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금융
기사사진
SC제일은행, 절세 플랜 점검을 위한 비대면 ‘웰쓰케어 웹 세미나’

/SC제일은행 SC제일은행이 오는 14일 비대면으로 세 번째 '웰쓰케어(Wealth Care) 웹 세미나'를 진행한다고 8일 밝혔다. 앞서 제일은행은 지난 9일 온라인·모바일 방식의 웰쓰케어 웹 세미나를 새로 도입했다. 현재까지 두 차례의 웹 세미나를 진행했으며 총 2300여명의 고객이 비대면 방식의 라이브 웹 세미나에 참여했다. 이번 웹 세미나에는 SC제일은행 전담 세무 상담 전문가인 조형래 세무사와 SC제일은행 방카슈랑스부의 이정하 부장이 출연한다. 이들은 'CHECK! 2020 절세플랜 연말정산에서 종부세까지'라는 주제로, 자동차세, 부동산보유세, 종합부동산세 등 다양한 세금을 납부해야 하는 납세자들의 각종 고민을 덜어주고, 연말정산에 대비하는 효과적인 절세방안을 알려준다. 누구나 이번 세미나에 참여할 수 있으며 희망자는 미리 SC제일은행 공식 홈페이지와 모바일뱅킹 앱의 이벤트 페이지 또는 SC제일은행 공식 페이스북에서 오는 13일 자정까지 신청할 수 있다. 신청자는 문자로 웹 세미나 URL링크를 받아볼 수 있고, 이 링크로 접속하면 오는 14일 오후 8시부터 9시까지 진행되는 웹 세미나를 볼 수 있다. 콜린 치앙 SC제일은행 자산관리본부장은 "앞으로도 고객의 다양한 요구를 적극 수렴해 세무·금융·경제 분야를 포함한 고객의 생애 전반에 도움이 되는 다양하고 시의성 있는 주제를 웹 세미나에서 선보이겠다"고 말했다. /나유리기자 yul115@metroseoul.co.kr

2020-05-08 10:53:05 나유리 기자
기사사진
지방금융지주 실적, 코로나에 희비 갈렸다?

(왼쪽부터) BNK금융지주, DGB금융지주, JB금융지주 사옥 전경/각 사 신종코로나 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이 지역경제를 강타하면서 지방금융그룹의 치명상이 현실화됐다. 몇 년간 부진에서 헤어나오지 못하던 지역경제가 코로나19로 또 한번 직격탄을 맞으면서 실적악화가 가속화 되고 있는 것. 지역 중소기업·자영업자의 부실이 지방금융의 건전성까지 악화시킬 수 있어 건전성 관리가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7일 금융권에 따르면 코로나19사태로 지방 금융그룹의 1분기 실적이 모두 예상치를 밑돌았다. BNK·DGB·JB 금융그룹의 1분기 당기순이익은 모두 3224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3735억원)보다 511억원 감소한 수준이다. ◆ 기업 직격탄에 BNK·DGB 실적도… BNK금융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2% 감소한 1377억원의 순이익을 기록했다. 순이익의 80% 이상을 차지하는 부산 ·경남은행도 각각 874억원 474억원을 순이익을 기록해 22.8%, 24%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DGB금융은 1분기 882억원의 순이익을 기록해 전년 같은 기간보다 15%(156억원)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대구은행도 787억원의 순이익을 기록해 전년 동기대비 10.4% (91억원)감소했다. 반면 코로나19 영향이 상대적으로 적었던 JB금융은 1분기 965억원의 순이익을 기록해 전년 같은 기간대비 4.3%(40억원) 증가했다. 전북은행과 광주은행은 각각 296억원, 467억원의 순이익을 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3.8%, 3.1%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방금융그룹 1분기 당기순이익/각 사 ◆중소기업·자영업자 부실에 2분기 "더 어려워 질 수 있어" 일각에서는 코로나19의 여파가 본격적으로 나타나는 2분기부터 지방 금융의 희비가 더 뚜렷해질 것이란 목소리가 나온다. 지방의 중소기업과 자영업자의 부실이 지방 금융의 건전성을 흔들 수 있기 때문이다. BNK 부산·경남은행은 기업대출(47조4731억원) 가운데 중소기업 대출 비중이 43조9446억원으로 92%를 차지한다. 이들의 중소기업 대출비중도 지난해와 비교해 각각 5.2%(1조2349억원), 6.4%(1조1310억원)포인트 증가했다. 부산·경남은행이 대출을 진행한 주요업종은 철강·자동차·건설 업종이다. DGB 대구은행은 기업대출 (29조3128억원) 중 중소기업 대출 비중이 24조8248억원으로 전년 동기대비 각각 8.8%(1조9976억원) 포인트 증가했다. 대구은행이 대출을 진행한 주요업종은 제조업중 자동차 및 금속업종이 가장 많았고, 부동산업도 15.4%를 차지했다. 이들이 대출을 제공한 업종이 모두 코로나19로 직격탄을 받아 중소기업·자영업자를 시작으로 지방 금융으로까지 부실이 옮겨갈 수 있다는 설명이다. ◆ 건전성 관리 비상 이에 따라 지방금융은 건전성 관리에 주력할 전망이다. 1분기 BNK·DGB·JB 금융의 고정이하 여신비율(NPL)은 각각 1.08%, 0.98%, 0.91%이다. 신한·KB·하나·우리 등 4대 금융그룹의 평균 NPL비율(0.49%)보다 2배 가량 높은 수준이다. NPL비율은 은행의 부실채권 현황을 알 수 있는 대표적인 건전성 지표로, NPL 비율이 높을수록 은행 대출 자산의 건전성이 낮다는 의미다. 코로나19로 부실대출이 늘어나면서 이들의 NPL비율이 상승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는 이유다. 금융권 관계자는 "당장은 코로나19로 피해를 본 지역 중소기업들의 금융지원을 도와 지역경제를 살리는 것이 우선"이라며 "금리가 당분간 하락세를 보일 수 있기 때문에 적어도 1분기 수준의NIM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나유리기자 yul115@metroseoul.co.kr

