이 지역경제를 강타하면서 지방금융그룹의 치명상이 현실화됐다. 몇 년간 부진에서 헤어나오지 못하던 지역경제가 코로나19로 또 한번 직격탄을 맞으면서 실적악화가 가속화 되고 있는 것. 지역 중소기업·자영업자의 부실이 지방금융의 건전성까지 악화시킬 수 있어 건전성 관리가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7일 금융권에 따르면 코로나19사태로 지방 금융그룹의 1분기 실적이 모두 예상치를 밑돌았다. BNK·DGB·JB 금융그룹의 1분기 당기순이익은 모두 3224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3735억원)보다 511억원 감소한 수준이다. ◆ 기업 직격탄에 BNK·DGB 실적도… BNK금융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2% 감소한 1377억원의 순이익을 기록했다. 순이익의 80% 이상을 차지하는 부산 ·경남은행도 각각 874억원 474억원을 순이익을 기록해 22.8%, 24%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DGB금융은 1분기 882억원의 순이익을 기록해 전년 같은 기간보다 15%(156억원)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대구은행도 787억원의 순이익을 기록해 전년 동기대비 10.4% (91억원)감소했다. 반면 코로나19 영향이 상대적으로 적었던 JB금융은 1분기 965억원의 순이익을 기록해 전년 같은 기간대비 4.3%(40억원) 증가했다. 전북은행과 광주은행은 각각 296억원, 467억원의 순이익을 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3.8%, 3.1%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방금융그룹 1분기 당기순이익/각 사 ◆중소기업·자영업자 부실에 2분기 "더 어려워 질 수 있어" 일각에서는 코로나19의 여파가 본격적으로 나타나는 2분기부터 지방 금융의 희비가 더 뚜렷해질 것이란 목소리가 나온다. 지방의 중소기업과 자영업자의 부실이 지방 금융의 건전성을 흔들 수 있기 때문이다. BNK 부산·경남은행은 기업대출(47조4731억원) 가운데 중소기업 대출 비중이 43조9446억원으로 92%를 차지한다. 이들의 중소기업 대출비중도 지난해와 비교해 각각 5.2%(1조2349억원), 6.4%(1조1310억원)포인트 증가했다. 부산·경남은행이 대출을 진행한 주요업종은 철강·자동차·건설 업종이다. DGB 대구은행은 기업대출 (29조3128억원) 중 중소기업 대출 비중이 24조8248억원으로 전년 동기대비 각각 8.8%(1조9976억원) 포인트 증가했다. 대구은행이 대출을 진행한 주요업종은 제조업중 자동차 및 금속업종이 가장 많았고, 부동산업도 15.4%를 차지했다. 이들이 대출을 제공한 업종이 모두 코로나19로 직격탄을 받아 중소기업·자영업자를 시작으로 지방 금융으로까지 부실이 옮겨갈 수 있다는 설명이다. ◆ 건전성 관리 비상 이에 따라 지방금융은 건전성 관리에 주력할 전망이다. 1분기 BNK·DGB·JB 금융의 고정이하 여신비율(NPL)은 각각 1.08%, 0.98%, 0.91%이다. 신한·KB·하나·우리 등 4대 금융그룹의 평균 NPL비율(0.49%)보다 2배 가량 높은 수준이다. NPL비율은 은행의 부실채권 현황을 알 수 있는 대표적인 건전성 지표로, NPL 비율이 높을수록 은행 대출 자산의 건전성이 낮다는 의미다. 코로나19로 부실대출이 늘어나면서 이들의 NPL비율이 상승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는 이유다. 금융권 관계자는 "당장은 코로나19로 피해를 본 지역 중소기업들의 금융지원을 도와 지역경제를 살리는 것이 우선"이라며 "금리가 당분간 하락세를 보일 수 있기 때문에 적어도 1분기 수준의NIM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나유리기자 yul115@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