막 오른 지자체 금고 유치전…시중銀 도전에 지방銀 '긴장'
-올해 말 5개 시도청 포함한 49개 지자체 금고 선정
-지자체 금고지정 평가기준 개정안 반영…예금금리 경쟁 치열할 듯
올해 말 49개 지방자치단체 금고 계약이 만료됨에 따라 새 금고주인 선정을 둘러싼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다. 특히 지방은행이 금고지기 역할을 해 온 거점 지역을 중심으로 시중은행이 잇따라 도전장을 내밀고 있어 당분간 긴장상태가 이어질 전망이다.
24일 금융권에 따르면 12월 31일을 기준으로 울산, 대구, 경남, 경북, 충남 등 5개 시·도청을 포함한 49개 지자체 금고 계약이 만료된다.
새롭게 선정된 은행은 지자체 예산과 관련한 금고 업무를 3~5년간 수행한다. 제1금고는 일반회계와 6개기금(투자유치진흥기금·농어촌진흥기금·식품진흥기금·재정안정화 적립금기금·남북교류협력기금·지역개발기금)을 맡고, 제2금고는 특별회계와 재난관리기금·재해구호기금 등 2개기금을 관리하게 된다.
먼저 지난달 시금고 은행을 접수한 울산시는 경남은행과 농협은행을 시금고 은행으로 선정했다고 밝혔다. 이전부터 울산시의 1·2금고로 지정돼 있던 경남·농협은행과 함께 KB국민은행이 1·2금고에 도전장을 내밀었지만 고배를 마시게 된 것. 울산시가 금고 약정기간을 3년에서 4년으로 연장함에 따라 경남·농협은행은 4년 동안(2020~2023년) 울산시 금고를 맡게 됐다.
대구시도 이달 초 시금고 은행 접수를 마감한 결과 대구은행, 농협은행, KB국민은행이 지원한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대구은행이 1금고, 농협은행이 2금고를 맡고 있는 가운데 국민은행이 도전장을 내민 것. 연간 8조3000억원 규모의 예산을 운영하는 대구시는 심의를 거쳐 10월 중 시금고 은행을 선정할 계획이다.
경남도청은 지난 2017년부터 시금고를 운영해오던 농협은행과 경남은행이 지원한 것으로 확인됐다. 현재 경남도청은 1금고(농협은행) 7조8458억원, 2금고(경남은행) 8900억원 규모다.
지방은행 관계자는 "지역에 대한 밀착도와 공헌도가 크고, 출연금에 대한 상한기준도 정해지면서 기존 출연금을 둘러싼 출혈전쟁은 더 이상 없을 것으로 보인다"면서도 "최근 대형 시중은행의 지원이 활발해 결과는 지켜봐야 안다"고 말했다.
앞서 정부는 과도한 출연금 경쟁을 막기 위해 지자체 금고지정 평가기준 개정안을 내놨다. 출연금(협력사업비) 배점을 4점에서 2점으로 줄이는 대신 금리배점을 15점에서 18점으로 늘린 것. 지역주민들의 이용 편의성을 위해 각 은행들의 관내 지점 수에 대한 배점을 5점에서 7점으로 늘렸다. 은행들이 금고지기로 활동하며 얻은 수익을 지역 소비자에게 공급하는 시스템을 만들겠다는 분석이다.
다만 지방은행들은 경쟁의 기준이 출연금에서 점수비중이 커진 예금 금리로 옮겨갈 것으로 보고 있다. 지자체 시금고를 하게 되면 수 조원의 연간 예산을 운영 관리할 수 있는데다 그 밖의 수수료 수익, 브랜드 이미지 등을 제고할 수 있어서다.
지방은행 관계자는 "지자체 금고은행은 단순히 예산을 관리하면서 나오는 이익뿐만 아니라 지자체 금고 은행이라는 상징성, 신뢰감을 높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고, 지자체 내 공무원들의 주거래 은행지정이나 예금 대출 비중 등을 고려했을 때 유무형의 가치가 상당하다"며 "예금금리의 비중이 높아지면서 시중은행과 지방은행간 금리 경쟁도 치열해질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