2020-05-07 17:10:36 나유리 기자
기사사진
국민연금, 2020 국가균형발전 대상 수상

이승훈 국민연금공단 사회적가치실현단장(오른쪽)이 7일 김사열 국가균형발전위원장으로부터 표창장을 받은 후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국민연금공단 국민연금공단은 7일 국가균형발전위원회로부터 '2020 국가균형발전 대상'을 수상했다고 밝혔다. 이번 포상은 공단이 전주로 이전한 후 꾸준히 전라북도 금융산업 발전기반 조성, 지역인재 채용 확대 및 육성 등으로 지역사회발전에 기여한 공을 높이 평가받아 선정됐다. 공단은 '자산운용형 국제 금융도시' 조성이라는 전북 혁신도시 특화발전 모델을 정립하고 국내외 금융기관의 동반이전을 촉진함으로써 지역 금융산업 발전 기반을 조성하는데 선도적 역할을 해오고 있다. 공단은 지역인재 채용 확대 및 산학협력 프로그램 운영을 통해 지역 맞춤형 인재 양성에 기여했다. 또 실버 바리스타 양성 등 일자리 창출 프로그램 운영으로 268개의 일자리를 창출하는 성과를 이뤘다. 이승훈 국민연금 사회적가치실현단장은 "앞으로도 공단은 전북 금융산업 발전, 지역경제 활성화에 적극적으로 기여함으로써 지역주도 자립형 성장기반 마련이라는 정부정책을 선도적으로 이행할 것"이라고 밝혔다. /김희주기자 hj89@metroseoul.co.kr

2020-05-07 16:20:16 김희주 기자
기사사진
조폐공사, '코리안 피닉스 불리온 은메달' 7일 출시

피닉스 불리온 은메달 사진. /한국조폐공사 한국조폐공사는 봉황을 주제로 한 '2020 코리안 피닉스 불리온 은메달'을 출시했다고 7일 밝혔다. 코리안 피닉스 불리온 은메달은 지난해 열린 '대한민국 불리온 디자인 공모전'서 최우수상 수상작인 'Korean Phoenix(김현 외 1명)'를 제품화한 것이다. 코리안 피닉스(Korean Phoenix)는 예로부터 신성시되던 상상의 새인 봉황(鳳凰)을 뜻한다. 봉황은 용과 더불어 군주를 상징하기도 한다. 지난 1967년부터 대통령 표장에도 사용돼 왔다. 메달 앞면에는 봉황이 하늘에서 만사형통 여의주를 물고 우리나라를 굽어살피는 역동적인 모습이 담았다. 보는 각도에 따라 글자가 변하는(봉↔황) 잠상기법이 적용돼 위변조를 방지했다. 뒷면은 봉황 한 쌍과 태극기를 형상화해 문장으로 표현했다. '불리온'(bullion)은 금·은 등 귀금속으로 만든 메달이나 주화를 말한다. 판매가격이 시세에 연동돼 골드바, 실버바와 더불어 실물 투자수단으로도 각광받고 있다. 코리안 피닉스 불리온 은메달은 순도 99.9%의 순은 31.1g이다. 판매가격은 은 시세에 연동된다. 역대 조폐공사 불리온 은메달 중 해외에 앞서 국내에 먼저 선보이는 첫 제품으로, 해외에도 수출할 예정이다. 국내에선 전담 판매사인 투데이를 통해 7일부터 구매할 수 있다. 구매한 코리안 피닉스 불리온 은메달은 조폐공사 협력사인 투데이, 대성금속에서 은 시세와 연동해 매도도 가능하다. /김희주기자 hj89@metroseoul.co.kr

2020-05-07 15:42:40 김희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